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est defense is to not get involved.
지금 읽고 있는 책에 나오는 문장인데요.
옛날에 제가 배운대로라면 not은 to 부정사 앞에 와야 하는데, 그 반대네요.
문법이 더 폭넓어져서 not to ~, to not ~ 다쓰이는건지
아님 요즘엔 to not이 맞는건지?
아님 제가 잘 못 알고 있었나요?
Your best defense is to not get involved.
지금 읽고 있는 책에 나오는 문장인데요.
옛날에 제가 배운대로라면 not은 to 부정사 앞에 와야 하는데, 그 반대네요.
문법이 더 폭넓어져서 not to ~, to not ~ 다쓰이는건지
아님 요즘엔 to not이 맞는건지?
아님 제가 잘 못 알고 있었나요?
가끔 그렇게도 쓰더라고요
문법 잘 안지키잖아요. 쟤들도 그런거지요
be to 용법이에요 문법시간에 배운듯
예정, 가능 , 의무, 의도, 운명 이런 경우에 쓰여요
싸이코지만 괜찮아 영어제목이 its ok to not be ok 여서 왜 not to be ok가 아니지 하고 찾아봤었는데 강조(?)라고 어디서 본 기억이 나네요.
be to부정사 용법을 묻는게 아니라 not의 위치를 묻는 거에요. 로버트 그린의 인간본성의 법칙 읽고 있는데, 이 작가는 전부 to not으로 쓰고 있네요. 사실 전에 어떤 인강에서 강사가 어떤 영어표현에서 계속 not to라 하지 않고 to not이라 해서 완전 실력없는 강사라고 욕한 적 있었는데, 그게 틀린게 아닌 가 봐요;;
우리는 부정문에 no 안쓴다고 배웠잖아요.
근데 There isn't no...이런거 늘 쓰더라고요. 존 그리샴이요..ㅋ
문법이 달라진 게 아니고 원래 그렇게 많이 썼는데 한국 문법책에 다 안나온 거...
옛날에도 not to 보다는 to not 을 많이 썼어요.
정답은 이미 나왔어요.
"옛날에 제가 배운대로라면"...
이게 엄청나게 틀린 게 많더라구요. 특히 영문법 한국에서 배운 거요.
특히나 이거랑 이거랑 같은 표현이라고 엄청 달달 외운 것들,
언제나 바꿔쓸 수 있는 = 으로 외운 것들중에
둘 다 쓸 수는 있지만 뜻이 다른 경우인 것도 많고
어순 같은 것도 딱 이것만 맞고 나머진 틀린거라고 배운 거도
사실 현지에선 다 쓰기도 하고 그래요.
잘못된 거를 완전 무슨 바이블인 양 달달달 외웠으니, 그 후유증이죠.
저도 전에 똑같은질문 올리고 명확한 답변을 못얻어서 인터넷 검색해봤어요.
https://m.blog.naver.com/cubjs/221969687984
여기 답변이 맞는것같아요. 구글검색결과에서도 비슷하게 얘기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