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잠을 자면 어디로 가는걸까요~~?

희한한 질문 조회수 : 3,578
작성일 : 2024-05-09 01:44:36

숲속 아무도 없는곳에서 나무가 쓰러진다면

나무가 쿵 하고 쓰러지는 소리가 날까요  안날까요?

제가 읽은 책에서는 소리가 안난다고 합니다.

나무가 소리 주파수(?) 발신을  하긴  하는데(송신기)

아무도 없으니 소리를 들을 귀(수신기) 가 없어서

우리가 아는 쿵~ 소리는 나지 않는다고 해요

(영성도서)

 

 

요즘 제가 잘때 밤새도록 음악을 틀어놓거든요

그래도 잠도 푹 잘 잘자요

그래서 문득 궁금하더라고요

나의 뇌는 음악소리를 밤새 들었을까?

아니면 잠들때까지만 듣고

푹 잠들때는 음악소리를 듣지 않을까?

그렇다면 자는동안 음악소리가 나지 않는 다른곳에 가 있는걸까?   거긴 어딜까?

 

 

너무 희한한 질문이죠?

그냥 오늘 또 잠자려니 문득 궁금해져요

가끔 이런 알 수없는 것들이 궁금해지곤 합니다

 

 

 

IP : 175.223.xxx.118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5.9 5:33 AM (106.101.xxx.104) - 삭제된댓글

    진짜 그럴까요?

    전 반대로 나무들도 커뮤니케이션을 한다는 bbc뉴스를 봤어요. 나무 밑 뿌리를 통해 곰팡이 버섯류 등으로 서로 의사소통한다네요.
    https://youtu.be/yWOqeyPIVRo?si=VzrwP1wGlchzxBCE

  • 2. ㅇㅇ
    '24.5.9 5:55 AM (73.109.xxx.43)

    나무 쓰러지는 소리는 작가의 의도가 뭔지 모르겠지만 말은 안되네요

  • 3. ..
    '24.5.9 7:08 AM (118.217.xxx.96)

    잠을 자면 어디로 가는지는 몰라도
    잠을 안자면 정신병원 가는건 분명해요

  • 4. ..
    '24.5.9 7:20 AM (49.186.xxx.220) - 삭제된댓글

    뇌 일부는 자기도 하지만
    호흡처럼 중요한 자율신경은 계속 작동하죠.
    아무데도 가지는 않아요.

  • 5. ..
    '24.5.9 7:23 AM (49.186.xxx.220)

    뇌 일부는 자기도 하지만
    호흡처럼 중요한 자율신경은 계속 작동하죠.
    아무데도 가지는 않아요.
    근데 초등 저학년 정도의 질문이네요 ;;;

  • 6. 퍼플로즈
    '24.5.9 8:26 AM (1.243.xxx.171) - 삭제된댓글

    나무가 쓰러질 때 나무가지와 잎이 충격을 흡수해서 그런걸
    아닐까 싶네요

  • 7. 영이
    '24.5.9 8:31 AM (106.102.xxx.113)

    몸에서 벗어나 활동해서 꿈을 꾸는거래요.

  • 8.
    '24.5.9 8:32 AM (14.63.xxx.127)

    이 글 괜히 봤어요. 죄송.

  • 9. 아하
    '24.5.9 9:17 AM (115.143.xxx.239) - 삭제된댓글

    소리는 우리의 인식작용 중 하나죠. 그러니 듣는 인식이 없다면 소리는 없는 거겠죠. 나무가 쓰러지며 다른 것(공기, 다른 나무등등)과 부딪침은 있지만요.
    불교의 12연기로 설명할 수 있는 이야기 같아요.

  • 10. 아하
    '24.5.9 9:31 AM (115.143.xxx.239) - 삭제된댓글

    소리는 우리의 인식작용 중 하나죠. 그러니 듣는 인식이 없다면 소리는 없는 거겠죠. 나무가 쓰러지며 다른 것(공기, 다른 나무등등)과 부딪침은 있지만요.
    불교의 12연기로 설명할 수 있는 이야기 같아요.
    최근 뇌과학에서는 밤의 꿈 뿐 아니라 낮의 깨어있음도 꿈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고 들었어요.
    원글님 질문은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과도 맞닿아 있는듯 합니다.

  • 11. 아하
    '24.5.9 10:27 AM (115.143.xxx.239) - 삭제된댓글

    소리는 우리의 인식작용 중 하나죠. 그러니 듣는 인식이 없다면 소리는 없는 거겠죠. 나무가 쓰러지며 다른 것(공기, 다른 나무등등)과 부딪침은 있지만요.
    불교의 12연기(6근, 6경, 12입처)로 설명할 수 있는 이야기 같아요.
    최근 뇌과학에서는 밤의 꿈 뿐 아니라 낮의 깨어있음도 꿈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고 들었어요.
    원글님 질문은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과도 맞닿아 있는듯 합니다.

  • 12. 아하
    '24.5.9 10:28 AM (115.143.xxx.239) - 삭제된댓글

    소리는 우리의 인식작용 중 하나죠. 그러니 듣는 인식이 없다면 소리는 없는 거겠죠. 나무가 쓰러지며 다른 것(공기, 다른 나무등등)과 부딪침은 있지만요.
    불교의 연기법 중 6근, 6경, 12입처로 설명할 수 있는 이야기 같아요.
    최근 뇌과학에서는 밤의 꿈 뿐 아니라 낮의 깨어있음도 꿈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고 들었어요.
    원글님 질문은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과도 맞닿아 있는듯 합니다.

  • 13. 아하
    '24.5.9 10:34 AM (115.143.xxx.239)

    소리는 인식작용 중 하나죠. 그러니 듣는 인식이 없다면 소리는 없는 거겠죠. 나무가 쓰러지며 다른 것(공기, 다른 나무등등)과 부딪침은 있지만요.
    불교의 연기법 중 6근, 6경, 12입처로 설명할 수 있는 이야기 같아요.
    최근 뇌과학에서는 밤의 꿈 뿐 아니라 낮의 깨어있음도 꿈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고 들었어요.
    원글님 질문은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과도 맞닿아 있는듯 합니다.

  • 14. ㄷㄷ
    '24.5.9 10:40 AM (58.29.xxx.223)

    그숲에 사는 동물들은 소리를 들어야죠
    걔들도 귀있는데
    나무쓰러지는게 무음이 된다면
    무인도 하늘위 새우는 소리도 무음이겠네요

  • 15.
    '24.5.9 11:43 AM (175.223.xxx.118)

    아하님의 댓글이 조금 통(?!)하는 바가 있네요
    맞아요
    나는 누구인가 와도 맞닿아있죠
    아직 제가 부족하여 명쾌하게 잘 알고싶었어요
    쉽게 질문하면 왠지 쉬운 댓글 달리고
    어느순간 저도 훅 깨달음이 올까 싶어서요

    각자의 우주가 다 다르게 존재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숲에 오감을 가진 개가 있다면
    개의 우주에서는 쿵 소리가 들렸겠죠
    하지만 저의 우주 그리고 여러분 각자의 우주에서는
    아무소리도 안들리는 것이고요

    한곳에 여러 사람이 있다연
    그 사람수만큼의 우주가 중첩되어 있다고 해요
    중첩이 가능한 이유는
    모든것이 텅 비었고(양자물리학)
    모든것이 빛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중첩되는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각자의 우주는 다 별도익ᆢ
    다른 의식수준만큼이나 다른 세계라고 합니다
    각자의 무의식에 어떤게 들어있는지에
    즉 무엇이 억압되어있는지에 따라
    다른 세계가 펼쳐지니까요
    요건 너무 받아들이기가 어려우실수도..

    혹시 관심있는 분 계시다면
    또 담기회에 이야기 나누어요 ^^

  • 16. 아하
    '24.5.9 12:25 PM (115.143.xxx.239)

    당연히 감각기관 중 소리로 인식하는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는 생명체는 그 부딪침을 소리로 인식 합니다.
    그러나 다른 것으로, 예를 들면 전파로 인식하는 생명체는 전파로 인식하겠지요.그러니 실상은 소리도 인연따라 있는 것이지 소리라는 실체는 없는 것이지요. 이런 식의 사고를 끝까지 밀어 붙이면 결국 무아가 됩니다.
    고정된 실체는 없는 것이지요.

  • 17. 수면장애십계명
    '24.5.9 2:05 PM (223.39.xxx.66) - 삭제된댓글

    대한수면학회도 이를 함께 기념한다. 수면 장애 환자들 위한 '수면 십계명'도 내놓은 적이 있다.

    첫째 계명은 "일요일에 늦잠을 자지 말라"는 것. 그 늦잠이 일요일 밤 불면증을 불러올 수 있어서다. 그 다음으론 "잠자리에 들기 전에 먹고 마시는 것을 삼가하라"는 것도 있다. 잠을 자는 동안 위장도 쉬어야 하는데, 음식물 섭취는 위장에 부담을 줄 뿐 아니라, 자율 신경계와 심장을 지치게 한다. 편히 잠들기 어렵게 만든다.

    또 △각성효과 있는 카페인과 니코틴을 피하라 △가능하면 운동을 매일 규칙적으로 하고, 낮 시간에 밝은 햇볕 아래서 실시하라 △실내는 선선하게 유지하고 손발은 따뜻하게 하라 △낮잠은 짧게 자라 △황제의 침실을 부러워 마라 등도 있다.

    특히, 침실에서 TV나 라디오는 멀리하라는 것도 있다. 이런 소음은 시각, 청각을 자극해 우리 뇌를 깨우기 때문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6/0000075645?sid=102

  • 18. 수면장애십계명
    '24.5.9 2:07 PM (223.39.xxx.66)

    3월 15일은 '세계 수면의 날'이다. 세계수면학회가 2008년 제정했다. 올해 슬로건은 '모두가 잘 자는 건강한 사회'. 나라별, 직업별, 개인별로 환경은 다르지만 저마다 수면장애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잠 자는 것만이라도 평등해지자는 바람을 담고 있다.

    대한수면학회도 이를 함께 기념한다. 수면 장애 환자들 위한 '수면 십계명'도 내놓은 적이 있다.

    첫째 계명은 "일요일에 늦잠을 자지 말라"는 것. 그 늦잠이 일요일 밤 불면증을 불러올 수 있어서다. 그 다음으론 "잠자리에 들기 전에 먹고 마시는 것을 삼가하라"는 것도 있다. 잠을 자는 동안 위장도 쉬어야 하는데, 음식물 섭취는 위장에 부담을 줄 뿐 아니라, 자율 신경계와 심장을 지치게 한다. 편히 잠들기 어렵게 만든다.

    또 △각성효과 있는 카페인과 니코틴을 피하라 △가능하면 운동을 매일 규칙적으로 하고, 낮 시간에 밝은 햇볕 아래서 실시하라 △실내는 선선하게 유지하고 손발은 따뜻하게 하라 △낮잠은 짧게 자라 △황제의 침실을 부러워 마라 등도 있다.

    특히, 침실에서 TV나 라디오는 멀리하라는 것도 있다. 이런 소음은 시각, 청각을 자극해 우리 뇌를 깨우기 때문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6/0000075645?sid=102

  • 19. ㅎㅎ
    '24.5.9 2:18 PM (73.109.xxx.43)

    저도 이 글 괜히 봤네요

  • 20. 마수리
    '24.5.9 9:00 PM (14.33.xxx.159)

    화두를 던지시네요
    좋은글

  • 21. ...
    '24.5.10 6:46 AM (116.40.xxx.16)

    글 괜히 봤어요. 33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5032 성공한 사람들 보면 공통점이 39 sege 2024/05/22 12,444
1595031 안 쓰는 미니오븐을 생선구이전용으로 쓸까요???? 5 ㅇㅇㅇ 2024/05/22 1,252
1595030 이더리움 갖고있는 게 나을까요? 7 코린이 2024/05/22 1,682
1595029 조선일보 행사 대거 참석...윤대통령 "전통•권위의 정.. 2 역시 같은 .. 2024/05/22 1,424
1595028 치매라는게... 6 어느날이라도.. 2024/05/22 2,004
1595027 지금 병원인데... 위로, 조언 좀 부탁드려요. 8 ㅡㅡ 2024/05/22 3,609
1595026 라인야후, 동남아 네이버에 안 넘긴다.. 협상 가시밭길 예고 7 .. 2024/05/22 1,546
1595025 엄청 맛있는 비빔밥 해먹었어요 2 .. 2024/05/22 3,149
1595024 두피에 데오드란트 발라보신분있나요? 3 체취고민 2024/05/22 794
1595023 나경원 “채상병 특검법 거부권 적절…野 공수처결과 기다려야” 13 ... 2024/05/22 1,880
1595022 다들 어디에 소비를 많이 하시나요? 20 ... 2024/05/22 4,057
1595021 에어컨구입하셨나요?? 2 에어컨 2024/05/22 791
1595020 맛있게 구워지는 생선 구이기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생선구이 2024/05/22 1,133
1595019 펄 끓이기 사용처 아줌마 2024/05/22 359
1595018 주름생긴다고 살 안빼는 사람들 8 주름 2024/05/22 3,239
1595017 노견입니다. 사료 어떤걸 먹이시나요?? 7 10살 멍멍.. 2024/05/22 582
1595016 민희진 개털될것 같네요 81 p, 2024/05/22 19,838
1595015 돼지고기 다짐육 유부초밥에 어울릴까요? 2 ... 2024/05/22 416
1595014 인생의 세 가지복 ㅡ평안.건강.손해의 복 18 .. 2024/05/22 4,073
1595013 약과 쌉니다 3 ㅇㅇ 2024/05/22 1,489
1595012 홈메이드 단호박 식혜 부작용~ 5 오마이 2024/05/22 1,910
1595011 류마티스는 어디가 유명한가요? 12 ... 2024/05/22 1,396
1595010 실손보험1세대하신 분들 유지하고 계시나요 ? 8 실비 2024/05/22 2,407
1595009 눈 아래 그리고 등뒤가 움찔하는 증상 1 마미 2024/05/22 512
1595008 성폭행 당한 테슬라 뉴스 보셨나요? 3 헐.. 2024/05/22 5,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