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2세계지리 교과서에서요..
인구비율과 인구규모가 무슨 차이인가요? 그말이 그말 같아서 아이에게 설명을 못해주겠어요ㅠ
1. geo
'18.12.28 12:24 AM (218.38.xxx.15)선진국: 이미 산업구조 고도화가 이루어져(농업비율감소 서비스업 비율 증가)로 국내 총 인구(100%) 중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 비율이 높다는 뜻이구요
개도국: 국토 전체가 균형발전되기 전 단계이니 일부 주요 대도시에 국가 인구의 많은 수가 집중되어 있는 현상을 설명합니다2. 제 생각에는
'18.12.28 12:25 AM (125.184.xxx.223)선진국에서는 전체인구에서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의미같고(지역간의 격차가 적은 관계로) 개발도상국은 지역간에 격차가 크다보니 특정도시에 거주하는 인구수가 많아 거대도시가 형성된다는 것 같은데 의미전달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3. geo
'18.12.28 12:27 AM (218.38.xxx.15)즉 “ 얘 너 어디사니?” 그럼 “ 전 도시에 살아요” 하는 인구 비율이 높다는 것이고(선진국 도시 거주 인구비율이 높다는 것은) 개도국은 도시 발달 자체가 덜 되어 있다보니 발달된 몇몇 도시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우리나라 7-80년대 서울 생각하시면 되요)
4. 11
'18.12.28 1:16 AM (220.76.xxx.123)헐....
진짜 저도 무슨소린지 ㅜ
설명봐도 모르겠네요 ㅠㅠ5. 보충
'18.12.28 1:24 AM (223.38.xxx.129)윗님들 말씀에 보태서 보충하자면
선진국 : 여기도 도시, 저기도 도시라서 너도나도 다 도시 거주 인구라는 거죠. 전체 인구 100% 중에서 한 80%가 도시 거주 인구라고 치고, 그들이 다 저마다 다른 도시에 거주한다는 이야기.
도시 자체가 많아서 도시 거주 인구 비율이 높다는 거.
개발도상국 : 도시가 전국에 단 두세 개라 치고 거기에 인구가 왕-창 몰려 있는 걸 생각해 보세요. 사실 이 경우에도 비율로 말한다 해도 틀리지 않는데 교과서가 설명을 대충 해 놨네요 ㅋ
넓은 나라에 도시라고는 몇 되지도 않는데 거기에 인구 대부분이 몰려 있다면 규모가 클 수밖에 없겠죠?
저는 자라면서 서울 인구 더 많다고 배운 거 같은데(아닌가....) 요즘은 2천만 이하라면서요. 하여간 대한민국 인구 대부분이 서울에 몰려 있는 기현상. 규모가 크다고 말할 수 있죠.6. 보충
'18.12.28 1:25 AM (223.38.xxx.129)선진국의 경우에는 도시 거주 인구 규모가 크다고 할 수는
없을 거예요. 지방 소도시가 조그맣게 따로따로 발달하고 거기 흩어져 산다면 도시마다의 인구 규모는 작을 수밖에 없으니까요.7. ....
'18.12.28 8:07 AM (59.15.xxx.61)서울 인구 천 만명 이하로 내려갔죠.
와우~윗님들 이해력 짱이에요.
교과서가 설명이 모호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