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장례비용 처리 보통 어떻게 하나요?

질문 조회수 : 4,418
작성일 : 2024-03-24 07:00:43

예를 들어 돌아가신분 자녀가 4남매일 경우

1. 전체 조의금 들어온거에서  장례비 정산하고 남는거 4분의1로 나누어 가짐, 

 2. 4남매 각자 자기한테 들어온 조의금 챙기고 장례비 n분의1로 각출

첫번째로 하면 조문객 많이 온 자식이 불만이 생길거고 두번째가 합리적인거 같은데 이렇게 많이 하나요?

IP : 175.208.xxx.164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두번째로
    '24.3.24 7:06 AM (121.166.xxx.208)

    꼭 정해진 법이 있나요? 쓴 글처럼 두번째가 합리적이라고 쓰셨네요

  • 2. 동원
    '24.3.24 7:14 AM (180.66.xxx.5) - 삭제된댓글

    고인 지인들도 조의금보내니
    4남매 고인 이렇게 분류해서
    고인에게 들어온걸 1차로 하고 부족한건
    자녀들이 엔분의일로 내요.

  • 3. ..
    '24.3.24 7:16 AM (49.170.xxx.81) - 삭제된댓글

    조의금도 어떻게 보면 그게 다 빚인데..
    각자의 빛은 각자 챙긴다는 면에서 2번요

  • 4.
    '24.3.24 7:21 AM (211.57.xxx.44)

    이번에 제 본가에서 1번 방식으로 했는데
    조의금 가장 많이 들어온집이 두고두고 서운해하고 말나오더라고요....

    어른들 일이라 가만있었지만
    1번은 불합리하죠
    들어온돈 다 빚인데요....

  • 5. ……
    '24.3.24 7:28 AM (211.245.xxx.245) - 삭제된댓글

    3남매 중 저희만 압도적으로 많이 들어와서
    동생들은 들어온 만큼 돌려주고
    부모님 앞으로 온 조의금과 저희걸로 비용치뤘어요

  • 6. .''
    '24.3.24 7:28 AM (49.170.xxx.81)

    저희 아버지 장례때 했던 방법은요
    조의금도 어떻게 보면 빚인데
    각자의 빚은 각자 해결한다는 의미에서 각자 들어온 거 각자 나누고요 아버지 지인분이나 친척분들 명의의 조의금 들어온걸로 장례비 해결 하고 거기서 남은 금액은 큰 남동생이 보관하다가 (둘째 남동생은 해외 거주. 저는 건강이 안좋아요. 차례나 제사는 큰 동생이 지내기로함.) 제사 제수비용 및 차례비로 쓰거나 저희 남매들 모여서 외식할때 식사비용으로 쓰고 아버지 사시던 집 아직 매매가 안되어서 그 집 수리비용으로도 썼구요. 큰 동생이 지출 내용 매번 공개하구요.

  • 7. 집집마다
    '24.3.24 7:29 AM (118.235.xxx.3) - 삭제된댓글

    일단 장례비 제하고
    대략 많이 들어온집 인사비용 조금많이
    나머지도 섭섭지 않게 배분 . 많이 들어온 집이 서운해했어요
    많이 받은 집에서 제안하면 몰라도 들어온 것 적은 집에서 엔분의 일 하자면 양심없는 거죠
    여튼 부의금 없는 집이라도 따로 돈 내야하는 일은 없게 처리하죠

  • 8. ...
    '24.3.24 7:30 AM (221.146.xxx.184)

    우린 두번째 방법으로 했어요.
    막내가 현직에 있고 대기업 임원이라서 조의금이 가장 많이 들어와서 들어온 비율 정해서 나눴어요.
    또 갚아야할 빚이니까 요. 똑같이 나누면 불만이 있죠.

  • 9. ,,,
    '24.3.24 7:30 AM (24.4.xxx.71)

    장례비용은 부모님 돈으로 처리하고 들어 온 돈은 각자 자기 것 가져 갔어요
    어차피 빚이고 저 같은 경우는 여기저기 알리는거 싫어 해서 이렇게 하는 게 마음이 더 편해요

  • 10. 에고고
    '24.3.24 7:32 AM (118.235.xxx.205)

    저흰 일단 장례비용 싹 계산해서 내고 남은 건 어머님 드렸어요
    저희집으로 들어온 부의금이 반도 넘었지만 부모님 장례에 돈 따지는 건 좀 그랬는데 큰집에서 자기들꺼 남은 거 달라고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드림요

  • 11. 저희도
    '24.3.24 7:38 AM (1.235.xxx.154)

    두번째로 했어요
    비슷하게 들어왔고..

  • 12. 비용
    '24.3.24 8:29 AM (222.109.xxx.93)

    일단 들어온돈으로 다 처리하고 남는돈은 들오온돈 비율로 나눠가져요

    그런데 젤 현명한건 재산가지고 싸움하지말고 부모님돈으로 다 처리하고 각자 돈 가져가는게 좋습니다
    각자 받는돈도 있어서 들어온돈가지고 사용하는건 분명 억울한 사람이나옴~~

  • 13. ㅇㅂㅇ
    '24.3.24 8:39 AM (182.215.xxx.32)

    2번이죠...

  • 14. 바람소리2
    '24.3.24 8:43 AM (114.204.xxx.203)

    각자 자기꺼 갖고 1/n

  • 15. ...
    '24.3.24 8:44 AM (114.200.xxx.129)

    2번이 낫네요... 저희집은 1번으로 하면 제동생이 완전 제대로 불리한 방법이예요 ... 조문객이 부모님 보다 남동생 얼굴 보고 오는 쪽이 굉장히 많았거든요... 사업해서 아는 인맥들도많구요..1번으로 하면 제가 미안해서 못받죠... 저하고는 비교도 안되게 동생쪽이 월등하니까요...

  • 16. ...
    '24.3.24 9:53 AM (122.36.xxx.161) - 삭제된댓글

    장남이나 아들에게 거의 몰빵하다시피 하는 집들은 어떻게 계산해야하는 거죠? 조의금이 얼마나 된다고...

  • 17. ...
    '24.3.24 9:54 AM (122.36.xxx.161) - 삭제된댓글

    게다가 장남들은 친지들의 조의금은 자기한테 들어온거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많이 받은 사람든 모든 것이 자기 것이라 생각하기 마련이거든요.

  • 18. .....
    '24.3.24 10:00 AM (110.9.xxx.70) - 삭제된댓글

    저희는 조의금에서 장례비 치르고 남은 돈은 전부 어머니 드렸어요. 나중에 어머니 때 조의금은형제계 계좌에 넣기로 했어요.

  • 19.
    '24.3.24 10:43 AM (14.38.xxx.186) - 삭제된댓글

    어머니상때 남은돈을 남편이 똑같이 나누자고 했는데 아무도 고마워하지 않더군요
    ㅡ남편앞으로 거의 반 들어왔어요
    시부상때 비율대로 나눴더니
    싸한 분위기
    웃기지요

  • 20. 저흰
    '24.3.24 1:28 PM (110.15.xxx.45)

    2번이되
    장례비는 n분의 1로 나누고
    식사값은 조의금 비율대로 나눴습니다
    조금 복잡하가 해도 가장 합리적이라
    형제들 불만 없었어요

  • 21. 반면
    '24.3.24 1:30 PM (110.15.xxx.45) - 삭제된댓글

    시가에선 조의금 엔분의 일로 안준다고
    절연한 형제도 있어요
    본인 이름으로 들어온 조의금으로 보면 엔분의 1로 계산한 장례비도 못낼 금액인데 ㅠㅠ

  • 22. ..
    '24.3.24 8:20 PM (61.254.xxx.115)

    당연 2번이죠 손님들 오신거 다 빚인데요 각자 자기꺼 갖고 1/n

  • 23. ㅇㅇ
    '24.3.24 9:32 PM (58.140.xxx.1)

    장례비는 n분의 1로 나누고
    식사값은 조의금 비율대로 나눴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62091 한동훈 카톡 비번풀이에 걸리는 시간은 11 논리적접근 2024/03/24 2,304
1562090 부자 언니들 행복하신가요?? 9 dddd 2024/03/24 5,431
1562089 혹시 친정어머니가 싫은 분 계신가요? 26 이름 2024/03/24 5,107
1562088 구례 화엄사 화엄 매화 보세요 7 ... 2024/03/24 3,483
1562087 한동훈이 가발과 키높이는 사실인 듯.... 20 ******.. 2024/03/24 5,920
1562086 조국대표 연설은 진짜네요. 23 진짜다 2024/03/24 4,284
1562085 편의점 알바나 운영해보신 분 5 ove 2024/03/24 2,157
1562084 심각한 중국의 원전상황...한국 암환자 급증은 이것같음 10 .... 2024/03/24 4,431
1562083 김치전 이거 세가지면 대박이에요 36 아우 2024/03/24 22,971
1562082 오랜만에 하이킥2 다시 보는데 아련하네요 2 ..... 2024/03/24 1,210
1562081 임종 면회 가는데요 4 시어머니 2024/03/24 4,775
1562080 자식을 먼저보낸 부모마음 21 주변 2024/03/24 8,344
1562079 비트코인 끝내주네요 3 ........ 2024/03/24 5,714
1562078 변기에서 물이 새고 있어요 3 조언 2024/03/24 1,753
1562077 남편..착한줄 알고 결혼했는데 아주 성질이 ㅠ 9 .. 2024/03/24 5,999
1562076 이재명 “전국민 가구에 평균 100만원 ‘민생회복지원금’ 지원”.. 43 ... 2024/03/24 4,250
1562075 저의 유일한 사치? 7 2024/03/24 4,848
1562074 푸바오 짠하네요 ㅠ 21 aa 2024/03/24 7,292
1562073 아이가 치과 교정장치를 6 까밀라 2024/03/24 1,631
1562072 해외여행동안 성향차이 8 여행성향 2024/03/24 2,498
1562071 고등아이가 만약 일방적 폭행이라도 맞고 대응안한대요 27 글쎄 2024/03/24 3,140
1562070 강원랜드 가보신 분들 7 강원 2024/03/24 1,453
1562069 친구의 억울한 죽음 이후 29 ㅇㅇ 2024/03/24 23,882
1562068 둘째(막내) 고양이가 자꾸 이불에 오줌을 싸요 23 미호 2024/03/24 2,207
1562067 고양이 발톱 흉터 7 봄봄 2024/03/24 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