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번 수능 국어 95점 이상 받은 경우는 어떤 아이들이던가요?

수능 조회수 : 3,765
작성일 : 2018-12-11 15:18:51

대부분 이번에 평소보다 못봤는데

제가 아는 애 하나는 2개 틀렸는데

초5부터 중3까지 외국에서 보낸 애예요.

고1부터 한국에서 공부 시작한 애인데

잘 봤더라구요.

항상 1-2개 정도만 틀리던 애들도 이번에 2등급

받은 경우가 꽤 되더라구요.

IP : 175.209.xxx.57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분석
    '18.12.11 3:32 PM (125.252.xxx.13)

    논리적인 아이
    글을 읽을때 핵심 파악이 빠르고
    출제자의 의도를 잘 파악함
    _초5부터 중3까지 외국에서 보낸 애예요.
    => 머리가 좋음

  • 2. 타고남
    '18.12.11 3:37 PM (39.7.xxx.133)

    국어 초등 때부터 잘했고 문제 적당히 풀고 수능 언어 만점..논술 우수인데 국어쪽도 예체능처럼 타고나는게 큰것 같아요..

  • 3. 백점
    '18.12.11 3:43 PM (211.114.xxx.197)

    이과 재수생이예요.
    어릴 때는 책 많이 읽었고 (소설은 잘 안 읽고 과학 역사 시사 많이 읽었어요.)
    다방면에 호기심 많고 잡학박사예요.
    시사에 관심이 많아 어릴 때부터 엄마랑 시사관련 논쟁할 때가 많았구요.
    어릴 때부터 국어 영어 사회 성적이 잘 나왔어요.

  • 4. 말그대로
    '18.12.11 3:47 PM (221.166.xxx.92)

    수학 능력이 뛰어난거죠.
    몇년전 미국 연구가 있었잖아요.
    예체능보다 공부가 더 타고나는거라고...
    잘 낳아놓고 잘 가르쳐야 되죠.
    나이들수록 느낍니다.더 더 더

  • 5.
    '18.12.11 3:52 PM (114.203.xxx.174) - 삭제된댓글

    대안학교졸업한 우리 조카!
    국어 한국사 1등급
    나머지는 다 2등급이네요
    수능준비를 학교에서 해주지 않으니
    1년동안 ebs 인강만 공부했어요
    학원도 근처에 아예얷어요

  • 6. ㅇㅇ
    '18.12.11 3:52 PM (58.140.xxx.178)

    논리적인 아이들이죠.
    책많이 읽는게 도움되는건 맞지만 절대적인것도 아니예요.
    책 일년에 한권읽는수준이고 국어사교육없이도 늘 국어가 쉬운애들 많거든요.
    독서많이해도 내가읽은 책에서 시험 문제나오는것도 아닌데 무작정
    왜 책많이 읽으라고하냐는 사촌조카아이.
    수학도 타고나게 잘했어요.
    사실 상위귄으로갈수록 수학공부량이 압도적으로 많은 이과생들이 문과생보다 국어까지잘하는 경우 흔해요.
    국어공부시간 적은 이과생이 국어를 더 못해야 논리적으로 맞을듯 해보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은거죠.
    독서로 논리력을키우든 수학으로 논리력을키우든 국어공부시간으로 해결되는게아니라 어느정도 타고나는 부분이 있어요.
    독서안해도 다른부분에서 논리력을 갖추는 아이도 있구요.
    그래서 국어때문에 재수하지말라는 강사도 많아요.
    재수한다고 해도 제일 안되는게 국어라서요.

  • 7. 울아들
    '18.12.11 4:34 PM (122.34.xxx.206)

    작년 국어1개
    올해 재수했는데 국어 2개
    근데 국어 하나도 안하고
    1년 내내 수학공부만 했는데
    수학 망했어요
    그냥 타고 나나봐요

  • 8. 타고나지만
    '18.12.11 4:43 PM (210.183.xxx.241)

    이해력, 독해력, 논리추론능력, 통찰력까지 타고나는 것이긴 하지만 수능도 시험이니까 훈련으로 가능합니다.
    이번 31번처럼 지문과 문제가 복잡하고 현란할 수록 문제풀이 핵심이 어이없는 곳에 숨어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출제의 한계일 거예요.
    그럴 때는 상식에서 해결한다면 가볍게 해결될 수 있었는데 지문에 혼을 뺏긴 학생들의 뇌가 그 순간 이미 복잡해져서 단순한 상식을 놓친 거죠.

  • 9. ㅡㅡ
    '18.12.11 4:45 PM (49.174.xxx.237)

    독서도 크게 영향 없어 보이는 게.. 울 아들은 책이라곤 어릴 때부터 담 쌓았고 1년에 1권 읽을까 말까.. 외동이라 말주변도 없고 도무지 문과성향 아니라 과고 갔어요. 과고서 수학 1등도 몇 번이나 했는데 국어내신은 7등급. 중학교 때도 수학과학 공부는 했지만 국어공부는 한 적이 없고 과고에서도 국어는 거의 수업을 안하니 윤동주도 모르는 애였어요. 그러다 조졸하고 어찌하여 1년 수능공부를 했는데 1년 중 거의 반을 국어공부를 하긴 했죠. 기출문제 풀이요. 그리고 수능 쳤는데 국어 만점 받았어요. 수능을 두 번 쳤는데 두 번 다 만점요. 그해들이 국어가 쉽긴 했지만요. 암튼 그거보니 국어도 독서량하고도 크게 관계 없는 듯하고 기출 풀면서 출제자 의도 파악하고 선지 고르는 능력이 중요한 거 같아요.

  • 10. ...
    '18.12.11 4:47 PM (222.111.xxx.201)

    교과서, 문제집 이외에 일반적으로 공부와는 관계없는 잡다한 글을 많이 읽었을 거예요.
    더불어 글도 많이 써본 학생일 수도 있고요
    문학작품이외에도 신문, 잡지, 취미생활용 여러가지 글들을 많이 읽었다면 처음보는 글에서도 핵심을 금방 잡아낼 수 있을 거거든요.

  • 11. 국어가젤쉽다는
    '18.12.11 6:11 PM (114.205.xxx.7) - 삭제된댓글

    저희애도 중고딩때 책한권 읽는것도 못봤습니다
    어렸을때는 많이 읽혔지만요
    기숙사에 고딩때1년반정도 있었는데 일찍등교해서 국어기출문제를 2시간씩 풀었다고합니다
    국어가 어떤방식으로 어떤문제들이 나오는지 다 파악했다고 하더라고요ㅡ아이말론 지문만다르지ㅡ항상 같은유형의 문제가 그대로 나온다고 합니다ㅡ지문도 제대로안읽기도 한답니다 ㅡ6평9평수능 국어는 다 맞아옵디다

  • 12. ...
    '18.12.11 6:41 PM (14.52.xxx.49)

    독서랑 거의 상관 없구요(책벌레 전혀 아니고 수학, 과학에 강한 스타일)
    솔직히 머리좋으면서 꾸준히 성실하게 평가원 기출 풀었던 아이들이 잘봤더군요
    이번 수능국어는 정말 머리발이 갑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년부터는 좀 달라질거라 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88359 일진사실 쉬쉬하다가 원망들었어요. 18 담대해지자 2018/12/28 6,481
888358 저좀위로해주세요 (차긁음ㅜㅠ) 11 흑흐 2018/12/28 3,604
888357 자동차보험 가입시 자동차 추가부품 등록문제 7 보험 2018/12/28 1,885
888356 민주당은 뭐하나요 31 mango 2018/12/28 1,453
888355 ... 9 ... 2018/12/28 1,472
888354 gtx 호재 1호선 동네가 어디죠? 4 궁금 2018/12/28 2,760
888353 HUG 전세보증보험 은행에서 연장하기 정말 어렵네요. 3 효율.. 2018/12/28 2,317
888352 혼수.가구 서울 어디가서 보면 좋을까요? 2 가구 2018/12/28 755
888351 일본 맥주 수출의 60% 한국이 수입..NHK 인기 원인 분석 8 방사능수출국.. 2018/12/28 1,106
888350 동유럽 여행 꼭 전기요 필요할까요 10 귀찮 2018/12/28 3,287
888349 재산세 엄청 오른다는데..노란조끼 시위해야하나요? 67 ... 2018/12/28 5,424
888348 휴직하는 아이담임에게 선물해도 될까요? 4 .. 2018/12/28 1,099
888347 점심 멤버중에 헬리코박터 보균자가 있는데요... 16 ㅇㅇㅇ 2018/12/28 5,330
888346 어떤상황에서도 괜찮다고 하는것 5 2018/12/28 1,292
888345 부엌 쪽 벽 전체가 유리창인데 벽을 만들고 창문은 반만 낼 수 .. 15 안녕겨울아ㅜ.. 2018/12/28 4,412
888344 태어나서 처음으로 해외여행가요ㅋㅋㅋ 20 4박5일루다.. 2018/12/28 4,349
888343 전기 전자 책 추천해주세요 4 전기 2018/12/28 549
888342 전업된 후 집에서 맨날 먹고 자는 여동생 47 속터져 2018/12/28 22,668
888341 연간 수출 사상 첫 6천억달러 돌파..70년만의 신기록 32 뉴스 2018/12/28 1,396
888340 조카의 대학진로,취업,결혼까지 걱정하는 이모,고모들이 많나요? 19 진짜궁금 2018/12/28 4,304
888339 디스크요, 원래 아프다 안아프다 하나요? 4 ㅇㅇㅇ 2018/12/28 1,463
888338 영어 한문장 해석 맞나요? 11 카라 2018/12/28 1,016
888337 스텐 커피포트 검색하는데 ㅎㅎ 7 ㅇㅇㅇ 2018/12/28 2,808
888336 매끄러운 캡슐 비타민을 먹는데 점막에 박혀서 내려가는듯 찢어지게.. 2 비타민 2018/12/28 789
888335 40살이 입기에 뽀글이 자켓 어때요? 14 ㅡㅡ 2018/12/28 2,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