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교수랑 종신계약교수랑 차이가 뭔가요?
정교수랑 차이가 뭔가요?
학교 입장에서 봤을 땨 정년 보장해 줄 것 같으면
그냥 정교수로 채용하면 될 거 같은데
이런 구분을 두는 이유가 뭔지 궁금하네요.
1. 추측
'18.12.24 1:19 AM (47.232.xxx.225)아마 결정권 이나 권한(?) (예를든다면 신규교수 채용시 결정권 이라던가..) 에 차이가 있겠죠
제 추측...2. —-
'18.12.24 1:27 AM (202.231.xxx.1) - 삭제된댓글타인의 고용형태에 왜 그리 관심이 많은지
모르겠습니다3. Tenuretrack
'18.12.24 1:28 AM (70.58.xxx.133)아마 테뉴어트랙에 있다고 말하는 것 같은데요. 보통 교수 채용할때 테뉴어트랙(종신 가능)과 비테뉴어트랙으로 나뉘는데 종신계약과정으로 뽑히면 2-5년 후 종신심사를 해서 받게 되면 종신이 되는거고요. 정교수, 부교수, 조교수 등으로 직급이 나뉘어요. 보통은 조교수로 채용
4. Tenuretrack
'18.12.24 1:31 AM (70.58.xxx.133)잘 못 눌러 이어서 써요. 보통은 조교수로 채용이 되어서 5-6 년 후 종신 심사를 해서 통과하면 종신 보장 받는 거고 이때 부교수로 승진하고, 또 그 후 몇년 후에 정교수로 승진합니다. 처음에 채용될때 경력이 좀 있는 사람은 정년 보장 안된 부교수로 채용해서 2년 정도 후에 종신 심사하는 경우도 있고요. 명망 있는 사람을 채용할땐 아예 종신 보장된 부교수나 정교수로 채용하는 경우도 있어요.
5. 원글
'18.12.24 1:41 AM (222.118.xxx.155)Tenuretrack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대학만 나왔지 학문쪽에 아는 바가 없다 보니 몰랐던 걸
님 덕분에 알고 가요 ^^6. 솔직히
'18.12.24 4:59 AM (99.225.xxx.125)그런 용어들이 학교마다 달라요. 계약교수라는 명칭 붙은거 보니 일반 전임교수는 아닌듯 싶은데. 종신보장된 정교수나 부교수 특채하는 경우에도 대부분은 특별한 직함이 따롤 안붙어요. 석좌교수 아닌 이상에야..
7. 나다
'18.12.24 7:04 AM (121.167.xxx.64)무기 계약교수라는 말이죠.(무기계약직인데 학교라 계약교수라 한 거고요)
계약교수는 전임이 아닌 시간강사의 다른 이름이지요.
그런데 중간에 자르지 않고 계속 강의는 준다는 의미겠죠?8. 아는 언니
'18.12.24 8:53 AM (118.45.xxx.51)친한 언니가 전문대 종신계약교수예요. 나다 님 말대로 무기계약교수래요.
계약직인데(중간에 안 자르고 )정년까지 형식상 보장해주는 거죠. 정교수와 달라요.
월급체계 신분보장 모두 다르대요.9. 아는 언니
'18.12.24 9:03 AM (118.45.xxx.51)4년제 대학도 교양과정부(학교마다 명칭다름) 소속으로 비정년 종신계약교수 많아요.
안식년이 없고 연봉만 계약제로 받고 외부에서 보면 모르죠.선후배들 비정년 종신계약(무기계약)교수 몇 명 있어요.
(정년트랙 교수들은 교수월급외의 여러가지 대학원생 지도비 등)10. 급여차이
'18.12.24 9:34 AM (220.70.xxx.124)정년트랙 교수와 무기 계약직 교수의 가장 큰 차이는 급여차이입니다.
무기계약직은 연구교수 정도의 급여로 장기간 묶어 두는 거에요.
재정이 튼튼하지 않은 대학에서 신규채용을 무기계약직으로 많이 해요.
게다가 우리나라 대학은 온정주의(?)로 조교수로 들어온 사람을 업적이 부족하다 하여
자르기 힘들어요. 이래저래 봐줘서 승진시켜 결국 정년보장까지 주거든요.
대학교수는 강의와 연구 둘다 잘 해야 하는데, 한 과에서 몇 사람이 연구업적이 부족하면
그 과의 평균 연구역량도 뚝 떨어지죠.
무기계약직은 몇년마다 계약 심사를 해야 하기때문에,
정년트랙보다 적게 받으면서 훨씬 연구를 열심히 해야 해요.
결국 기득권이 신진세력을 억압(?)하는 구조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