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화 하얼빈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카라 조회수 : 2,953
작성일 : 2024-12-31 22:28:53

 

 

역사적인 사실로 결과는 이미 아는 것이지만 안다고 하기에는

그저 국사책에 한 줄로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곳 이정도 알고 있는 정도면서

안다고 생각하고 있었죠.

상대적으로 안중근 의사에 대해서 아는 것도 별로 없고 한국에 남아 있는 

안의사 관련 유적지도 별로 없다보니 이름과 장소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영화를 보면서 다시 한번 그때 그 시대를 살았던

독립군들의 시각에서 그 곳을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영화적으로 말하면 스토리가 짜임새 있고

제가 처음으로 극본을 누가 썼는지 궁금하다고 생각하게 된영화였어요.

그 정도로 극본이 훌륭하다 생각하는데 이유는

안의사를 단지 민족의 원수, 적국의 우두머리를 사살한

내지는 소위 어떤 이들이 말하는 테러리스트가 아니라

평화주이자이자 그 엄혹한 상황 하에서도 원칙을 생각하는 고매한 인격의 소유자임을

보여주는 영화였어요.

그리고 영화가 한 점을 향해서 가는데 지루함이나 군더더기가 없었어요.

 

아쉬운 점은 주인공 현빈이 구현해 낸 안의사가 별로 캐릭터를 잘 살리지 못해서

현빈이 거기서 동동 떠 있는 느낌이라 아쉬웠어요.

그런 역사적 인물을 표현할 영화적 주인공의 얼굴로는 현빈이 어울렸는지 몰라도

캐릭터를 살리는데는 오히려 송중기가 더 나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안의사 캐릭터가 좀 밍밍하게 느껴졌어요. 부드러운 가운데 정신적으로는 강하고 성숙한

카리스마로 사람으로서 멋있다는 느낌이 들어야 하는데 그런 인물로 살리기에는

어려운 상황에서 말투도 말의 높낮이도 말의 끝처리도 눈길도 행동도 그렇게 느껴지진 않았어요.

차라리 거기서 먼저 죽는 어떤 이가 있는데 그 인물이 훨씬 더 당시의 남자상, 더구나 독립군으로

살다간 저런 남자가 있을 법하다 싶게 캐릭터를 잘 살렸고 기억에 남고요

현빈은 그저 현빈.

 

마지막으로 그 영화를 보면서 역사에서 그저 한 가지 사건으로 기억하는 그 일을 

위해서 사실 그 어려운 때에 그 일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방해와 시련이 많았을지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고 그럼에도 거사가 성공할 수 있었던 건

여자고 남자고 각자가 자기 위치에서 자기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돕고 믿고 협력하기

때문이었다는 걸 느끼게 됐어요. 

각자는 보잘 것 없고 일제의 시찰 대상이고 언제든지 고문과 살해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독립이라는 목표를 위해서 그 상황에서도 자기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했다는 것이 중요한 거죠.

 

감독도 영화를 잘 만들었다 싶은게 배신을 알았을 때의 안중근의사의 심리묘사가

참 탁월합니다.

그건 영화를 보시면서 찾아 보시고 아마 보다 보면 알게 될 거에요.

그리고 영상미! 아름다운 장면이 곳곳에 있어요. 돈들인 느낌 팍팍나는데

그 중에서도 마지막 그 배신자의 반전 장면에 나오는 영상이 너무나 아름다워요.

그 장면을 찍고 싶은 걸 해늗폰만 만지작거리며 참느라 힘들었어요.

포스터 나오면 사고 싶을 정도네요.

블라디보스톡은 이미 구도시의 모습이 없어져서

실상은 라트비아에 가서 찍었다 하더라구요.

꼭보시기를 추천합니다.

 

그때와 같이 놈들이 모여서 이렇게 핏값으로 지켜낸 나라를 거덜낼 생각으로

오랫동안 계획을 짜고 짜고 또 짯다니 싶습니다.

 

IP : 49.164.xxx.11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2.31 10:35 PM (106.101.xxx.198)

    좋은 후기 감사합니다

  • 2. 저도요
    '24.12.31 10:43 PM (211.234.xxx.165)

    지금 막보고 나왔어요
    82에서 지루하단 이야기있어 기대안하고
    봤는데 어쩜 대사가 요즘 상황과 비슷한지
    그점에 집중했더니 제겐 좋은영화였습니다
    도입부는 눈을 약간 내리깔고 보았지만요

  • 3.
    '24.12.31 11:00 PM (118.235.xxx.166) - 삭제된댓글

    전 안을 동료에 대한 믿음으로 많은 동료를 잃었는데도 다시 믿는 그모습이 뭔가 심약한 느낌? 그리고 현빈 머리가 너무커서 하얼빈역에서 착시현상 ㅠ 그리고 그들은 실제 20-30 대인데 배우들이 너무 나이들서보인것도ㅠ 그냥 T인 제생각

  • 4. 저도
    '24.12.31 11:15 PM (221.145.xxx.237)

    초집중해서 봤어요
    의무적인 또는 과잉의 감정이 아닌 자연스럽게 독립투사에 이입되어 영화 후반부에는 끝내 눈물을 훔치고야 마는... 그런 영화였습니다

  • 5. 이거
    '24.12.31 11:16 PM (106.101.xxx.190) - 삭제된댓글

    김훈 원작이잖아요
    전 책으로도보고
    김훈 인터뷰
    하얼빈 책 다큐까지 다봤는데요
    김훈작가님이

    그젊은애가 오로지 총알도 4발인가 있었대요
    딱2발 남은거로 일본 늑대 그놈 쏜거라서
    감옥 가서도 안죽었을까봐 그걱정뿐.
    실제로 자기죽음따위는 하나도 걱정안하고
    안의사 부인도
    말리지도않고
    아들이찾으러 면회오는데요

    일본 이잡놈들이 끝까지 안의사시신 안주고

    안의사 아들하고 그 일본놈 딸하고훗날
    만나게해요
    사과하라고
    책도 최고에요

  • 6.
    '24.12.31 11:21 PM (1.240.xxx.21)

    하얼빈은 안중근 한사람을 부각하기 보다
    숱한 독립군의 참여가 있어 가능했던 거사에 대한 영화였고
    원글의 지적대로 역사책이 안중근에 대한 서술은 지극히
    짧게 축약되어 있어 그동안 모르고 있었던 부분을 영화가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정권이 그나마의
    독립군 부분을 축약한다고 하니 통탄스럽기 그지 없습니다.

  • 7. 저도
    '25.1.1 12:14 AM (211.208.xxx.226)

    잘 봤습니다 우민호 감독이 진지하게 히고 싶은대로 다 하는 영화 같았어요 억지스럽게 흥행공식을 따르기보다 감독이 의도하는대로 따러가는 느낌이 좋았습니다
    저도 이동욱배우가 다시보였습니다

  • 8. ...
    '25.1.1 1:37 AM (182.215.xxx.192)

    김훈 원작이라는 분. 아니예요.
    김훈 소설과 달라요. 제목과 같을뿐.
    김훈 소설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인줄 알고 많이들 안본다는데 제목만 같습니다. 김훈은 안중근과 이토히로부미의 만남에 초점을 두고 소설을 썼다고 했어요. 그러나 영화는 그게 초점이 아니예요.

  • 9. 김훈원작아님
    '25.1.1 9:17 AM (125.132.xxx.178)

    김훈 원작 아니에요. 그냥 제목만 같을 뿐, 오리지널 시나리오입니다.

    누가 말하길 김훈의 하얼빈이 을사조약이라고 말하는 느낌이라면 영화 하얼빈은 을사늑약이라고 말하는 거라고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2841 김충식을 체포하라 무속학살 05:31:24 196
1742840 10월말 한국가는데요 참았다 한국가서 머리할까요 8 추노 04:50:18 639
1742839 1~2시간전 홈쇼핑 떡광고 03:58:32 716
1742838 트럼프 치매라네요 3 o o 03:36:30 2,993
1742837 운동 1년쯤 하니 드디어 고기가 먹고 싶은 날이 오네요 2 고기 02:50:00 944
1742836 된장찌개도 냉동해도 되나요? 4 // 02:48:40 522
1742835 어디서 또 전쟁이 터질까요 ? 2 02:48:05 1,069
1742834 잠안와서ㅜㅜ좋은정보 드리려(등드름 가드름) 3 ........ 02:47:00 1,238
1742833 트럼프 황당 ㅋㅋ 미국고용지표 관련 8 .... 02:25:59 1,618
1742832 폭염 또는 폭우 2 ... 02:02:47 1,076
1742831 생활형숙박시설요. 기사인데 이게 뭐가 문제가 되는건가요? 3 생숙 02:01:58 1,045
1742830 저속 노화하려면 ‘이 영양제’는 꼭 챙겨 먹어라 7 링크 01:53:44 2,492
1742829 집착에서 벗어나는 방법 2 .. 01:34:51 1,011
1742828 무안서 급류에 휩쓸린 60대 사망 ㅠㅠ 4 ㅠㅠ 01:18:13 2,587
1742827 마늘쫑 무침 질문요 1 ㅇㅇ 01:10:52 274
1742826 예보에 다음주 내내 비온다는데 사실인가요 ㅠㅠ 6 adler 01:09:28 2,751
1742825 서초동 보는데...상속포기 7 상속 00:48:13 3,113
1742824 저지방 무가당 그릭요거트추천해 주세요 3 . . . 00:46:22 397
1742823 물놀이 하고 뭘 먹으면 배가 차가워져요 에이디 00:43:18 185
1742822 미웠다가 안미웠다가 자식이 뭔지. . 3 아까 00:41:16 1,383
1742821 얼마 전 남편이랑 싸우고 식욕을 잃었어요 1 ㅎㅎ 00:39:29 1,323
1742820 네이버페이 줍줍 2 ........ 00:30:17 616
1742819 뉴욕에서 한인 유학생 #고연수 씨 석방 촉구 집회 열려 5 light7.. 00:22:08 1,286
1742818 종잡을 수 없는 날씨 3 bab 00:21:32 1,414
1742817 급식 항의한 학부모 논란 22 ㅇㅇ 00:18:36 4,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