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조별과제가 사회생활 팀플레이 선행학습이라는 분들이 계신데요...

조별과제 조회수 : 5,167
작성일 : 2023-08-21 01:48:13

 

그래서 조별과제가 사회생활에서 무임승차하는 인간들에 대한

선행학습 효과가 있던가요?

 

"그래...학교에서도 이런 놈들 있었는데,  회사에도 있구나.."

하고 그냥 체념하게 만드는게 선행학습인가요?

 

아니면 조별과제에서 무임승차 하는 동기나 선후배 대처하는 방법을

배워서 실제 사회생활에서 써먹으신 분이 계신가요?

 

비꼬는 게 아니라 정말 궁금합니다. 

저는 무임승차하는 인간들은 절대로 안 바뀐다고 보거든요.

타고난 성격이어서요. 

 

그런데 조별과제가 어떻게 사회생활 선행학습이라고 주장하시는지

궁금해요. 

 

그냥 인생이란 건 제비뽑기인 것이고

재수 없으면 "조별과제든 회사 팀플레이든 더러운 인간 만난다" 라는 

인생진리를 느끼게 해주는 거라면 몰라도

조별과제가 협력팀 플레이에 대한 선행학습이라는 건

저는 동의 못하겠네요

IP : 210.2.xxx.11
6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8.21 1:52 AM (61.43.xxx.106)

    저도 공감이요

    협력무새들 나와서 대답좀

  • 2. 지나가다
    '23.8.21 1:58 AM (124.49.xxx.142)

    조별과제든 개인과제든
    수업 교육방식은 학교의 선생님, 대학의 교수의 고유권한입니다.
    아이들을 전문가에게 맡겼으면 믿고 협조하세요.
    교육방식에 대해 일일이 학부모까지 보고하거나 이해시킬 의무까지
    그들의 짐이 아니고 학부모의 권리도 아니에요.

  • 3. ..
    '23.8.21 2:00 AM (61.43.xxx.106)

    ㄴ답이 아닌것같아요 답을 회피하는거지

  • 4. ..
    '23.8.21 2:01 AM (58.148.xxx.29)

    동감. 무인승차에 대해 문제삼는 선생님도 별루 없음.
    무임승차하는 애들은 계속 무임승차하고 맨날 하는 애들만 계속함. 이게 뭐하는 짓인지 모르겠음

  • 5. ..
    '23.8.21 2:03 AM (61.43.xxx.106) - 삭제된댓글

    믿고 협조하다가 학폭터짐

  • 6.
    '23.8.21 2:04 AM (124.49.xxx.142)

    ㄴ사회생활을 1년만 해봐도 왜 팀작업 훈련이 필요한지 압니다.
    말을 해도 이해를 못할것같고
    교권에 대한 월권을 권리로 착각하는 학부모인것같아
    근본적인 문제를 고민하고 아이교육을 하세요.

  • 7. ...
    '23.8.21 2:07 AM (223.39.xxx.233)

    그냥 재수없으면 된통 망할수도 있다 이런걸 가르쳐주는거 같은데요?
    ㅎㅎ
    그럼에도 희생하는 사람이 되면 호구인듯 아닌듯 점수를 챙길수도 있다
    이런거 알려주는건가?

  • 8. ..
    '23.8.21 2:08 AM (61.43.xxx.106)

    ㄴ그러니까 구체적으로 팀작업 훈련이 어떻게 입시판에서의 팀플과 연결이 된다는것인지 말해보세요
    우리 다 이해가능해요

  • 9. ...
    '23.8.21 2:08 AM (223.39.xxx.233)

    아 인생사 내맘대로 되지않는다. 이런건 사회 선행수업아닌가요? ㅎㅎ

  • 10. ..
    '23.8.21 2:08 AM (61.43.xxx.106)

    저는 사회생활하다가 다시 대학와서 팀플하는데 고역이거든요

  • 11.
    '23.8.21 2:10 AM (210.178.xxx.223) - 삭제된댓글

    저희때도 그랬고, 이번에 취업한 딸도 일주일에 거의 매일
    팀별회의에 본부 회의에 회의에 연속입니다

    조별과제 필요합니다.

  • 12. ..
    '23.8.21 2:11 AM (61.43.xxx.106)

    저희세대 학교때 팀과제 없어도 회사가서 협력 잘만하는데요?

  • 13. ...
    '23.8.21 2:11 AM (58.148.xxx.29)

    보통 사회생활 팀작업에 무임승차하면 그에 대한 페널티가 있는데 애들 조별과제에는 그런 것이 없다구요. 그래서 무임승차하는 애들은 계속 하는게 문제라구요.
    조별과제가 필요해서 교육을 한다면서 제대로된 방식도 평가도 아니니 문제가 되는 겁니다.

  • 14. .......
    '23.8.21 2:12 AM (70.175.xxx.60)

    윗님 조별 과제 필요없다는 얘기가 아닌데..

    당연히 협력, 팀웤 배워야죠! 그런데 문제는 정말 그런 장이 되는지...

  • 15. ..
    '23.8.21 2:12 AM (61.43.xxx.106)

    그러니까 사회에도 어차피 월급루팡있으니
    입시점수1점에 등급이 갈리고
    대학이 갈리는데도
    니가 참고 프리라이더들 점수까지 다 챙겨줘라
    이걸 배운다는건가요?

  • 16. ...
    '23.8.21 2:13 AM (175.192.xxx.114)

    지나가다
    '23.8.21 1:58 AM (124.49.xxx.142)
    조별과제든 개인과제든
    수업 교육방식은 학교의 선생님, 대학의 교수의 고유권한입니다.
    아이들을 전문가에게 맡겼으면 믿고 협조하세요.
    교육방식에 대해 일일이 학부모까지 보고하거나 이해시킬 의무까지
    그들의 짐이 아니고 학부모의 권리도 아니에요.
    222


    문제 해결에 꽂힌 분들
    본인 좀 돌아보셔요~

  • 17. ..
    '23.8.21 2:14 AM (61.43.xxx.106)

    전문가 교사들의 교수학습권을 존중하지 않는게 아니라
    그로인해 결국엔 학폭이 터졌고
    이게 어떤 학습 효과가 있는지 묻는것에
    대답도 못하는게 문제 아닐까요?

  • 18. .......
    '23.8.21 2:17 AM (70.175.xxx.60)

    뭔 소리인지?
    팀플로 쉽게 수업하고 평가하고 타성에 젖어 하던대로 해나가고 계시는 교수님들이나 선생님들이 댓글 다시나..? 싶을 정도로 이해하기 어려운 반응이네요.

    그렇게 팀플 교육이 효과적이어서 지금 사회에서 협동능력이 향상되었나? 연구해보고 학생들 경험도 연구해보면 좋겠네요.

    문제해결에 꽂힌 거랑 본인 문제 돌아보는 건 무슨 관련인건지? 맥락도 없고 논리도 없고 발끈만 있네요

  • 19. ..
    '23.8.21 2:17 AM (61.43.xxx.106)

    바이고츠키 근접발달영역 이런거 말하나요?
    그게 꼭 입시판에 적용돼야할 이론일까요?
    교육과 입시를 좀 구분해서 생각해야 맞지 않을까요?

  • 20. 오히려
    '23.8.21 2:21 AM (118.235.xxx.19) - 삭제된댓글

    언니 딸 대4인데 1학기에 프리라이더 있어서 취업준비해야 하는데 고생하길래 전공같은 울 언니가 그 프리라이더 몫을 했어요.
    교사, 교수님들이 바라는 협력은 어떻게든 해내라는 거 아닌가요.
    결국 정의는 사라지도 비도덕적이거나 권모술수 쓰거나...
    잡음없애기 위해 교육한다면 제일 비교육적인 거 하라고 가르침.
    조원평가점수가 커야 사회화 과정이 되겠죠.

  • 21. 오히려
    '23.8.21 2:22 AM (118.235.xxx.19) - 삭제된댓글

    언니 딸 대4인데 1학기에 프리라이더 있어서 취업준비해야 하는데 고생하길래 전공같은 울 언니가 그 프리라이더 몫을 했어요.
    교사, 교수님들이 바라는 협력은 어떻게든 해내라는 거 아닌가요.
    결국 정의는 사라지고 비도덕적이거나 권모술수 쓰거나...
    잡음없애기 위해 교육한다면 제일 비교육적인 거 하라고 가르침.
    조원평가점수가 커야 사회화 과정이 되겠죠.

  • 22.
    '23.8.21 2:23 AM (118.235.xxx.19) - 삭제된댓글

    빵셔틀만 학폭인가 점수셔틀 학점셔틀도 학폭이지

  • 23.
    '23.8.21 2:25 AM (118.235.xxx.19) - 삭제된댓글

    언니 딸 대4인데 1학기에 프리라이더 있어서 취업준비해야 하는데 고생하길래 전공같은 울 언니가 그 프리라이더 몫을 했어요. 애가 가서 자기기 그 프리라이더 몫 하겠다고 하고 집에서 엄마가 한거죠. 죽도 밥도 안될거 아니까
    교사, 교수님들이 바라는 협력은 어떻게든 해내라는 거 아닌가요.
    결국 정의는 사라지고 비도덕적이거나 권모술수 쓰거나...
    잡음없애기 위해 교육한다면 제일 비교육적인 거 하라고 가르침.
    조원평가점수가 커야 사회화 과정이 되겠죠.
    빵셔틀만 학폭인가 점수셔틀 학점셔틀도 학폭이지

  • 24.
    '23.8.21 2:26 AM (118.235.xxx.19)

    언니 딸 대4인데 1학기에 프리라이더 있어서 취업준비해야 하는데 고생하길래 전공같은 울 언니가 그 프리라이더 몫을 했어요. 하도 안되니까 애가 가서 자기가 그 프리라이더 몫까지 다 하겠다고 하고 집에서 엄마가 한거죠. 죽도 밥도 안될거 아니까
    교사, 교수님들이 바라는 협력은 어떻게든 해내라는 거 아닌가요.
    결국 정의는 사라지고 비도덕적이거나 권모술수 쓰거나...
    잡음없애기 위해 교육한다면 제일 비교육적인 거 하라고 가르침.
    조원평가점수가 커야 사회화 과정이 되겠죠.
    빵셔틀만 학폭인가 점수셔틀 학점셔틀도 학폭이지

  • 25. ..
    '23.8.21 2:26 AM (61.43.xxx.106)

    빵셔틀만 학폭인가 점수셔틀 학점셔틀도 학폭이지22222

    명언이네요

  • 26. .....
    '23.8.21 2:31 AM (221.157.xxx.127)

    일반고는 그냥 비일비재해요 학력격차 있고 안하는애들도 있고 팀 교사가 짜주니 조별과제 모임에도 안나와 그냥 한두명이서 알아하고 나머지애들은 뒷짐지고 무임승차 ㅜ

  • 27.
    '23.8.21 2:32 AM (124.5.xxx.61)

    최근 학군지 일반고는 팀플 적어요. 코로나도 있어서
    따로 만날수도 없음

  • 28. 124.49
    '23.8.21 2:36 AM (210.2.xxx.11)

    지나가다
    '23.8.21 1:58 AM (124.49.xxx.142)
    조별과제든 개인과제든
    수업 교육방식은 학교의 선생님, 대학의 교수의 고유권한입니다.
    아이들을 전문가에게 맡겼으면 믿고 협조하세요.
    교육방식에 대해 일일이 학부모까지 보고하거나 이해시킬 의무까지
    그들의 짐이 아니고 학부모의 권리도 아니에요.
    ===================================

    지금 교사나 교수의 권한을 침범하겠다는 게 아니구요.
    학교에서 조별과제가 사회생활 팀플레이 선행학습하고 어떻게 연결되는지가
    궁금하다는 질문을 한 거에요. 댓글에 조별과제 하는 이유가
    사회생활 팀플레이 선행학습이라고 두둔하는 분이 계셨어요.

    저는 학교에서도 조별과제 해보고 회사에서 팀플레이도 해봤는데,
    회사 팀플레이 할 때도 학교 조별과제 경험이 도움된 건 전혀 없고
    그냥 팀원을 어떤 사람을 만나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더라구요.

    안 하는 인간은 끝까지 안 해요.

  • 29. 일찍
    '23.8.21 2:38 AM (223.62.xxx.132)

    배우는거 아무것도 안하면서 거저 먹을려는 인간들이 있구나 인생은 불합리한 면이 많다는걸 알게되죠

    중등아이 조별과제 하면 엄청 짜증내요 하나도 안하는 애들도 같이 무임승차해서 데려가야 하냐고 짜증나고 억울하다구요

    전 사회나가면 억울하고 손해보는 실도 많고 더한 인간들도 있다

    그나마 아직 어리니 덜 한 인간들 만난다 생각하고 이해하라구요

    사회생활 도움이 아니라 사람 성질 버리는 활동이에요

  • 30. 헐헐
    '23.8.21 2:46 AM (124.5.xxx.61) - 삭제된댓글

    옛날 큰애 중학교 때 조원이 야구부 하나 있는데
    모두 나오게 동영상 촬영을 하는 팀플이 있었어요.
    훈련하고 경기다니는 애를 방과후에 어떻게 만나요...허허

  • 31. ...
    '23.8.21 2:50 AM (58.148.xxx.29)

    교사나 교수를 뭐라하는게 아니고 현실적으로 조별과제 방식에 문제가 있고 개선이 어려운 상황이면 줄이거나 없애라구요. 조별과제 하는 과목도 많던데 같은 문제가 계속 반복되니까요.

  • 32. 헐헐
    '23.8.21 2:52 AM (124.5.xxx.61) - 삭제된댓글

    옛날 큰애 중학교 때 조원이 야구부 하나 있는데
    모두 나오게 동영상 촬영을 하는 팀플이 있었어요.
    훈련하고 경기다니는 애를 방과후에 어떻게 만나요...허허
    결국 걔 점심시간에 사진 찍어서 얼굴 프린트 해서 인형에 붙이고 동영상 찍고 야구부 아이도 수행 만점 엔딩... 이게 뭔 개수작인지
    다른 나라 대학은 팀플이 아예 완성이 1/n로 쪼개서 하고 점수도 각자인 경우 많답니다. PPT도 쪼개서 만들어서 대충 가다듬어서 내니 만날 일도 없대요.

  • 33. 헐헐
    '23.8.21 2:54 AM (124.5.xxx.61) - 삭제된댓글

    옛날 큰애 중학교 때 조원이 야구부 하나 있는데
    모두 나오게 동영상 촬영을 하는 팀플이 있었어요.
    훈련하고 경기다니는 애를 방과후에 어떻게 만나요...허허
    결국 걔 점심시간에 사진 찍어서 얼굴 컬러 프린트 해서 인형에 붙이고 동영상 찍고 야구부 아이도 수행 만점 엔딩... 이게 뭔 개수작인지
    다른 나라 대학은 팀플이 아예 완성이 1/n로 쪼개서 하고 점수도 각자인 경우 많답니다. PPT도 쪼개서 만들어서 대충 가다듬어서 내니 만날 일도 없대요.

  • 34. 헐헐
    '23.8.21 3:05 AM (124.5.xxx.61)

    옛날 큰애 중학교 때 조원이 야구부 하나 있는데
    모두 나오게 동영상 촬영을 하는 팀플이 있었어요.
    훈련하고 경기다니는 애를 방과후에 어떻게 만나요...허허
    선생님은 그 아이 섭외하는 것도 협력이다 협력무새
    결국 걔 점심시간에 사진 찍어서 얼굴 컬러 프린트 해서 인형에 붙이고 동영상 찍고 야구부 아이도 수행 만점 엔딩... 이게 뭔 개수작인지
    다른 나라 대학은 팀플이 아예 완성이 1/n로 쪼개서 하고 점수도 각자인 경우 많답니다. PPT도 쪼개서 만들어서 대충 가다듬어서 내니 만날 일도 없대요.

  • 35. ...
    '23.8.21 3:16 AM (77.136.xxx.181) - 삭제된댓글

    팀작업을 수행하고 평가하려면 교사의 역량이 중요해요.
    적어도 이 글 댓들에 나타나신 자칭전문가들은 그런 역량과는 광장히 멀어보이십니다. 실제로 그런 부족한 교사들이 저런 식이죠. 난 선생이고 넌 학생이야(학부모야) 라는 원론적인 입막음 말고는 말을 못해요.

    이 글은 조별과제가 실제로 얼마나 효율적이냐 과연 거기서 뭘 배우냐 과제를 통해 얻은 경험들이 얼마나 의미가 있냐를 물어보는거예요. 그 주제파악이 안되시니 그냥 이거니까 이거야 수준의 가르치려 드는 버릇밖에 안나오는 거예요. 교육현장에 계신 분들. 좀 듣고 주제를 파악하세요.

  • 36. ....
    '23.8.21 3:20 AM (211.179.xxx.191)

    독박 쓰는 애 있어서 원글님 글에 공감해요.

    분량 나누면 뭐하나요?

    카톡 씹고 연락 없고 자료 조사도 대충 해서 나몰라라 던지면
    총대 메는 사람이 다 하는거죠.

  • 37.
    '23.8.21 3:29 AM (117.111.xxx.40)

    교수나 교육정책 사무관 돼서 현 교육과정 자체를 손보세요.

  • 38. 여러분
    '23.8.21 3:29 AM (112.146.xxx.207)

    여러분
    그리고 원글님

    안 하는 애들은 끝까지 안 해요-
    라고 하며 조별 과제의 무용함에 대해 문제 제기하고 계신데요.
    맞습니다… 어쩌면 정말 맞을 거예요.

    그런데 여러분
    여러분의 그 의문, ‘안 하는 애들은 끝까지 안 하는데 왜 이런 팀플 시켜요?’는
    교육 그 자체의 존재 이유를 파괴하는 질문이에요.

    그 말을 적용시키면
    인간은 안 바뀌고
    학폭하는 애들은 절대 잘못 모르고 반성하지 않으며
    무임승차 하는 인간들은 계속 무임승차 하고
    성실한 아이들이 독박 쓰고 고생하죠…

    결국, 그럼, 인간은 학습이 안 되는 동물인가요.

    팀플이며 기타 조별 활동을 시키는 학교라는 곳은
    인간이, 우리의 새끼를 짐승 상태로 낳아
    먹이고 재우고 똥오줌은 가리게 만들어서 보내 놓으면
    최소 12년간 가르치고 어르고 달래고 야단치고 칭찬하고 벌 주고
    죽어라고 가르쳐서 인간구실을 기본은 하게 만들어서 사회에 내놓아 줄 거라는 믿음으로 존재하는 곳입니다.
    그 믿음이 없으면, 인간을 가르칠 수 없다고 생각하면
    학교는 존재 이유가 없어요…

    선생님, 교수님들도 알아요. 이 아이들을 말 듣게 만드는 게 힘들다는 거.
    대부분은 실패합니다.
    매일매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라도 한 명이라도 가르쳐 보려고 애쓰는 곳이 학교예요.


    거기서 시키는 거의 모든 활동이 마음에 들지 않도라도
    매번 무의미해 보이더라도
    그 속에서 몇몇은 ‘아 이런 거 제때 안 내면 불이익이 있구나’
    ‘친구가 나 때문에 힘들구나’
    이런 걸 배울 수 있을 거라는 걸
    그게 희망이라는 걸 믿어 주세요.



    우리가 자주 잊고 있지만
    교육과정에 있는 건 대부분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칠지 나름 다 고민 끝에 들어간 겁니다.

  • 39. ..
    '23.8.21 3:36 AM (61.43.xxx.106)

    ㄴ눈물겨운 감정호소 잘 들었습니다
    교육의 본질적 존재이유 잘 알고있고요

    그러니까 그 나름 다 고민끝에 라는 그 고민이 뭔지를

    구체적으로 말씀해 달라고오

    본질적인거 이상적인거 말고요

  • 40. ㅇㅇ
    '23.8.21 3:48 AM (112.146.xxx.207)

    빈정거리실 거 없어요. 저는 학교 관계자 아니니까.
    단지 근본적인 걸 알기는커녕 다들 잊고 있는 듯해서
    말해 드린 것 뿐입니다.

  • 41. ..
    '23.8.21 3:52 AM (61.43.xxx.106)

    ㄴ아그래요? 저는 학교관계자인데도 팀플의 효용을 모르겠는데요?
    팀플은 교수자도 프리라이더가 된다는게 젤 문제죠.
    교수자가 더 힘들어야하는데도요.
    더 세밀하게 보고 공정한 평가를 할 능력도 안되는데
    매학기마다 애들을 굴리거든요.
    제 동료들에게도 그런 능력은 없어보여요.
    저는 평가할거 아닌거에만 팀플시키려고요.

  • 42. ..
    '23.8.21 4:12 AM (61.43.xxx.106)

    112님
    열심히 할수록 손해다라는걸
    경험하게 하는게
    교육적인 방식은 아니지 않을까요?

    정말 확신하세요?

    저진짜궁금해서 그래요
    제주변 그 누구도 똑부러지게 답하는사람이 없거든요
    그저 넌 팀플 안시킬거냐?고 반문하는 선생님들 밖에
    없어서요


    저는 제가 납득이 안되는걸 학생들에게
    시키거나 가르칠순 없다 생각하거든요

  • 43. 조별과제
    '23.8.21 6:32 AM (223.38.xxx.90) - 삭제된댓글

    효과는 하나에요.
    난 팀플할때 바쁘고 힘들더라도 저런 사람은 되지 말아야겠다 느끼는거 딱 하나.

    제 아이들도 조별과제 할때 속 많이 썩을때 제가 아이들에게 한 말이에요. 봤지. 넌 저런 사람되지마. 부족하면 부족한대로 연락이래도 잘 받고 그 안에서 사소한거라도 도와주고 참여하려는 의지라도 보여주라고 가르쳤네요.

    팀플하면 당연 능력따라 뛰어냐 아이, 좀 부족한 아이 다 있죠.
    그런데..최소한 연락은 되고 모임 약속 정하면 나오기는 해야 말그대로 팀플이니 의견 규합해서 진행이 될텐데 이건 아에 예스,노가 아닌 묵묵부답으로 잠수타니 막판까지 기다리다 5명 팀플을 연락되는 둘이 하거나 운 나쁘면 단독으로 준비.

    학교 팀플하다 보면 능력 부족한건 비난받을 일 아니나 연락도 안받고 약속 펑크 내는게 얼마나 나쁜 행동인지 뼈저리게 느끼고 작더라도 뭔가를 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는 잘 배워요.

    잘 모르면 톡으로라도 낸 의견에 찬성이라도 하고 간단한 자료조사나 그것도 못하겠으면 정해진 준비물 준비하는 역할이라도 하는 참여라도 해야겠구나를..프리라이더 아닌 아이들이 배우죠

  • 44.
    '23.8.21 6:38 AM (112.166.xxx.70)

    수행평가나 팀별 과제가 잘되면 좋은 교육 프로그램이죠. 그런데 보통 내용에 대한 고민이나 능력에 대한 고려 없이 형식에 치우치니 형편없는 애물단지가 된거죠. 그렇다고 없애고 지필고사만 보면 그것대로 문제 푸는 기계를 만들것이냐는 비판이 따를 것이고. 어렵네요.

  • 45. 팀플
    '23.8.21 6:45 AM (211.248.xxx.147)

    팀플이야 말로 세밀한 교수방법과 정교한 평가방법이 필요한건데 대부분의 교수자들은 교육이란 미명하에 애들을 정글로 밀어놓고 같이 프리라이딩하죠. 중고등이나 대학이나 학점 아쉬운애들이 버스운전해서 독박쓰고가고...오죽하면 차라리 돈을내라 a는 보장한다 하겠어요. 교육을 할거면 똑바로 해야지.

  • 46. 112님이
    '23.8.21 6:45 AM (115.140.xxx.7) - 삭제된댓글

    저리 좋은 댓글을 써주시는데도 이해 못하는 학부모들이 대부분이네요.
    안타깝습니다.

    우리애들 중학교때 혼자 끌고가면서 스트레스 엄청 받았고, 고등학교 가니 어떻게 조절하고 어떻게 팅원들을 꾸려나가는지를 조금 배우더군요.대학 가서는 공부 잘하는 아이들이 많으니 다른 세계인가 싶게 활기찼고 ,직장을 가니 다~~나같은 사람들만 뽑아서 행복하답니다.
    돈으로 귀결되는 해석이 좀 그렇지만
    돈 많이 주는 회사 적어도 팀별과제 요리 못하는 아이들은 안뽑아요.갈고 닦아서 잘 이끌고 잘하는 애들 무섭도록 쏙 뽑아요

  • 47.
    '23.8.21 6:46 AM (175.193.xxx.50)

    이 글이 던지는 질문이

    1. 조별활동 자체가 교육적 의미가 없다
    2. 무임승차러가 있을 경우 교육적 의미가 없다

    어떤 걸까요?

  • 48. 글쎄
    '23.8.21 7:02 AM (1.237.xxx.181)

    팀플이 진짜 진빠지는 일이지만요
    다들 무임승차하는 건 아니잖아요

    이 사람 저 사람한테 배우는 것도 분명있고
    조율하는 법도 배우게 됩니다

    맘에 안 드는 상황이 생겼을 때 어떻게 해야할지도
    배우고요

    왜 무임승차하는 사람 그것만 보는지
    어떤 활동이건 득과 실이 있어요

    원글이는 이 사회에 득만 주는 사람인가요
    분명 어디서든 도움도 받았을거고 앞으로도
    그럴지 모릅니다

    다방면에서 활동을 봐야지요

  • 49. ....
    '23.8.21 7:15 AM (118.235.xxx.15)

    소득세 내는 비율 20~30프로 되지 않나요?
    어차피 사회는 무임승차하는 사람들로 가득해요.
    그런 속에서 어떻게 내 몫을 찾고
    그런 사람들한테 착취당하지 않을지
    경험속에서 배워가는게 좋긴 하죠.
    그리고 제가 소득으로는 상위 0.몇프로 되는데
    그런 사람들때문에 성공할걸 못하진 않아요.
    수도 없이 겪어봤지만요.
    오히려 그런 사람들을 일종의 기후변화처럼
    대응하는게 더 도움이 되죠.
    앞으로 나가려고 할때 내 발목 잡고
    못가게 하는 존재들은 많아요.
    무균실에서 키우고 평생 돈 안벌고
    그 재산 절대 안 뺏기게 할 자신 없으면
    그것도 교육이라고 보세요.
    그리고 착취자가 있으면 협력자도 있어요.
    방향만 잘 이끌어주면 협력자가 될 사람들이
    더 많고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기준을 알려주는게
    교육이겠죠.

  • 50.
    '23.8.21 7:48 AM (118.235.xxx.53) - 삭제된댓글

    조별과제가 사회생활 팀플 선행학습 맞아요
    너무 당연한 건데 의문을 제기하니
    사회생활 안 해본 분들인가 보다 싶네요

    저 위에 좋은 댓글들 많네요

    교통사고 나서 사람이 죽었다고
    자동차를 없애야 하는 건 아니죠
    좋은 시스템도 폐단은 있게 마련인 거고요

    인류가 생긴이래 무임승차 하는 것들 항상 있었어요 그런 사람시 제대로 실력 쌓아 성공하는 거 못 봤어요

  • 51.
    '23.8.21 7:50 AM (118.235.xxx.161)

    조별과제가 사회생활 팀플 선행학습 맞아요
    너무 당연한 건데 의문을 제기하니
    사회생활 안 해본 분들인가 보다 싶네요

    저 위에 좋은 댓글들 많네요

    교통사고 나서 사람이 죽었다고
    자동차를 없애야 하는 건 아니죠
    좋은 시스템도 폐단은 있게 마련인 거고요

    인류가 생긴이래 무임승차 하는 것들 항상 있었어요 그런 사람이 제대로 실력 쌓아 성공하는 거 못 봤어요
    그리고
    독박 쓰는 애들이 대체로 공부 잘하고
    명문대 가고 그래요

  • 52.
    '23.8.21 8:06 AM (118.235.xxx.202)

    저는 팀플 자체는 맞다고 보지만..
    그거 하나하나의 결과가 대학교 입학에 큰 영향을 주는 게 너무너무 문제라고 봅니다..
    수능 한번에 너무 큰 결정이 나는 걸 피하려다가 고등 3년 내내 수능과 같은 중압감을 주는 구조.. 너그러움은 내가 여유가 있을때 나오는겁니다... 팀플은 대학가서 해도 되어요.. 대학입시가 절대적인 한국에서는 고등학교에 다양성 주기 힘들어요.. 다양성보다 공평함이 너무 큰 가치가 되기땜에..
    외국인이 한국 인터뷰하는 유튜브가 있는데.. 연대 가서 인터뷰하는데 왜 연대에 갔냐는 질문에 모두 서울대를 못가서 연대에 갔다고 하니 빵터지더군요.. 한국에서는 당연한건데 미국에서는 하버드 못갔으니까 스탠포드 가고 그러진 않잖아요...

  • 53. 60프로 넘어요
    '23.8.21 8:08 AM (121.190.xxx.146)

    소득세 내는 비율 20~30프로 되지 않나요?
    ㅡㅡㅡㅡ
    월급쟁이중 근로소득세 내는 사람들 비율 63퍼센트(2020현재)에요. (안내는 사람들은 소득이 근로소득세 과세 기준에 못미치거나 면세기준에 해당되서 안내는 거고 연소득 1000만원 ㅇ언저리에 해당되는 사람들이죠) 양도소득이나 종합소득세만 내는 인구는 그나마 포함안되어 있는 통계구요,

    아마도 전세 세금중에서 소득세가 차지하는 비율이랑 헷갈리신 듯

  • 54. 60프로 넘어요
    '23.8.21 8:09 AM (121.190.xxx.146)

    전세 --> 전체

  • 55. 같은조
    '23.8.21 8:24 AM (118.235.xxx.92)

    다른팀원이 교과서 안가져온것도 그 조 전체에 감점주는거보고 뭐 이런 그지같은 시스템이 있나싶었습니다
    교사의 책임 떠넘기기 혹은 왕따조장. 그이상도 이하도 아닌..
    아이들이 조별과제를 싫어하게 되는 큰 이유죠.선행이요? 조별과제따윈안하는게 상책이다를 배우는 선행이면 몰라도 개선의 여지는 크게 없습니다.늘 하는 애들만하고 안하는 애는 안하고

  • 56. 궁금함
    '23.8.21 8:27 AM (118.235.xxx.201)

    평가자가 방관자여야 하는 이유는 뭐죠?

  • 57. ㄴㆍ
    '23.8.21 8:28 AM (118.32.xxx.104)

    뭐가됐든 무임승차는 안되죠

  • 58. ----
    '23.8.21 8:40 AM (125.128.xxx.85) - 삭제된댓글

    조별과제 실상을 모르는 학부모 있다면 한심한거겠죠.
    하는 애만 하고 안하는 애는 무임승차 해요.
    무임승차만 하나요?
    그거 하는 동안 얼마나 말해도 안듣고 약속 안지키고
    사람 스트레스 주는지....
    솔직히 그런 애들은 따돌림 당할만해요.
    그런 한심한 애랑 같은 조되면 진짜 재수없어요.
    개인의 인성 어차피 다양하고 수준차이 나니까
    그런 애들 욕하느라 입 아프고 마음 상하지 말고
    과제는 개인과제로 하자....이게 제 의견입니다.
    안먹혀서 한심해서 그렇지..

  • 59. 그냥
    '23.8.21 8:45 AM (110.12.xxx.155)

    제일 그 프로젝트를 아끼거나 필요로 하는 능력자가
    책임지고 버스 운전해가는 거예요.
    어디에나 있는 얌생이 프리라이더까지도 싣고 가는 거고
    가다 보면 말뿐이지만 수고를 알아주는 이들도 있고
    기꺼이 협력하는 소수의 조력자도 있어요.
    자기 스스로에게 당당하다는 자기만족과 그래도
    과정중에 재미있었고 배운 게 많다라는 자기위안,
    극심한 피로와 인간에 대한 기대치 내려놓기라는 교훈만 남아요.

  • 60. 어중간한 아이엄마
    '23.8.21 9:04 AM (118.235.xxx.61)

    독박으로 이끄는 소수의 애들만 스트레스 받는 거 아니예요.
    성실하지만 어중간 한 애들도 자존심 상하고 스트레스 받아요.
    뭘 해도 쟤가 나보다 잘 할 꺼라는 걸 이미 알아서
    어떤 의견을 내도 결국엔 잘하는 애 의견이 반영된다는 게 학습되서 소극적이되고 자존심 하향. 스트레스엄청 받아요.
    이끄는 애는 성취욕이나 우월감이라도 남지만
    어중간 한 애들은 조별 점수 잘 나와도
    내가 기여한 게 적으니 점수에 존심 상해 해요.

    세상에는 그런 어중간하고 착하고 책임감 있는애들이 더 많아요.

    이런 수업은 진짜 선생님들이 중간중간 기준을 잡아 관여를 잘 해주셔야 할듯요.

  • 61. ...
    '23.8.21 9:18 AM (122.40.xxx.155)

    결국은 독박 쓰는 아이가 사회 나오면 능력 실행력 다 인정 받게 되어있어요. 학교에서는 무임승차들때문에 짜증나겠지만 사회에서는 반드시 성공하게 되어 있고 그댓가를 확실히 받아요.

  • 62. 결국
    '23.8.21 9:53 AM (121.168.xxx.246)

    그렇게 열심히 한 아이는 사회에서 알아줍니다.
    대학에서는 좋은팀에 들어가고~.
    회사도 잘 들어가더군요.
    남동생도 그렇고 조카들도 특채가 엄청 들어오고 선배들이 술 사주며 꼬득여서 폰 끊고 고민하다 좋은곳 골라갔어요.
    딱 다르니까요!

    직장 들어가서도 잘합니다.
    윗분들이 알아서 아끼고 데리고 다닙니다.
    상황파악. 역할배치 뭐 다 잘하니까요.
    윗사람들은 딱보면 아니까요.

  • 63. ㄴㅈ
    '23.8.21 9:55 AM (223.33.xxx.162)

    무임승차 꼴보기 싫어서 돕고 살 필요없다? 인간은 어쨋든 사회적 동물이고 혼자 살 수 없어요. 구더기 무서워 장 안 담습니까?

  • 64. 솔직히 둘다 존재
    '23.8.21 2:42 PM (1.240.xxx.179) - 삭제된댓글

    무림승차/ 팀원 아이디어로 자기식대로 하는 독불형

    팀플은 장단점 존재하지요. 혼자 가능한 사람들은
    혹시나 조직내에서 튈까봐 어쩔 수 없이 주어진대로 하기도 하고요

  • 65. 솔직히 둘다 존재
    '23.8.21 3:12 PM (1.240.xxx.179)

    무임승차/ 팀원 아이디어로 자기식대로 하는 독불형

    팀플은 장단점 존재하지요. 혼자 가능한 사람들은
    혹시나 조직내에서 튈까봐 어쩔 수 없이 주어진대로 하기도 하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1007 2023 아이스크림 판매량 순위 여름이당 20:47:58 10
1601006 한국에서 지하철 시내버스만 타고 다녀요. 1 20:45:31 105
1601005 40대에 주말에 누워만 있는 거 비정상인가요? 5 ㅇㅇ 20:35:34 590
1601004 infp는 세상 장점 없네요. 10 InFp 20:34:34 595
1601003 전쟁나면 2찍들부터 전방 차출 시키는 법을 만들죠 7 ㄱㄴㅇ 20:33:08 176
1601002 외제차 가지고 왈가왈부 하는 것도 솔직히 질투 열등감이죠 4 ... 20:30:56 264
1601001 강아지(비숑) 콤 추천해주세요 20:30:12 72
1601000 선재때문에 청춘기록이 다시 봤어요 6 선재야 20:28:14 364
1600999 인스타그램에서 팔로우가 안눌러져요 3 ... 20:22:40 178
1600998 연락하는 사람이 없으니까 쓸쓸하네요 11 .. 20:19:31 1,097
1600997 전쟁나면 예비군들도 모두 전쟁 참전이예요 10 ... 20:19:22 699
1600996 40년만에 제가 해외여행을 싫어한다는걸 알았어요 25 우와 20:18:17 1,363
1600995 고1아들 막막하고 너무 걱정되네요 6 궁금이 20:15:59 788
1600994 사교육+대학 지원하기 vs 독립할 때 전세금 보태주기 7 VS 20:15:57 299
1600993 인스턴트팟에 밥 잘 되나요? 2 되나 20:14:19 194
1600992 나도 풍선에 다가 2 제니 20:12:52 404
1600991 인덕션 밀레 vs 지멘스 어떤게 좋을까요? 4 ㅇㅇ 20:11:36 180
1600990 남편들 나이들 수록 가정적으로 변하나봐요. 7 20:11:03 779
1600989 배현진 시구 야유 영상 5 .... 20:05:15 1,773
1600988 홍콩여행 문의드려요 7 .. 20:04:08 430
1600987 하루하루 불안해서 못살겠다 5 .. 20:03:51 1,006
1600986 하정우 살 엄청 빠졌네요! 6 뿌리 19:56:46 2,072
1600985 근데 최태원 외도가 알려진게 언제쯤인가요 8 소문 19:43:21 1,306
1600984 조국 "친일 매국노 고위직 올라 떵떵거리는 일 없도록 .. 10 ww 19:42:21 745
1600983 피곤할때 운동가는거 맞는건가요?? 9 질문 19:37:25 1,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