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교사이신 분들.. 자녀 고3때 휴직하셨나요?

... 조회수 : 4,375
작성일 : 2023-11-19 18:12:09

첫째가 내년 고3인데 우울증도 있고 해서 제가 더 살뜰히 챙겨줘야할 것 같은데 일하면서는 아무래도 힘들 것 같아서 휴직 생각 중이에요. 그냥 엄마가 일 하는게 아이가 스트레스 덜 받을 거라는 얘기도 듣긴 했는데 보통 어떻게들 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IP : 223.38.xxx.215
3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3.11.19 6:17 PM (115.138.xxx.73)

    아이랑 평소에 궁합이 어떤지
    아이 스트레스주는 성격 아니고 아이도 엄마를 필요로 하면 하시고 아니면 굳이요 보통 공부하다가 늦게 들어오지않나요?

  • 2.
    '23.11.19 6:22 PM (125.142.xxx.146) - 삭제된댓글

    고3은 자기가ㅜ알아서 해야죠. 엄마할거 별로 없어요

  • 3. 학교선생님
    '23.11.19 6:23 PM (183.98.xxx.141) - 삭제된댓글

    끝나는 시간보다 학생이 더 늦게 오지 않아요?
    챙겨줄 마지막 1년이라며 일 그만두는 조무사, 치과의사 이렇게 두 사람 아는데 두분다 뜨신 밥 해줬다고 위안하시던데 옆에서보기엔 글쎄요

  • 4. 공부는
    '23.11.19 6:24 PM (59.1.xxx.109)

    지 스스로 알아서 하는 사람이 성공 하던데요

  • 5. 50개
    '23.11.19 6:24 PM (211.211.xxx.245)

    저는 삼수를 시켰는데도 현직에 있었어요.
    한 일은 주로 차로 데려오기. 주말에 대치동 나르기인데 그 때는 젊어서 가능했던 거 같아요.
    휴직하고 밥 따뜻하게 차려주고 통학도 시키면 좋을 거 같기는 한데 엄마가 안정적인 성품이시면 추천합니다. 아니면 각자 열심히 사는 걸로 하심이…

  • 6. ..
    '23.11.19 6:27 PM (211.206.xxx.191)

    내기 휴직까지 하고 널 뒷바라지 했는데 하며
    수능 결과에 연연해 하지 않으실 거죠?

    아이한테 물어 보고 결정하세요.
    너무 부담스러울 듯.

  • 7. 수원
    '23.11.19 6:28 PM (106.101.xxx.157)

    초1때 휴직했는데 고 3때는 밥 영양제만 잘 챙겨주면 되었어요.

  • 8. ..
    '23.11.19 6:28 PM (118.223.xxx.43)

    아이가 아침 일찍 나가 밤늦게 오는데 엄마가 왜 일을 쉬어요

  • 9. ...
    '23.11.19 6:31 PM (211.109.xxx.157) - 삭제된댓글

    의대학종 준비했는데 자소서도 있던 시절이라 첫째 고3때는 휴직했는데 딱히 휴직까진 필요없더라구요
    둘째때는 직장 나갔어요

  • 10. 아이고
    '23.11.19 6:34 PM (118.217.xxx.114) - 삭제된댓글

    저는 2년 터울 애들 둘다 재수를 해서
    4년간 수험생 엄마로 살았는데
    직장에 나가지 않고 아이만 바라봤으면
    힘들었을거 같아요.

    저는 고등학교 근무라 그랬는지
    출근해서 입시정보도 얻고
    동향도 파악하고
    입시생들 고충도 듣고
    다른 선생님들과 수다도 떨고
    그게 큰 힘이 되었던거 같아요.

    학교에서 아이 고 3이라고 담임 빼달라는
    사람은 봤어도 휴직하는 사람 못봤어요.

    아이 나름이겠으나 밥만 잘챙겨주고
    정신적으로 기댈수 있는 쉼터가되주는게
    더 중요해요.

  • 11. ...
    '23.11.19 6:35 PM (223.38.xxx.215)

    저희 아이가 심하진 않지만 우울증이 있어서 학원도 안다니고 집에만 있어요. 집에 오면 밥도 챙겨주고 같이 누워 느긋하게 얘기도 하면 힘든 시기 좀 편하게 지내지 않을까 싶어서요. 일하면 아무래도 아이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이 많이지니 ㅠㅠ 휴직하면 제가 편한 것도 있어서 희생이라고 생각하진 않을 것 같긴한데 여러님들 말씀들으니 아이는 또 막상 혼자 있고 싶어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 12. 그러니까
    '23.11.19 6:38 PM (211.206.xxx.191)

    당사자인 아이와 상의해서 결정하세요.

  • 13. ..........
    '23.11.19 6:40 PM (117.111.xxx.102)

    고3이라고 휴직하는 선생님들은 못봤어요.
    심지어 수능날도 출근하셔요.
    아직 우리아이는 고3은 아니지만 저도 고3이라고 휴직하진않을거예요. 어차피 방학때는 같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학기중엔 아이도 학교학원다녀오면 늦게 오니 필요할까요?

  • 14.
    '23.11.19 6:42 PM (122.36.xxx.14)

    의사가 아이 고3이라고 휴직하는 건 봤어요

  • 15. 아이에 따라
    '23.11.19 6:42 PM (110.12.xxx.148)

    아이가 예민한 편이고 우울감이 꽤 강하면, 휴직하시는 것도 좋지요. 제 아이도 비슷한데, 저는 교사는 아니어도 스케줄 조절이 자유로운 직업이라 아이 고3 때에는 최대한 시간 조절해서 아이 위주로 지냈어요. 해줄 거 없다고 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지만, 아이에 따라서는 해줄 거 아주 많은 아이일 수도 있으니 아이에 대해 잘 아는 엄마가 아이 보고 결정하시면 돼요.

  • 16. ..
    '23.11.19 6:49 PM (121.134.xxx.22)

    아이가 우울증이고 집에 있다면 아이가 집에 왔을때 엄마가 집에 있는게 좋을것 같아요
    같이 매일 산책도 하시고 좋은 대학 가려는 생각보다는
    고3을 잘 버텨서 고등학교 생활을 잘 마무리 할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겠네요

  • 17. 시간
    '23.11.19 6:50 PM (211.216.xxx.134)

    시간선택제 하는 동료는 봤어요.

  • 18.
    '23.11.19 6:53 PM (114.206.xxx.112)

    애가 고3이라고 휴직이 되나요…????

  • 19. .....
    '23.11.19 6:57 PM (118.235.xxx.3) - 삭제된댓글

    우리 애도 우울하고 불안도가 심해서 저는 고2때 일 그만 뒀었어요.
    우리 아이도 스카도 안다니고 학원도 몇개 안다녔거든요.
    그러니 집에 혼자있는걸 힘들어하더라구요.
    우리 애는 잠잘때도 같이 자길 원해서 애 잠자러 들어가는 시간에 맞춰서 같이 자요.

  • 20. ...
    '23.11.19 7:05 PM (218.236.xxx.239) - 삭제된댓글

    저도 기간제로 일하고 있었는데 일부러 고3때 반년짜리만 골라서 일했어요. 1년까진 필요없구 반년이면 될꺼같아요. 손많이 가는 애이고 기도가 많이 필요한 아이라 일을 하면 일에 집중이 안될꺼같았어요. 아침에 학교 라이드, 학원라이드, 중간 저녁에 제본,복사 심부름 종종하고 그랬네요. 애 학교가면 성당가서 미사드리고 성경필사하고 100일기도 하고 그랬어요. 고3때 원없이 해주고 내년부터는 열심히 다시 일할려구요. 재수하면 할수 없다는 생각으로 했어요. 다행히 수능대박은 아니라도 모의 최고 성적만 골라 나왔네요. 아이에 따라서 결정하는데 불안한 아이고 집에 있는 시간이 많다면 엄마가 집에계시는게 좋긴 해요. 자잘하게 손이 많이 가더라구요.

  • 21. ...
    '23.11.19 7:05 PM (118.235.xxx.73) - 삭제된댓글

    고3이라서가 아니라
    자율휴직이라고 평생에 딱 1년 무급휴직이 돼요

  • 22. ㅇㅇ
    '23.11.19 7:05 PM (49.175.xxx.61)

    휴직이 가능하고 돈 1년 안벌어도 되면 휴직하세요. 원글님도 이참에 숨돌리고 가구요. 안좋을게 없을듯요

  • 23. 50대 교사
    '23.11.19 7:09 PM (211.211.xxx.245)

    듣고보니 자율휴직 하세요
    힘든 시기 아이랑 함께해도 좋을 거 같네요
    아이는 빨리 크니 함께할 수 있을 때 힘이 되어 주시는 것도 좋을 듯 싶네요.

  • 24. 음음
    '23.11.19 7:10 PM (118.36.xxx.238) - 삭제된댓글

    휴직 하실 수 있음 하셔도 좋을것 같아요
    아이 도와주실 수 있음 도와주심 좋죠
    학원 안가고 집에 있음 엄마가 옆에 있는것도 괜찮을것 같아요

  • 25. 선플
    '23.11.19 7:13 PM (182.226.xxx.161)

    원글님 같은 경우는 하시면 좋을것 같아요..아이 중요한 시기에 같이 있어주는게 안정감있고 좋은데..아이의사가 제일 중요하죠 뭐

  • 26. ㅋㅋㅋ
    '23.11.19 7:51 PM (211.118.xxx.172)

    같이공부할것도아닌데 고3인데 휴직은오버죠

  • 27. ㅋㅋㅋ
    '23.11.19 8:21 PM (223.39.xxx.145) - 삭제된댓글

    그러거나 말거나.
    남이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자기 휴가내는데
    원글님이 뭐라 할 자격이 있나요?
    별걸 다 참견질.

  • 28. ...
    '23.11.19 8:38 PM (39.117.xxx.237)

    아이가 우울감이 있으면 엄마가 집에 있는게 도움은 되겠죠.
    저도 아이가 고3-1학기부터 우울감이 심해서 휴가를 많이 썼었어요.

  • 29. ㅋㅋㅋㅋㅋ
    '23.11.19 9:10 PM (175.213.xxx.18)

    저기 윗님~
    —————————————————————
    내기 휴직까지 하고 널 뒷바라지 했는데 하며
    수능 결과에 연연해 하지 않으실 거죠?

    ㅋㅋㅋㅋㅋ

  • 30. 엄마가 집에
    '23.11.19 9:11 PM (175.213.xxx.18)

    엄마가 맛있는 밥해주시며
    집에 계시면 안정감과 편안함이 흐를것 같습니다

  • 31. ...
    '23.11.19 10:04 PM (118.235.xxx.68)

    고3 때 엄마가 집에서 나만 보고 있으면 애들이 더 힘들어해요 안정감과 편안함 또는 집밥 타령 하는 건 엄마 입장에서 착각하는거고 대부분은 아이가 더 스트레스 받아요
    그런데 우울증 같은 질병이 있다면 집에 있는 게 나을수도 있겠죠

  • 32. ...
    '23.11.19 10:27 PM (122.35.xxx.16) - 삭제된댓글

    교사 일은 교사 카페나 교사들한테 물어보시면 안 될까요? 원글님 글 때문에 교사 까는 글 또 올라왔네요.

  • 33. 헬로키티
    '23.11.20 1:22 AM (182.231.xxx.222)

    평소 자녀분이랑 관계가 좋으시면
    휴직하시고 식사 잘 챙겨주시고
    라이드 해 주면서 이런저런 얘기 들어주시고 하면
    수험생 자녀분 참 든든하겠다 싶어요

  • 34. 우울증은
    '23.11.20 9:12 AM (210.96.xxx.106)

    거의 내력이고
    또 가족이 우울증 원인중 하나일수도 있지않을까요?

    아이가 자퇴해서 집에 있는것도 아닌데
    휴직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합니다

  • 35. ..
    '23.11.20 10:22 AM (222.236.xxx.135) - 삭제된댓글

    아이친구엄마 교사인데 휴직했었어요.
    다행히 아이는 현역으로 잘 갔어요.
    집에서 공부하는 아이면 엄마가 계셔도 좋아요.
    학원안가고 집에서 재수한 아이 밥해먹이고 수다떨고, 투정 들어주고 하루의 일과였어요
    매끼 아이 기분따라 다양한 메뉴 해주고 배달음식도 시켜주고 힘들었지만 지나고보니 좋은 기억입니다.
    대신 방문 닫고 공부하라 하고 자는지 공부하는지 신경 껐어요. 잔소리 안하실 자신이 있는지부터 고민해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0983 1억 보증금 80전세 3 월세전환 2023/12/15 2,401
1530982 항생제도 먹으면 졸립기도 하나요? 2 ,,, 2023/12/15 856
1530981 싱크대 하부장 도어 없이 하면 어떨까요?? 17 ㅡㅡ 2023/12/15 3,396
1530980 독서용 1인 암체어 찾고 있는데 어렵네요 5 고민 2023/12/15 1,600
1530979 이재명--> 비례로 출마???? 38 ... 2023/12/15 3,016
1530978 대중교통으로 다닐만한 여행지 11 궁금 2023/12/15 2,454
1530977 집값이 16년도까지 떨어져야 출산율 올라갈 거예요. 35 급처방 2023/12/15 3,891
1530976 어젯밤 돼지꿈 꾼 결과!!! 25 2023/12/15 6,911
1530975 이번 동남아 여행시 신기한 경험 15 신기함 2023/12/15 6,234
1530974 낡은 전기압력밥솥 쓸데 있나요? 8 버릴까? 2023/12/15 1,615
1530973 판교 제2테크노밸리 근처 아파트 5 .. 2023/12/15 1,398
1530972 법무사비용 궁금합니다 4 궁금 2023/12/15 1,343
1530971 외대글로벌 7 궁금 2023/12/15 2,051
1530970 대한민국에 이상적인 대통령이 나온다면 10 ㅇㅇ 2023/12/15 1,654
1530969 '기간제교사 사망' 학부모 협박 사실로…아빠가 울며 한 말 7 ... 2023/12/15 4,612
1530968 내년 고2인데 지금이라도 선택과목 변경이 되나요? 8 선택 2023/12/15 1,631
1530967 지금 챗GPT 무서운 이야기 들었어요 ㅜ 14 ㅇㅇ 2023/12/15 24,007
1530966 냉장고 고민 4도어vs일반형 17 dd 2023/12/15 2,467
1530965 건강검진 충격 4 ... 2023/12/15 6,625
1530964 학교앞주정차 과태료 얼마나오나요? 8 ㅠㅠ 2023/12/15 1,808
1530963 웨이트 중량치니 너무 건강해지네요ㅎㅎ 14 2023/12/15 5,546
1530962 혹시 냉동된 떡국떡으로 바로 끓일수있는 방법 7 냉동떡 2023/12/15 2,995
1530961 6명에게 새생명 선물한 故김도원 군, 연세대 명예졸업장 받아 6 ... 2023/12/15 3,124
1530960 백화점 식당가에서 상품권사용 가능한가요? 2 .. 2023/12/15 1,815
1530959 제주도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 2 ㅇㅇ 2023/12/15 1,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