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죽음의 과정에 대한 설명(펌)

초인대사 조회수 : 5,872
작성일 : 2023-12-05 19:06:42

죽음을 고통스럽거나 무섭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탄생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처럼 죽음도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탄생이 조금 다르고 혼란스러운 이 세계로 들어오는 것이라면

죽음은 다르기는 하지만 조금 더 밝은 천상의 세계로

돌아가는 것뿐입니다.

사람들은 삶은 대단히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죽음에 대해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구에서 보내게 되는 80년 남짓한 수명 보다도

영적인 삶은 훨씬 더 깁니다.

영혼의 삶은 육신의 죽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죽은 후에도 여전히 생각하고 느끼지만 육체적인 중량감만 없을 뿐입니다.

이 얼마나 좋으며 다행스러운 일입니까?

마침내 아픔과 고통을 이 땅에 남겨두고 떠날 수 있으니까요.

은색의 혼줄(silver cord)이 몸을 떠나게 되면

사랑하는 이들이 천상에서 여러분을 맞이할 것입니다.

이때는 재결합의 기쁨 , 평화의 시간입니다.

며칠 , 몇달 , 몇년의 휴식을 취한후에

(사실은 시간을 초월해 있음)

자신이 살아온 지난 날의 삶을 되돌아보고

자신이 성취한 일과 과오를 명확하게 인지하게 됩니다.

아무도 여러분을 심판하지 않습니다.

오직 자신만이 스스로를 심판할 뿐입니다.

그러고 나면 자신이 행한 과오나 실수에 대해

어떻게 보상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그 이후 다시 지구에 육화할때까지 얼마동안 천상계의 교육시설에서

충분히 배우게 됩니다.

천상에서의 상황이 지구보다 훨씬 더 자연스럽고 편하다는 것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그러니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https://blog.naver.com/hiiya808/222020574429

 

우리 모두는 지구로 다시 돌아와서 육화해야 됩니까?

 

답변: 아닙니다,영적 성취가 어느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멀리 떨어져있는 성좌의 다른 행성에서 삶을 체험할 수있습니다. 대개 다른 행성에 사는 사람들은 지구인간들보다는 더 진화되어 있는 것을 기억해 두세요. 그들은 우리보다 5,6,7차원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구와 비슷한  3차원적인 행성도 있는데, 지구와 좀 다르기는 해도 그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땅을 근거로 해서 살아갑니다. 물론 천계에서도 영적 성장을 할 수가 있으나, 지구와 비교했을 때는 엄청나게 느립니다. 천계에서는 오직 사랑과 빛만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지구에는 전쟁과 배고픔,질병,증오,노여움,질투등 많은 것들을 극복할 기회도 가지게 됩니다! 이 얼마나 멋진 훈련소입니까? 노력만 하면 얼마든지 빨리 배울 수가 있으니 말입니다!

 

그러나 정신없이 바쁘게 살아가는 지구에서의 삶이 정말 싫고 이제는 다른 행성에서 삶을 체험해보고 싶다면, 이러한 상황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여러분들 중에 대부분은 이미 서로 다른 놀라운 별들에서 많은 삶을 체험해 왔습니다! 선택과 책임은 항상 여러분의 몫입니다!

 

 

IP : 125.183.xxx.168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3.12.5 7:09 PM (118.235.xxx.15)

    태어난다구요!!!! 싫어욧!

  • 2. ㅋㅋㅋ
    '23.12.5 7:10 PM (112.166.xxx.103)

    이걸 누가 알아요.
    글쓴이가 죽아봤데요???

  • 3. 덍구라
    '23.12.5 7:11 PM (220.117.xxx.61)

    이런 땡구라같은 스토리텔링을
    사람들이 믿나요?
    죽으면 그냥 소멸이에요. 휙 사라지는거

  • 4. 다시
    '23.12.5 7:15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태어난다고요? 안 돼욧!!!!?

  • 5. 죽음이
    '23.12.5 7:20 PM (223.39.xxx.230) - 삭제된댓글

    죽음이 막연하게 두려운 존재이긴 한데..

    이 세상에 태어나서 선하고, 반듯하고, 열정을 다해서
    살다가 죽음을 맞이한다는 전제하에 죽음을 떠올려보면
    그리 두렵지만은 않을것 같긴해요.

    그치만 그렇게 살다가 죽는게 좀 판타지 같다는..
    이승에서의 삶이 그리 녹록치 않으니까요.

    소망하길
    죽은후 맞는 차원다른 세계는
    따뜻하고 평온한 안식의 공간이길 바랍니다

  • 6. ...
    '23.12.5 7:30 PM (106.101.xxx.65) - 삭제된댓글

    글쎄요...

  • 7.
    '23.12.5 7:35 PM (39.117.xxx.171)

    저는 죽은담에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해요 그러길 바라구요
    그리고 안무섭습니다
    죽기전 아플까봐 그게 무섭지 죽음은 끝이니까 좋은거죠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말이 젤 이해안갑니다
    태어난 김에 사는데 좋을게 뭐가 있나요
    요람과 무덤사이는 고통만 있죠

  • 8. 그냥 자연속으로
    '23.12.5 7:39 PM (14.47.xxx.212)

    으..죽어서도 어느 누구도 만나고 싶지않아요. 그냥 먼지가 되어 멀리멀리 흩어져버렸으면 좋겠어요.

  • 9. 흠냐
    '23.12.5 8:01 PM (49.175.xxx.11)

    사후세계를 믿는 사람들이 이해안돼요.
    그냥 스위치 꺼지는건데.

  • 10. ...
    '23.12.5 9:11 PM (223.38.xxx.111)

    저는 무교고 종교가 모순된 게 많다고 생각하지만
    사후세계는 있는 거 같아요
    불교 기독교도 사후세계를 말하고 있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선하게 살고 잘못을
    깨닫고 성찰하려는 자세

  • 11. ...
    '23.12.5 9:16 PM (211.206.xxx.191)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선하게 살고 잘못을
    깨닫고 성찰하려는 자세.2222222222222222222222

  • 12.
    '23.12.5 9:17 PM (106.101.xxx.108)

    사후세계가 있다는걸 못믿겠으면
    없다는것도 확언할수 없는거죠
    어차피 죽어보기전에는...

  • 13. ㅎㅎ
    '23.12.5 9:38 PM (183.98.xxx.141)

    블로그를 다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저는 이미 믿고있는 바입니다. 십대때부터 긴 공부의 결과인데요,
    다음생은 천화하기로 마음먹었지만 이 모든 실질적인 체험이 너무 그리울것같아요. 사실 정말 재밌잖아요
    제 직업, 내가 도와준 사람들의 미소, 손길
    아이가 보내오는 학교생활 사진들
    겨울이면 또 몰두하는 패딩, 코트사기...ㅎ 정말 아름다운 세상이에요
    하지만 다음엔...



    브릿 말링 자가/감독님의 OA를 보면 그녀도 제법 이해하고 있더라구요
    조지타운 졸업식에서 그녀가 한 축하 연설을 보면 그도 역시 이번 생을 참 잘 즐기고 있더라구요

  • 14. ㅇㅇ
    '23.12.5 9:45 PM (125.187.xxx.79)

    환생의 영혼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영혼들이 합쳐지고 나뉘면서 새로운 영혼이되어 환생하는거라고 들었어요
    선업이든 악업이든 같이 갚아나가는거라고..
    종교없지만 모든종교에서 이웃을 사랑하라고 하쟎아요
    결국 우리는 다 하나라는거죠

  • 15. ..
    '23.12.6 1:34 AM (106.101.xxx.163) - 삭제된댓글

    영혼이 있긴 있어요?
    영혼은 없는것같음

  • 16. 감사
    '23.12.6 7:44 PM (118.235.xxx.84) - 삭제된댓글

    감사합니다
    책 저장해요

  • 17. 감사
    '23.12.6 7:45 PM (118.235.xxx.84) - 삭제된댓글

    감사합니다
    저장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6283 왜 강동원 강동원 하는지 15 ㅇㅇ 01:28:36 5,349
1756282 학원입장에서 퇴원권유를 드렸는데요 27 질문드려요 01:27:31 4,876
1756281 밀봉돼있지만 2년 된 김밥김 먹어도 되나요? 15 ... 01:15:29 2,639
1756280 명절에 제사 지내면 미개해보일것 같음 26 이제 00:57:59 3,034
1756279 명절에 이제 며느리는 손님 아니에요? 26 ㅇㅇ 00:33:14 3,472
1756278 명동에서 시위하던 극우들 .. 12 그냥 00:28:07 2,385
1756277 전 45세 이후부터 사람들이 더 찾아요 8 40이후 00:11:59 4,032
1756276 기침 어떻게 해야 나아지나요 ㅜㅜ 28 기침 00:05:16 1,982
1756275 19금? 이수지 랑데뷰미용실 ㅋㅋㅋㅋ 14 ㅋㅋㅋ 00:01:11 5,843
1756274 이재명 대통령 해외 원조 보고 지시 2 눈먼돈돈 2025/09/17 1,681
1756273 김장환 목사, 한미동맹대상 받아 8 ... 2025/09/17 1,610
1756272 유튜브 월 20~30 수입 소득신고 ? 8 궁금 2025/09/17 2,832
1756271 일본은 그간 sns도 안만들고 6 ㅎㄹㄹㅇ 2025/09/17 2,263
1756270 28기 여자들 정희옥순 빼고 나머지여자 다 귀에 거슬려요 3 Abcsef.. 2025/09/17 3,116
1756269 우연일까요?...李 판결 30분만에 대선 등판한 한덕수 14 같은 5월 .. 2025/09/17 3,938
1756268 scallion oil noodle 맛 보신분? 1 중국마트 2025/09/17 558
1756267 중학생아이 데릴러가야 될까요? 21 .. 2025/09/17 2,613
1756266 김상민 구속영장 발부 소식 아직이죠? 7 ... 2025/09/17 1,607
1756265 테슬라...분할매수가 나을까요? 3 ㄷㄷ 2025/09/17 1,698
1756264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실, 사람중심의 AI 전환 ../.. 2025/09/17 266
1756263 최근 들은 웃긴 말이 3 awgwe 2025/09/17 2,387
1756262 사위 며느리는 생신 명절에 참석하면 다한거예요 16 2025/09/17 3,224
1756261 형사들이 정말 가죽자켓입어요? 9 0u 2025/09/17 1,663
1756260 친정에 아예 무관심한 남편 25 sw 2025/09/17 3,964
1756259 50대 초반 단발 스타일 추천해 주세요. 2 .. 2025/09/17 1,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