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같은 한자인데 일본어 발음이 달라요
하수
똑같은
손 수자를 쓰는데
어찌 히라가나 발음이 다른가요?
1. ............
'18.12.10 2:41 PM (39.116.xxx.27)같은 한자라도 어느 단어에 들어가느냐에 따라 발음이 달라요.
그래서 갈수록 어렵다고 하는거죠.(전공자)2. 일본어 그게
'18.12.10 2:51 PM (119.198.xxx.118) - 삭제된댓글짜증나는 점이에요.
그래서
N1취득하고나서부터 하는 공부가
진짜 일어 공부 시작하는거란 말이 있더라구요.
우스갯소리로
중국어는 울면서 들어가서 웃으며 나오고
일본어는 그 반대라죠 .
하면 할수록 짜증나는 부분이 있어요.
그러니까
그냥 일본드라마 좀 알아듣고
일상회화하는 정도면 재밌게 할 수 있는데..
고급일본어는 진짜 하면 할수록 어려운거 같더군요.
어순 같은거 말곤3. ..
'18.12.10 3:13 PM (180.64.xxx.35)한자가 음독 훈독이 있는데..그게 다 쓰이는거죠 한국어 중국어도 있는데 일본어 만큼 읽는 소리가 복잡하지 않아요 단독으로 쓰일때 앞뒤 붙는 한자따라 또 다르고 ..사람이름은 음훈독 상관없이 마음대로 음을 쓰기 때문에..흔한 성씨 말고는 일본인도 남의 이름한자 읽을줄 모른다고 했어요~~ㅠ 저도 전공자인데 그래서 1,2학년때 강독수업이 엄청 힘들었어요..한자 때문에요~ㅠ
4. ...
'18.12.10 4:12 PM (124.62.xxx.75) - 삭제된댓글일본은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중국에서 한자를 들여 왔는데 중국 한자의 의미와 일본에서 쓰는 말의 의미를 맞춰보다 보니 한 한자가 여러 의미로 쓰였고 따라서 읽는 법도 여러개가 되었답니다.
예를 들어 生를 보면 いきる(살다)의 의미로 쓰니까 いきる로 읽자,
또 はえる(풀이 나다의 나다)로 쓰이니까 はえる로 읽고, 날 것의 의미로도 쓰니까 なま로 읽자... 이런 식으로 해서 한 한자에 여러 음독이 생겼다합니다.
훈독의 경우 오,한,송 중 어느 시대에 들여왔느냐에 따라 읽는 법이 달라졌고 보다 정확하게 중국 한자를 받아들이기 위해 읽는 법을 늘렸다 해요. 음독의 방법을 오나라=呉音 한나라=漢音 송나라이후=唐音
이라고 해요. 行을 예를 들자면 ギョウ=呉音 コウ=漢音 アン=唐音입니다.5. ...
'18.12.10 4:57 PM (124.62.xxx.75)일본은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중국에서 한자를 들여 왔는데 중국 한자의 의미와 일본에서 쓰는 말의 의미를 맞춰보다 보니 한 한자가 여러 의미로 쓰였고 따라서 읽는 법도 여러개가 되었답니다.
예를 들어 生를 보면 いきる(살다)의 의미로 쓰니까 いきる로 읽자,
또 はえる(풀이 나다의 나다)로 쓰이니까 はえる로 읽고, 날 것의 의미로도 쓰니까 なま로 읽자... 이런 식으로 해서 한 한자에 여러 훈독이 생겼다합니다.
음독의 경우 오,한,송 중 어느 시대에 들여왔느냐에 따라 읽는 법이 달라졌고 보다 정확하게 중국 한자를 받아들이기 위해 읽는 법을 늘렸다 해요. 음독의 방법을 오나라=呉音 한나라=漢音 송나라이후=唐音
이라고 해요. 行을 예를 들자면 ギョウ=呉音 コウ=漢音 アン=唐音입니다.6. ㅇㅇ
'18.12.10 6:13 PM (218.153.xxx.117)일본어 할수록 어렵던데 위에 댓글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