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민..국악 전공 시켜보신 분?

mineral 조회수 : 3,313
작성일 : 2011-09-22 11:30:16

초등 딸아이 국악중학교 입시를 준비중에 있습니다.

시키면서도 사실 반반입니다.

시켜야 할지...그냥 취미로 가야 할지..

혹시 국악전공 시켜보신 분들...

국악고-서울대 or 한예종-국립국악원이 엘리트코스(?) 라고 들었는데....

이정도 실력 되면 고민도 안하고 시켜야겠지만...

그닥 뛰어나지 않은 보통 아이들은 국악을 전공하면 어떤 전망을 갖게 되나요?

넘 막연해서요. 

국악학원도 그닥 많지 않아서 나중에 학원 강사만 해도 성공 일거 같기도 하고...

시립이든 어디든 국악단에 입단하기도 힘들거 같다는 생각도 들고..

집에 돈이 많아서 취미로 평생을 할게 아니라, 직장을 갖게 된다면 너무너무 힘든 일이 될지 어떨지.......

외벌이 남편 월급으로 대학 전공까지 시키려면 어느정도 뒷받침 해줘야 하는지도 전혀 아는게 없어서요.

서양악기보다는 돈이 덜 든다고 하는데..정말 그런건지..

자녀를 전공 시켜보신분들...꼭 좀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제가 넘 막연한데...어디에 물어봐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지금 레슨 받고 있는 선생님께 넌즈시 여쭤봤는데..돈 그렇게 많이 들지 않는다 라고만 하셔서요..

 

IP : 121.168.xxx.70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가
    '11.9.22 2:00 PM (112.169.xxx.27)

    시키는건 아닌데 잘 아는 분이 시키면서 저랑 같이 알아보러 다녔어요
    그냥 아는 부분만 말씀드릴게요
    돈은 확실히 덜 들어요,얼마전 국립으로 전환해서 기숙사비며 학비도 덜 들구요.
    서울대 못가도 대학은 잘들 가더라구요
    국립국악원가면 최상이고,학원강사도 많이 하고 학교 방과후강사도 잘하고,학교다닐때 알바도 굉장히 잘 나가요
    어차피 예체능으로 밥먹고 살기가 쉽지는 않고,애 키우다보면 대학들어가는 자체가 너무 어려워서 ㅠ
    그분은 6-2때 막 공부시켜서 갔네요,

  • 원글
    '11.9.22 11:26 PM (121.168.xxx.70)

    제가님, 정말 대학 들어가는 자체가 너무 어려운 거 같아서요.
    올해 입시도 얼마 안남았네요.

  • 2. 다인
    '11.9.22 7:39 PM (220.78.xxx.202)

    국악도 전공이 있는데 어떤 전공을 하는지요
    성악쪽으로 판소리, 정가, 악기는 가야금, 거문고, 아쟁, 대금, 피리, 또 작곡과 타악도 있습니다
    전공별로 렛슨비나 악기값이 다르고 입시에서도 경쟁율이 틀리더군요
    학고는 국악중학, 국악고등하고 과 국립전통예술중학, 고등학교(예전 서울국악예고)가 있고
    지방에도 있는듯 한데 지방은 잘 모르겠군요
    대학경쟁율은 꽤 높은데 특히 가야금은 국악쪽 아니라도 일반고 예체능반에서도 하는 아이들이
    있어서 많이 높고 국악과도 서울대는 학과 성적, 수능 성적이 중요합니다.
    그래도 유명 대학나오면 예체능 과외나 방과후 강사로 나가기도 하고 국립국악원이나 KBS등은
    그아이들 말로는 누구 하나 죽어야 들어간다고 하더군요 그만큼 인원이 한정되어 있어 시립이나
    도립도 악단 들어가는거 명예이지요 그때까지 계속 레슨받고 큰선생님한테 배우고 대학원 가고
    돈 많이 들어가요, 양악처럼 외국 유학비는 덜 하겠지만 계속 돈 들어 갑니다
    국악하고 외국에 유학가는 경우도 있어요 학벌 업그레이드로, 또는 인맥쌓기등으로,
    서울대 국악과는 거의 국악고 출신들이 많이오고 중앙대는 전통예술고 출신들이 많고 한예종,
    한양대등은 섞여 있고 그게 나중에도 계속 연결되고 국악고나 전통예술고로 진학하여야 인백으로
    좀 유리합니다.
    특별한 재능이 있으면 시키시고 아니면 취미로만 가르치시기를 권해요, 저희 아이도 국악 전공했거든요
    그냥 예체능 그렇듯 최상위권 아니면 취미생활 정도 랍니다.

  • 원글
    '11.9.22 11:25 PM (121.168.xxx.70)

    다인님..혹시 아이는 대학교까지 졸업했나요?
    대충 일년에 얼마정도 생각하면 될까요? 넘 막연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99 길고양이 혼자 지내나요? 9 2011/09/22 2,662
17598 다중언어 교육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2 ^^ 2011/09/22 2,167
17597 요즘 소형 변압기 쓰는 가정 있나요? 5 likemi.. 2011/09/22 2,771
17596 사진올리는 방법 2 아롬이 2011/09/22 2,729
17595 도가니 6 zzz 2011/09/22 2,803
17594 미* 마케팅 대단하네요;;; 21 [ㅇㅇ] 2011/09/22 8,971
17593 이대 앞 맛있는 음식점 가르쳐주세용^^(초등이 갈만한) 5 *** 2011/09/22 2,362
17592 부추..좀 알려주세요^^ 1 아기엄마 2011/09/22 2,371
17591 시중은행 예금이율 정말 낮아요..ㅠ.ㅠ 6 이율 2011/09/22 4,030
17590 삶은 달걀 노른자 - 어디에 쓸까요? 4 꼬꼬 2011/09/22 8,655
17589 저축은행.... 1 은행 2011/09/22 2,912
17588 왜 로그인이 안되죠? 2 일생가오야 2011/09/22 2,287
17587 고소영,김선아씨가 입은 별옷? 어디 제품이여요? 2 궁금 2011/09/22 4,181
17586 짜장에 닭고기 넣으면 이상할까요?(재료손질하다말고 모니터앞 대기.. 8 급해요 2011/09/22 5,008
17585 친일파 후손들이 '친일(親日)진상규명법' 만든 것은 왜 지적 않.. 2 친일파 2011/09/22 2,028
17584 핫도그빵 파는 대형마트 있나요? 6 싸시지~ 2011/09/22 3,576
17583 식비가 너무 많이들어요T.T 아끼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10 호박고구마먹.. 2011/09/22 5,544
17582 나꼼수 언제 올라올까요? 16 두분이 그리.. 2011/09/22 3,558
17581 펄벅의 '대지' 번역본 추천해주세요~ 2 가을은 독서.. 2011/09/22 3,529
17580 위암의 가장 큰 요인은 뭘까요? 39 심난한 하루.. 2011/09/22 14,745
17579 도대체 정부와 금감원이 뭘 했길래 저축은행들이 8 .. 2011/09/22 2,911
17578 믹서로 안되나요? 9 마요네즈 2011/09/22 2,436
17577 급-대기))얼갈이김치??? 2 결비맘 2011/09/22 2,544
17576 MB맨들의‘추락’…국정기조까지 휘청 3 세우실 2011/09/22 2,182
17575 서울 교대 2 시간 2011/09/22 2,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