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때 투자 1순위였던 두바이, 부동산 경기 끝없는 추락

.. 조회수 : 3,605
작성일 : 2019-01-11 16:23:31
https://news.v.daum.net/v/20190111030143693?f=m

한때 투자 1순위였던 두바이, 부동산 경기 끝없는 추락

동아일보 2019-01-11

과거 전 세계 부자들의 투자 1순위로 꼽혔던 두바이의 부동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다. 두바이 정부는 부동산 거래세 인하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정책을 발표하며 경기 부양에 나섰지만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다. 10일 현지 매체 걸프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해 두바이의 아파트 임대료는 최고점을 찍었던 2014년과 비교할 때 40% 이상 내렸다.....................

IP : 39.7.xxx.25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9.1.11 4:24 PM (39.7.xxx.25)

    https://news.v.daum.net/v/20190111030143693?f=m

  • 2. 사막의
    '19.1.11 4:26 PM (118.130.xxx.162)

    신기루~
    딱 그거였네요

  • 3. ..
    '19.1.11 4:29 PM (175.223.xxx.94)

    남 이야기가 아닌게 우리나라도
    용인, 분당은 반토막 넘게 하락했었죠..

    저긴 그래도 아직 반토막은 아니네요...

  • 4. 한국 송도 영종도
    '19.1.11 4:58 PM (14.40.xxx.68)

    송도 영종도 건물만 서있지 아무것도 없죠.
    얼마나 부동산 가치가 없으면 새아파트 전세 1억대가 있더라고요.

  • 5. 서울의 현재판
    '19.1.11 5:00 PM (175.113.xxx.77)

    서울의 올해 내년 모습이겠네요

    전세계 장기 불황에
    부동산 거품 초고속으로 꺼지는데는 항상 일순위. 서울.

  • 6. 서울의 현재판
    '19.1.11 5:00 PM (175.113.xxx.77)

    2000년대 중반에도 목동 잠실 강남도
    반토막 났던거 그래도 안팔렸던거 기억들 못하시나봐요?

    전 직접 사고 팔아봐서..ㅎ
    사람들이 그런건 빨리 잊고 실수 또 하더라구요. 또 같은 꼴 당하고...

  • 7. ..
    '19.1.11 5:06 PM (175.223.xxx.94)

    우리나라가 2016년부터 작년까지 폭등장이었는데
    사실 2016년 부동산 가격도 거품이 많이 껴있다고 합니다.

    다른나라는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때
    대폭 거품이 꺼지고 가격 조정을 겪었는데
    우리나라는 노무현 정권의 안정화? 기조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남들 거품 거둬들일때
    오히려 더 폭등을 해서 이번 상승 싸이클 타기 전
    가격도 이미 거품이 잔뜩 끼어있다고 보면 된다는군요.

  • 8. 맞아요
    '19.1.11 5:09 PM (175.113.xxx.77)

    ㄴ 윗님 맞아요

    사실 2014년-2015년까지도 사람들 그 가격조차 거품이 많이 끼어서 내려가길 기다리고 있었어요
    그래서 유동자금 많았던 것일뿐..

    거기에 초저금리, 중국과 지방민들의 사재기 열품
    토지보상금 정부의 다주택자 우선 정책등이 맞물려
    불안심리 조정해서 미친 폭등 일으켰죠

    2014년-2015년 가격도 30프로 가량 거품낀 가격이었는데
    그 가격의 두배가 되었기때문에 추락은 어마어마할거에요

  • 9. ...
    '19.1.11 5:33 PM (1.227.xxx.82)

    흠...그래도 현금부자가 그렇게 만다는데 그리 추락씩이나 할까요?
    그리고 2006년에 폭등했다 50%씩 떨어졌어도 지금보다는 한참 낮으니..결국 우상향이라는 말도 맞는건가요?
    아님 이제 2%도 안되는 저성장 국가되고 인구수가 세계에서 가장 빨리 줄어드니 수요가 없어져서 집값은 하락할 일만 남은건가요?

  • 10. ..
    '19.1.11 5:45 PM (175.223.xxx.94)

    현금부자요? 당장 대출 규제 했더니
    거래가 1/10 로 떨어졌어요.

    주식도 가장 크고 강력한 상승은 주로
    죽기 바로 직전이죠.
    그래서 상폐되기 전에 연일 상한가 가는 종목들이
    많이 등장하죠.

    일단 무리하게라도 오버슈팅해놓으면
    거기서 10프로 20프로 빠저도 싸다고
    덤비는 매수세력이 붙기 때문이에요.
    결국 1/10토막 나거나 상폐로 가기도하죠.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은 호재가 눈씻고 찾아봐도
    보이질 않아요..

  • 11.
    '19.1.11 6:35 PM (223.62.xxx.130)

    근데 참 희한한게 부동산 급등기엔 늘 대체 왜 오르는지 모르겠다 싶더라구요. 2006 년에도 작년에도. 급등기를 지나고 나서도 모르겠어요. 왜 그랬지? 싶은. 다들 레밍스마냥 따라 뛰었을 뿐. 귀신에 홀린것마냥 들고 뛰죠.
    그래서 호재니 악재니 다 그냥 흘려듣게 돼요. 내릴거란 말도 믿어지지 않구요. 그렇다고 올라라 외치는 건 아니구요.

    그냥 진짜 귀신도 모를 서울부동산이다 싶어요.
    지나고나니 유일하게 신뢰가는 건 장기적 우상향설과 10년 주기설 정도네요.

  • 12.
    '19.1.11 6:38 PM (223.62.xxx.130)

    그리고 점 둘님. 2008 년은 노무현정권이 아니고 이명박 정권이었구요. 당시 미국조차 서브프라임 터지기 직전까지 그렇게 될거라 예상한 사람 별로 없었어요. 노무현 정권의 2006 년 폭등은 그때 우리 경기가 좋았기 때문이지 노무현정권이 부동산 부양책을 쓰진 않았죠.

  • 13.
    '19.1.11 6:41 PM (223.62.xxx.130)

    제가 왜 오르는지 모르겠다 하는 건, 2005-6 년 당시에도 우리 정부는 강력하게 부동산값을 잡겠다 집가지고 돈돌이 못하게 하겠다 했을 때여서.. 정책의 문제는 아니거나, 정책이 시장에 먹히는덴 시간차가 있거나 싶구요.

    근데 지금 집값이 아니 거래가 주춤하는 건 정책의 문제라기 보단 살 사람들은 웬만큼 샀다 싶어서거든요. 물론 제 판단이고요. 그래서 정책이 큰 의미가 있나 싶기도 해요.

  • 14. ....
    '19.1.11 10:34 PM (1.227.xxx.38)

    2000년대 중반에도 목동 잠실 강남도
    반토막 났던거 그래도 안팔렸던거 기억들 못하시나봐요?

    전 직접 사고 팔아봐서..ㅎ
    사람들이 그런건 빨리 잊고 실수 또 하더라구요. 또 같은 꼴 당하고...2222222222

    기억 나죠. 강남도 안팔려서 판 아줌마들이 자랑하며 밥사고 울엄마 부러워죽고. 이모도 자기 아파트에서 자기만 집 팔렸다며 자랑하던 그시절 ... 전 생생해요 .....

    근데 지금 집값이 아니 거래가 주춤하는 건 정책의 문제라기 보단 살 사람들은 웬만큼 샀다 싶어서거든요. 물론 제 판단이고요. 그래서 정책이 큰 의미가 있나 싶기도 해요.2222222

  • 15. ㄹㅌ
    '19.1.12 9:43 AM (124.49.xxx.21)

    부동산 배워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7401 귓바퀴 피어싱하고 싶은데요. 5 심미ㅇ 2019/01/23 1,720
897400 손혜원 마음이 이해가 가네요 18 ... 2019/01/23 2,324
897399 40대 쿠션팩트좀 추천해주세요 4 2019/01/23 6,565
897398 아들키우는 분들 조언부탁드려요 5 아들고민 2019/01/23 1,886
897397 3학년 돌봄교실 생긴다해서 좋아했는데 1학년이 거의다 차지하네요.. 10 ㅣㅣㅣㅣ 2019/01/23 2,478
897396 압력솥에 갈비찜 시간 좀 가르쳐주세요 6 갈비찜 2019/01/23 6,349
897395 물엿대신 조청이나 요리당은 어떤가요? 3 ........ 2019/01/23 2,130
897394 양승태·박병대 영장심사 마무리..서울구치소로 이동(종합) 5 사법부제사날.. 2019/01/23 772
897393 저탄수로 1일1식하면 두통이 오나요? 13 머리아파 2019/01/23 5,378
897392 힘들때 제일 의지되는게 있나요? 14 ... 2019/01/23 3,659
897391 전자렌지 돌릴 때 실리콘 뚜껑 안전할까요? 7 질문 2019/01/23 7,220
897390 건조기 9키로랑14키로 많이 차이날까요???? 7 ㅇㅇㅇ 2019/01/23 7,093
897389 공원걷는것도 힘드네요 2 2019/01/23 1,834
897388 남친 배신 글 쓴 사람인데요.. 26 K 2019/01/23 8,290
897387 시금치 보관법 8 포도나무 2019/01/23 1,959
897386 물불 안가리는 최저임금 공격..아동센터·홍석천도 제물로 2 뉴스 2019/01/23 3,189
897385 근데 해외여행갔다가 갑자기 병나거나 아프면 진짜 난감하겠어요 8 흠흠 2019/01/23 2,801
897384 이름하고 얼굴하고 너무 똑같다해요 18 2019/01/23 5,909
897383 대학합격자 조회시 합격 여부만 알 수 있나요? 4 ? 2019/01/23 1,545
897382 실비보험 3년갱신 6 블루 2019/01/23 2,965
897381 지방은 일자리가 너무 없는 거 같아요 7 ㅇㅇ 2019/01/23 3,068
897380 사람의 분위기는 보통 외모에서 나오죠? 21 분위기 2019/01/23 20,733
897379 지역보험료 대상자가 병원진료를 보러 갈 경우에요 4 ** 2019/01/23 1,059
897378 서산 자연산굴은 노로바이러스와는 상관없나요? 선물 2019/01/23 1,153
897377 혹시 이번주 토요일 KSCY 논문 대회 5 KSCY 2019/01/23 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