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양인들도 쉽게 이혼 하는거

아니던데요 조회수 : 5,691
작성일 : 2011-09-25 22:36:30

국제 재혼에 관련된 글 보다가 생각나 적는데요

서양인들이 결혼 생활 하면서 사랑이 식으면 바이바이가

쉽다고들 하는데 저도 그런 줄 알았거든요?

그런데 아니던데요

제 주위 국제결혼한 커플 몇 있어요

한커플은 남자 미국인

한 커플은 남자 이태리

한커플은 남자 독일인

한커플은 남자 호주인

한커플만 빼고 나머지 친구들 유학하다 현지서 만났어요

4커플 모두 제 친구 혹은 후배.물론 제가 한국여자이니 제 지인도 여자한국인이죠

제 가족중 하나도 미국형부랑 결혼했죠

그래서 제가 살아보진 않고 대화로만 이런저런 말해보면

그들도 가정을 지킨다는 생각이 있다고해요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이 식으면 바이바이 아니래요

우리처럼 부모님와 자식에 대한 개념이 조금 다르지만

결혼시에 배우자 직업 학벌 다 보고 결혼 후에도 사랑이 식어도  살기도 하고

(물론 케이스바이 케이스겠지만) 특히 여자가 능력이 없으면

어떠한 계산 아래 참고 사는 경우도 많대요

단지 잘 드러내진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뭐 어딜가나 경제적 능력이 권력으로 작용하는 구나 생각을 했는데.

어느 곳이나 인간사나 별반 다르지 않더라구요

IP : 222.116.xxx.22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9.25 10:43 PM (121.167.xxx.142)

    인간의 고통을 지수화하면 자식 죽는 거 - 배우자 죽는 거, 그 다음이 이혼하는 거라면서요.
    연애하다 헤어져도 죽네사네 하는데 결혼해서 한 몸으로 살다 헤어지는 건 그 만큼 힘들죠.
    문화가 달라도 인간의 기본적 심성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요.
    단 이혼하고 혼자되는 직업없는 여자의 경우 이혼연금이란 게 있는 나라에서는 폭력이나 도박 같은 최악의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오는 것 같아요.

  • ㅎㅎ
    '11.9.26 7:00 AM (14.37.xxx.18)

    배우자죽음이 첫번째인데...잘못아셨네요..

  • '11.9.26 9:45 AM (121.167.xxx.142)

    저도 배우자죽음이 첫번째인 경우의 기사를 먼저 읽었는대요... 그게 서양인 기준이고 우리나라 특성상 자식의 죽음이 더 크게 느껴진대요.
    상명지통(喪明之痛)이라고 해서 자식의 죽음은 배우자 상실에서 오는 후유증보다 강도가 훨씬 커 자식을 잃은 부모는 오래 살지 못하고 특히 자녀가 급사한 경우 부모의 사망 위험이 훨씬 높아진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중에 나왔어요.

  • 2. 이혼 연금
    '11.9.26 5:02 AM (121.136.xxx.227)

    첨 듣네요

  • 3. 저는
    '11.9.26 6:34 AM (188.99.xxx.49)

    고통지수 배우자 죽음이 1위인거로 알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3320 김문수 내일 까지 버티면 1 차질 17:34:46 204
1713319 이해가 안되네. 지금이라도 김 vs 한 경선하면 안되나요 6 ㅓㅏ 17:33:04 158
1713318 아이스크림메이커추천요 ..... 17:31:18 47
1713317 정의구현사제단, "대법원, 대한민국 전체주권자 선거권 .. 15 MBC 17:16:46 925
1713316 이재명 후보 금산에 13 금산 17:15:55 832
1713315 5월인데 춥네요 10 .. 17:15:10 766
1713314 광장시장은 보는것만으로 재미있네요 10 ㅁㅁ 17:14:30 535
1713313 뭔가를 그렇게 챙겨 가는 사람들은 성격이겠죠? 6 뭔가 챙겨가.. 17:11:24 600
1713312 석열아, 자살해라 22 석열아 17:10:32 1,882
1713311 명품 운동화 중 편한거 뭘까요? 1 . . 17:09:35 364
1713310 민주 "조희대 '국힘 요구' 파기자판 검토 사실여부 밝.. 5 ... 17:08:35 987
1713309 65억 정도 재산이 있다면 어떻게 사시겠어요 15 17:08:20 1,293
1713308 엠비엔은 완전 조희대가 잘못이 없다네요 6 17:08:13 549
1713307 어린이날 백화점 알바하다 컴플레인 11 .. 17:04:32 1,163
1713306 김문수 화이팅! 5 17:04:30 378
1713305 김문수 후보측 ‘한덕수 후보와 단일화 없다’...11일까지 버티.. 16 000 17:03:55 1,487
1713304 써코니 신어보신분 계셔요? 3 ... 17:03:45 210
1713303 여름 쿠션 추천 해주세요 4 ... 17:02:51 241
1713302 백종원 사건 점주들도 잘못있는거 아녜요? 5 ㅇㅇ 16:59:23 889
1713301 유투버 실제로 본 적 있는데 신기하더라구요 1 .. 16:58:51 832
1713300 주식회사 질문드려요 질문 16:55:37 97
1713299 대법원이 조용히 있다가 윤석열 무죄 주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면.. 6 차라리 지금.. 16:55:09 1,145
1713298 이낙연이 부끄러워해야 하는 이유 15 . . 16:53:46 923
1713297 Ktx안에서 항의 하는 방법 2 82쿡의 힘.. 16:53:43 1,015
1713296 이 나라의 사법체계에 환멸을 느껴요. 4 ㅇㅇ 16:51:32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