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세식구 방 4개 용도를 어떻게 나누는게 좋을까요.

... 조회수 : 2,775
작성일 : 2018-12-27 01:25:43
전 좀 특이하게 해보고 싶지만...
어차피 아파트 방구조 비슷비슷해서..

판상형이라 방 3개. 거실은 남동향이구요.
방1개는 조금 작고 북서향이에요. 침실 근처에 붙어있는구조.

집보러 다니면서 보니 일반적으로 북서향 작은 방을 옷장넣고(드레스룸이 따로 없어요. ) 옷방처럼 쓰던데.

이제 아이가 초1 올라가는지라 책상. 침대도 새로 사주면서 잠자리도 분리하고... 좀 이쁘게 꾸며주고 싶어요.

저희집은 일단 옷이 가장 골치거리인지라... (정리를 잘 못해서 입던 옷이 항상 나뒹굼 ㅜㅜ)
아무래도 옷방만들어서 행거도 추가로 놓고 하면서 방하나를 싹다 잡다구레한거 넣는 방으로 쓰는게 차라리 깔끔할지...

그냥 현재처럼 안방에 옷장 다 넣고... ( 단점:저만 그런지 전 외투나 외출복 한번입은걸 안방까지 들고 들어가는게 왠지 덜깔끔한거같아요. 그래서 방3개일때는 컴퓨터방에 행거나 옷걸이가 꼭 따로 있는데... 문제는 그방이 정체불명의 방이됨.. 드레스룸도 컴퓨터방도 이님... 옷이 막 쌓여감;;; 장점: 안방은 잘때 아님 거의 안쓰는 공간이라... 침대랑 콘솔 서랍장만 떨렁 놓기는 아쉽?? )
안방에 가장 가까운 작은 북서방을 아이 침실로하고.
방하나는 공부방 놀이방으로 하나는 저희 서재로 할지...
이런 방식을 생각하건 침실과 다른 활동적인 공간을 왠지 분리해주고 싶어서요. 이상할까요?

아이디어 좀 나눠주세요...ㅜㅜ
그리고 붙박이가 전혀 없는데 아이방에 장농도 따로 꼭 필요할까요?
IP : 220.127.xxx.12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깨끗한 집들
    '18.12.27 1:57 AM (175.193.xxx.206)

    깨끗한 집들의 특징은 일단 옷방은 따로두어야 하더군요.

  • 2. ...
    '18.12.27 2:07 AM (220.127.xxx.123)

    그죠? 아이방엔 그냥 침대랑 책상 다 넣어줘야겠어요.
    하나는 서재. 하나는 옷방.ㅜㅜ

  • 3.
    '18.12.27 2:15 AM (114.201.xxx.217)

    어른 서재에 아이 책상도 다 넣어서 공부방으로 쓰고
    아이방은 침대랑 일인소파, 서랍장으로 꾸미면 예쁠거 같아요

  • 4. ㅇㅇ
    '18.12.27 2:20 AM (220.89.xxx.124)

    서재를 애 어른 겸용으로 하고. 애 방은 잠자고 쉬는 공간으로.
    제일 작은 방은 옷방

  • 5. ...
    '18.12.27 2:51 AM (220.127.xxx.123)

    와 두분이나 좋은 아이디어를!
    그런데 아동용 가구와 어른 서재용 가구는 전혀 어우러지지 않을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드네요...ㅜㅜ
    보통 초등 책상 일룸 이런데서 사잖아요.

  • 6. ..
    '18.12.27 2:57 AM (211.202.xxx.73)

    공부하는 곳과 자고 쉬는 곳 분리하는 게 좋지 않아요?
    서재와 침실 분리.
    그러면 침실은 잘 때와 아주 쉴 때만 들어가게 되더라구요.
    그게 나중에 커서도 공부할 장소에서는 공부만 하고 잘 때만 자는 걸로 나뉘던데요.
    한방에 침대와 책상 같이 있으면 자꾸 자고 싶고 딴짓하고 싶어져서 일찍 버릇 들이는게 나을 듯.

  • 7. ...
    '18.12.27 6:23 AM (58.148.xxx.122)

    4식구에 방 4개..
    입구 방 2개를 아이들이 하나씩 쓰고
    안쪽 방 2개를 부부가 서재와 침실로 썼는데요.
    가장 크고 햇볕 잘 드는 남쪽 방을 침실로 쓰기 아까워서
    남쪽방을 서재로, 북쪽방을 침실로 썼는데
    작고 어두운 방이 숙면 취하기에 더 좋았어요.
    북서향을 부부 침실로만 쓰고
    큰 방을 행거말고 옷장 깔끔하게 들이고 컴퓨터 방을 겸하는건 어떨지요.
    아이 방은 남쪽 작은방 주고요.

  • 8. .....
    '18.12.27 8:11 AM (175.117.xxx.200)

    저는 안방에 화장실 가는 길에 작은 드레스룸이 있어서요...
    드레스룸이라 말하기도 뭐한 한짝반 만한 장롱처럼 생긴 빌트인 옷장이예요..
    저는 거기다가 입던 옷을 걸어요...
    안방 빌트인 옷장은 빨아넣은 옷이랑 드라이클리닝해온 옷만 걸구요..

    저라면 안방에 빌트인 옷장 시공을 하고
    그 옷장 중 한 칸만 평소 입던 옷 넣는 칸으로 하겠어요...
    새옷은 나머지 두 칸에만 넣고
    한 칸만 입덧 옷 거는 거예요...
    행거로 놓인 옷방은 무조건 지저분해지더라고요..
    문닫아야 깔끔합니다..
    게다가 저는 새 옷과 입던 옷이 뒤섞이는 거 싫어해서요..

    아이방은 가능하면 침대, 책상, 옷장까지 딱 넣는 게 깔끔해요.
    아이옷은 아이옷장에 넣고 딱 자기방에 넣어줘야
    초등 2,3학년 되면 알아서 자기옷 자기가 꺼내 입고 갈 수 있거든요.
    저희애가 그래요.
    제가 그 계절에 맞는 옷은 옷장안 책장칸같이 생긴 곳 제일 윗칸에 넣어주거든요
    상의는 상의끼리, 바지는 바지끼리, 치랭스는 치랭스끼리..
    상의 하의 거기서 자기가 골라 입고 갑니다.
    밑에 서랍에 왼쪽부터 내복, 메리야스, 팬티, 양말 순으로 뒤에서부터 앞으로 책 꽂듯 꽂아 넣어 정리하고요.

    그런데 만약 아이방안에 짐이 다 안 들어간다면..
    옷장은 놔두고 다른 걸 빼야해요 ㅠ
    책상을 빼서 아빠 서재방이랑 합치는 것도 괜찮고요...
    디자인은 좀 아닐 지라도 어차피 애 공부 부모가 계속 봐줘야해서 이게 합리적일 것 같아요.
    아니면 아이침대를 안방에 두는 것도 괜찮습니다 ㅠ
    애가 초1 올라갔다고 혼자 자지 않는 경우가 꽤 많더라고요 ㅠ
    애 방 침대는 장식인 경우가 대부분 ㅠ
    차라리 침대를 좀 나중에 사주셔도 될 듯 해요 ㅠ
    어차피 거기서 혼자 자려면 아직도 시간이 좀 더 필요한 듯요 ㅠ

  • 9. ,,,
    '18.12.27 9:32 AM (121.167.xxx.120)

    아이방(아이 침실 옷장)
    서재방(어른 서재와 아이 책상)
    드레스룸
    안방

  • 10. ...
    '18.12.27 6:53 PM (223.38.xxx.41)

    이제서야 댓글 확인했어요. 눈에 그려질정도로 묘사해주셔서 감사해요.ㅜㅜ
    방이 작은편은 아니라 아이방에 옷장까지도 커버될 것 같은데요... 되도록이면 옷을 줄이고 옷장은 더이상 안늘려보려구요. ㅜㅜ 그리고 결정적으로 전세라 붙박이같은걸 못합니다..ㅜㅜ깔끔하게 넣을수만 있다면 정말 괜찮겠지만...ㅜㅜ
    그래서 옷장도 한샘 문짝 덜렁거리는거 들고 이사해야해요. 몇년내로 내집장만하는 그날까지...
    덧글보고 아이 책상이지만 너무 주니어틱하지 않은건 없을까 찾아봤지만 요즘은 또 대부분 각도조절 책상이라... 기능성이 돋보이는 디자인들이 대부분이네요. 서재랑 공부방을 합차는데 가장 좋을 것 같긴한데 말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6976 인서울대학 합격했냐고 고3아이한테 다그치는 동네슈퍼아줌마 33 속상 2019/01/22 8,281
896975 영작하나만요 3 000 2019/01/22 537
896974 대딩딸래미 암것도 안해요 16 속터지는 애.. 2019/01/22 4,394
896973 정의란 무엇인가 재밌게 읽으신 분 계신가요? 12 독서 2019/01/22 1,466
896972 시판 양념 넣지 않은 순두부 어떻게 만들까요? 9 냉동은 안될.. 2019/01/22 1,782
896971 예비고1 아들 영어를 어떻게 할까요.. 4 부디영어 2019/01/22 1,405
896970 악기 무엇무엇 다룰줄아시나요???? 14 악기 2019/01/22 1,671
896969 문정인 "스톡홀름 북미 실무협상에 한국 참여는 놀라운 .. 12 ㅇㅇㅇ 2019/01/22 1,246
896968 화 안내시는분 계신가요? 4 .. 2019/01/22 1,549
896967 무조건 넉달안에 10키로 이상 감량 해야 하는데 가능할까요? 22 무조건 2019/01/22 4,101
896966 시어머니와 유럽 패키지 괜찮을까요? 18 여행 2019/01/22 4,556
896965 연말정산-기납부액이 뭔가요? 7 ㅎㅎ 2019/01/22 1,268
896964 남자 히트텍 타이즈 어떤가요? 유니클로 2019/01/22 402
896963 유치원 아이 미술책 뭐가 좋을까요? 1 ㅇㅇㅇ 2019/01/22 485
896962 나경원...손혜원의 가면을 벗기겠다 31 .... 2019/01/22 3,003
896961 노트북이요... 7 노트북 2019/01/22 804
896960 저 미쳤나봐요 집안 가득 탄냄새 어쩌죠? 9 탄냄새 2019/01/22 3,336
896959 일본의 한국인 무비자 철회 가능성을 무시하면 안되는 이유 (일본.. 12 .... 2019/01/22 2,334
896958 요즘 주인공 할만한 20대 여배우가 없나요? 5 ... 2019/01/22 1,683
896957 10년 이상 경력 단절됐다가 일 다시 시작하신 분들,,,, 7 취업 2019/01/22 1,726
896956 유치원생 친구가 아이를 때렸을때 7 유치원 2019/01/22 1,872
896955 이사가고 싶은데 전세가 안나가요 5 사과 2019/01/22 2,489
896954 친구가 한명밖에없어요 13 ㅇㅇ 2019/01/22 5,124
896953 배당금에 대해 여쭤봐요 4 주식 2019/01/22 1,356
896952 방학동안 무색무취 지겨워하는 아들 만화책 사줬더니 너무 홀릭.... 5 에효 2019/01/22 1,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