1995년도에 10년 납부한 보험사 개인연금
수령하게 됐는데요
그동안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연락이 왔더라구요
일시불은 5천만원 인데요
저는 일시불로 받고 싶은데 남편은 극구 반대 하네요
당장 돈 쓸 곳이 없긴 하지만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데 찔끔 찔끔 소액
받아봤자 크게 도움도 안 될것 같구요
보험사 개인연금 받으신 분들은
어찌하셨나요?
1995년도에 10년 납부한 보험사 개인연금
수령하게 됐는데요
그동안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연락이 왔더라구요
일시불은 5천만원 인데요
저는 일시불로 받고 싶은데 남편은 극구 반대 하네요
당장 돈 쓸 곳이 없긴 하지만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데 찔끔 찔끔 소액
받아봤자 크게 도움도 안 될것 같구요
보험사 개인연금 받으신 분들은
어찌하셨나요?
차라리 일년치씩 수령하세요
5천 가지고 있어봤자 금방 사라져요
저는 아직 55세가 안되서 수령전이지만
매년 일년씩 받으려고요
죽을때까지 나오는거라 일시불 수령이 별로예요
왕창 받으면 종소세 물지 않나요
은퇴안하셨음 모르지만
건보지역 가입자면
건보도 안 물고
세금도 연금 세금은 적게 떼요. 단 1년에 1500 까지
나눠서 받아보세요
직장인이시면 모르겠네요.
전 금액이 더 적어요
1년에 한번 받아서 그걸로 여행갑니다
저도 개인연금 수령방법 고민중인데요 ... 저는 작년에 암진단을 받고 보니 평생 꾸준하게 받는 것보다 일시불 수령쪽으로 마음이 가고 있어요. 앞날이 불확실하고 지금 목돈 받아서 몇 년 잘 쓰면 차라리 덜 억울할 것 같아서요...
연소득으로 잡혀서 세금 세니다. 노노
매달 받거나
1년에 한벌 몰아서 ㅡ종신때까지가 젤 낫다네요
저흰 일시불 1억이 넘던데
여기저기 상담받고보니
종신때까지 매년ㆍ매달 받는게 젤 낫다고 결론내렸어요
몇년후 국민연금까지 수령하면 살만하겠더라구요
저 최근에 첫 수령했어요.
고민고민하다 1년에 한 번 종신수령하기로 했어요.
나중에 월수령으로 바꿀 수도 있고요.
변액연금인데 생각보다 조건이 괜찮더군요.
10년,20년 확정기간수령도 있지만 종신수령이라 든든하고요(제가 확정기간수령만 있는 걸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는데 마지막에 알게됨 ).
자기의 건강상태나 유전력, 부모님 생존기간등을 고려해서 결정하면 될 듯해요.
무조건 님,
글 내용이 저한테 많은 도움이 되는데요...
여기저기 상담 받으셨다고 했는데 어디에 상의하면 제일 나은 방법을 찾을 수 있을까요? 저는 세금 등도 생각못하고 막연히 일시불 수령할 생각을 하고 있었거든요 ㅠㅠ
한번에 받으면 세금도 많고 건강보혐료에도
영향이 있으니 나눠 받으세요
저 비혼인데 45세부터 종신으로 20년 보장
선택했어요
오래전 가입한 개인연금 대부분이 비과세인걸로 알아요
비과세는 종합소득세, 지역건강보험료등에 영향이 없답니다
저축연금, irp 등 세액공제 받은 보험금 수령시
1년 1,500만원 이상 수령시에 영향이 있는걸로 알고 있어요
개인연금 상품을 말씀해 주시는게.
개인연금 종류가 다양해서.
보통은 비과세라 세금이랑 관여가 없고.
변동세율이나 고정세율(이상품은 무조건 오래길게 가는게 유리) 현재상품보다 좋아요.
해약하지 마시고 길게 연금으로 가세요.
비과세님?
1995년도엔 연금저축 irp상품 자체가 없었습니다.
정확히는 모르지만 2000년도에 들어와서 생긴상품입니다.
하나 꿀팁.
연금개시후는 받는방법을 변동할수는 없지만 월이나 년으로 받는것은 변동 가능합니다.
개인연금 수령
연금개시후는 받는방법을 변동할수는 없지만 월이나 년으로 받는것은 변동 가능합니다.
참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