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쇠젓가락 싫어서 안쓰는분, 나무젓가락 뭐 쓰세요?

ㅇㅇㅇ 조회수 : 3,184
작성일 : 2021-07-27 15:06:35
매일 쓸 나무젓가락 좋은제품 추천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IP : 121.152.xxx.12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1.7.27 3:10 PM (1.241.xxx.38)

    다이소요
    어차피 오래 못 씁니다 좋은거 살 의미가

  • 2. ..
    '21.7.27 3:16 PM (183.97.xxx.99)

    첫댓님 말 동의
    그게 다 까지더라구요
    한창 나무 쓰다가
    다시 스텐으로 회귀

    위생상 별로에요

    자주 갈아주세요

  • 3. ..
    '21.7.27 3:17 PM (59.6.xxx.130)

    위생상 안 좋은데 나무젓가락을 왜 쓰시려고요?

  • 4. unouna
    '21.7.27 3:19 PM (221.153.xxx.172)

    반가워요~~ 저도 나무 젓가락파
    좋은 제품 찾기 정말 힘드시지요.ㅠㅠ

    1.칠몽 - 한살림에도 납품하는 곳인데 삼각 젓가락이 쥐기 힘들까 해서 네모를 샀는데 잘 굴러 다님
    칠은 잘 벗겨 지더 라구요. 밥주걱은 얼마 안썼는데 칠은 벗겨지고 갈라짐
    2.이바돔 - 도마랑 수저도 전에 쓰긴 했었는데 최근에 구매 했었는데 칠몽보다 칠이 나은 듯하고
    쥐기도 편해요. 밥주걱도 좋네요.

    다른 분들도 안전하고 끝이 날렵한 나무 젓가락 추천 부탁 드려요. 노재팬~~

  • 5. 혹시나
    '21.7.27 3:21 PM (218.38.xxx.12)

    실리콘 젓가락은 사지 마세요 미끄러워서 반찬이 안 집혀요

  • 6. ..
    '21.7.27 3:22 PM (211.34.xxx.151)

    인현공방거 쓰고 있어요

  • 7. ㅇㅇㅇ
    '21.7.27 3:22 PM (211.247.xxx.246) - 삭제된댓글

    나무 색갈이 보통 갈색인데
    젓가락은 백색.
    깨끗해 보이라고 백색으로 만들기 위해
    온갖 화학약품이 동원 된다고 들었어요.

  • 8.
    '21.7.27 3:29 PM (119.70.xxx.90)

    이케아꺼요
    굵지않고 가는편예요 저렴하고

  • 9.
    '21.7.27 3:36 PM (58.122.xxx.51)

    중국사람들 쇠젓가락을 그렇게 싫어하더라구요.
    일회용 나무 젓가락 한트럭 사놓고 쓰는 다문화가족보고 선물로 옻칠 젓가락 비싼거 사줬는데 안쓰고 일회용만 쓰더라구요.
    옻칠된거 비싸긴해도 좋아요.

  • 10. ㅇㅇ
    '21.7.27 3:42 PM (211.196.xxx.99)

    나무젓가락 필요한 경우 많아요
    수술 후에 손발 피부 면역력이 떨어져서 차갑고 무거운 쇠를 잡으면 통증이 와요. 나무 수저로 바꾸니 손에 잡히는 온도가 일정하고 재질이 부드러워서 훨씬 나아요. 환자들에겐 플라스틱보단 나무 수저가 낫겠죠.

  • 11.
    '21.7.27 3:48 PM (121.132.xxx.211)

    김성훈도자기그릇쓰고있는데 거기 젓가락 좋아보여서 저도 살까해요.

  • 12. 라리
    '21.7.27 4:04 PM (121.101.xxx.113)

    저도 이케아요 싼맛에 샀는데 3년째 쓰고 있어요 가볍고 변형도없고 좋아요

  • 13. 현대천호점
    '21.7.27 4:05 PM (188.149.xxx.254)

    백화점에서 옻칠한 나무젓가락 한 쌍에 7천원씩 열 쌍 사서 잘 쓰고 있어요.
    마트제품 몇 개들이에 3천원짜리와 틀리네요.
    얄쌍하고 잘 잡혀요.
    마트제는 투박해서 끝 맞물리는게 좀 그렇거든요.

    맞아요. 손 힘이 떨어져서 쇠젓가락 잡고있음 마디가 아파요..ㅋㅋㅋㅋ
    아주 가볍고 오래들고있어도 힘들어가지 않고요.

    옻칠한거래서 쓰자마자 물로만 파바박 닦아놓아야 하는게 흠이긴행.
    물에 오래 담그거나 묻은채로 오래두는거 안되구요.
    식기세척기에 두어번 들어갔다나오니 옻칠 벗겨져서 식겁했고, 모양도 휘어졌어요..ㅠㅠ..
    손설거지 후닥닥...하는게 번거롭기는해요.

  • 14.
    '21.7.27 4:36 PM (118.35.xxx.89)

    스텐 숟가락 젓가락 안 쓰는 이유가 뭔가요
    Tv보니 언젼가부터 나무로 된 제품 많이 쓰던데
    불편하게 보이고 저는 별로던데요
    음식할때 후라이팬 보호차원에서만 사용해서요

  • 15. ..
    '21.7.27 4:46 PM (106.101.xxx.85)

    옻칠수저 쓰는데 좋아요.
    입에 닿는 느낌이 좋아서 쇠수저를 못쓰겠어요.
    7번인가? 옷칠입힌 수저인데 안벗겨지고 잘쓰고 있어요.
    국산인상 중국 베트남꺼 비교해보시고 너무 저렴한거는 빨리 벗겨진다하니 약간 금액 나가는걸로 하시면 만족도가 높을거에요.

  • 16. 일회용
    '21.7.27 5:09 PM (211.206.xxx.180)

    아니면 세척할 때 물로만 하나요?
    세제는 스며들 텐데..

  • 17. ..
    '21.7.27 5:52 PM (183.104.xxx.10)

    까만색으로 된 옷칠수저 계속 사용중인데요.
    애들이 밥먹고 설거지 안하고 물에 종일 담가놨는데도 변형없이 잘 사용중입니다.
    옻칠수저는 중성세제사용해도 괜찮아요.안스며듭니다.
    전렌지 식기세척기 철수세미 같은거는 사용 안되요
    시중에 파는 원목수저중 코팅이 제대로 안되어 있는거라면 세제가 베일수도 있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3295 아까 저녁에 외식을 했는데요 맛있었다 03:25:16 90
1713294 어머님 속이 부글부글 하실까요? 4 ㅇㅇ 03:13:28 279
1713293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때도 없던 무투표 당선기획 4 ,,,,, 02:39:39 400
1713292 명신이가 깜빵은 절대 안간다 죽어도 안간다 했던 해결책이 2 김반장성공보.. 02:37:11 580
1713291 모기에게 두 방 물렸고 계속 앵앵거리고, 배 아프고 모기 02:15:23 118
1713290 전라도 음식 맛있는 거 맞나요? 5 02:11:26 489
1713289 박찬호 류현진 등 메이저리거들 연금이 어마어마하네요 3 ..... 02:10:17 509
1713288 김문수 집도 되게 검소하네요 25 ㅇㅇ 02:00:16 1,727
1713287 몇년전쯤 사망한 여자국회위원 누구,? 3 궁금 01:47:13 1,148
1713286 흑백요리사2 시청률 나올까요?? 6 백종원 01:38:24 640
1713285 이재명 대통령되면 산부인과의사가 잘나갈걸요 6 출산부흥 01:32:28 1,052
1713284 자매많은 집 게시판 글 읽고.... 8 지나다 01:27:49 902
1713283 시어머니노릇하며 이간질하는 개념없는 여동생 27 01:26:10 1,202
1713282 4살 아이, 소방차는 뭐로 시작해요? 8 ... 01:24:30 380
1713281 김문수 집앞에서 기다리는 권성동 19 ... 01:17:47 1,791
1713280 요즘 음식들 너무 달다는거 11 @@ 01:16:14 1,020
1713279 김문수, 한덕수의 후보등록 관련 선거법 조항 6 ㅅㅅ 01:08:59 766
1713278 아들 결혼상대자 얘기 23 ... 01:07:18 1,926
1713277 내가 김문수라도 킹받겠네요!! 2 사장남천동 01:06:20 607
1713276 李 재판 지연 전략?...“서류 물품 일체 수령 금지” 지침 39 ... 01:04:43 1,451
1713275 갈비탕 핫딜이요 4 남편이 00:59:41 561
1713274 중고차 7년이상 된거에 서라운드뷰 달 수 있나요? 중고차구입 00:58:39 128
1713273 2025 멧갈라 X(트위터) 최다 언급 셀럽 1 ㅇㅇ 00:53:12 520
1713272 “이재명 죽이기→한덕수 대통령→윤석열 무죄 3단계 계획 있어” 13 한겨레 00:38:44 1,106
1713271 하남 교산이 서울과 가깝나요? 5 ㄱㅅ 00:36:45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