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밥먹은 직후 물마시면 안된다 VS 된다 판단해주세요

분쟁중 조회수 : 1,917
작성일 : 2018-10-11 21:14:59


집안에서 싸움났어요

밥먹은 직후에 물마시면 안된다고 보통 알고 있지 않나요?

밥 먹자마자 바로 물들이키는게 안좋고 30분정도 있다가 마시는게 좋다

밥 먹자마자 바로 물마셔도 아무 문제안되고 좋다


이렇게 팽팽하게 의견대립중이예요 ㅡㅡ;

도대체 뭐가 맞나요?

의학적 근거가 확실히 있으면 더 좋겠네요


IP : 121.130.xxx.60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판다
    '18.10.11 9:42 PM (109.205.xxx.1)

    의학적 근거가 있을리가 있나요?

    사람따라 다르고 상황따라 다 다를 것 같네요...

    원글님 집안싸움 - 무승부..

  • 2. ...
    '18.10.11 9:46 PM (218.237.xxx.136)

    물 많이 먹는게 안좋지 조금 먹는건 상관없겠지요.

  • 3. ...
    '18.10.11 10:24 PM (1.246.xxx.141)

    한잔정도는 괜찮다고 들었습니다

  • 4. 국을 먹으면
    '18.10.11 11:21 PM (42.147.xxx.246)

    밥이 술술 넘어 갑니다.
    밥만 뻑뻑하게 먹는 것은 젊었을 때이고
    나이들면 국하고 밥을 먹어야 해요.

    그리고
    장수하시는 분들 국도 잘 드시는 것 같은데요.
    유튜브를 보니까 할머니들 국하고 밥을 드시네요.

  • 5. 나옹
    '18.10.11 11:43 PM (123.215.xxx.108)

    물이 소화액을 희석시키는데 좋을거 하나 없죠. 국이랑 밥을 같이 먹는 습관도 위장에 좋지 않고 나트륨 섭취량이 늘어서 고혈압 유발하고요.

  • 6.
    '18.10.12 12:48 AM (121.167.xxx.209)

    안 좋다는건 아는데 평생 습관을 들여서 물 먹어요
    고구마나 바나나 먹으면서도 물 마시며 먹어야지 안 마시면 목에서 꽉 막혀서 체할것 같아요

  • 7.
    '18.10.12 12:51 AM (121.167.xxx.209)

    각자 하고 싶은대로 하고 사세요
    약 먹는걸 자꾸 잊어 버려서 밥 먹고 바로 약 먹어요
    약이 크고 많아서 머그잔으로 마셔요

  • 8. .....
    '18.10.12 6:20 AM (70.79.xxx.88)

    ▷ 한수진/사회자:
    그럼 위장 나쁜 분들을 위해서 생활 수칙과 관련된 조언을 주신다면요?

    ▶ 홍혜걸/의학박사
    우선 저는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걸 강조하고 싶어요. 이 위장이 자율신경으로 움직이거든요. 내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이는데 이 자율신경에 가장 큰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게 불규칙적인 겁니다.

    음식을 불규칙적으로 시간이 들쭉날쭉하고 끼니를 거르고 하게 되면 이건 정말 위장에 큰 스트레스가 되고, 이것 때문에 위장병이 많이 악화됩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정해진 시각에 식사를 갖도록 하시고요. 한 가지 더 제가 강조하고 싶은 건 식사 후에 물을 좀 마시자.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 한수진/사회자:
    식사 후에 물을 마시자고요? 보통 요즘 마시지 말라고 하던데, 아닌가요?

    ▶ 홍혜걸/의학박사
    반대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으세요. 많이 이제 알고 계시는 게 식사 후 물 마시면, 소화액을 묽게 해서 소화를 방해한다. 이렇게 알려졌는데요.

    이거 잘못 알려진 의학상식입니다. 위액이 거의 분비 안 되는 노년층의 심한 위축성 위염이라든지 일부에만 해당되는 얘기고요. 오히려 맨밥이나 맨 반찬 먹으면 위벽을 심하게 자극하고, 위장의 연동운동을 방해합니다.
    실제로 한 컵 정도 물을 마시는 건 소화에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물을 마시게 되면 오히려 음식 속에 함유된 염분, 또 자극적인 양념, 각종 유해물질의 농도를 희석시키니까 도움이 되고요. 또 구강에서 식도까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효과까지 있으니까 오히려 저는 적극적으로 식사한 다음에 물을 한 잔 정도 마시는 게 건강에 도움이 되고 또 생리적이다.하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 한수진/사회자:
    그렇군요. 식사 후 한 2시간 동안은 물마시지 마라고 해서.

    ▶ 홍혜걸/의학박사
    저는 그건 가장 잘못 알려진 상식이라고 생각합니다.

    ▷ 한수진/사회자:
    박사님, 식사 도중에 물을 또 이렇게 드시는 분들도 계시잖아요.

    ▶ 홍혜걸/의학박사
    네. 그것도 자연스러운 거예요. 그래서 식사 도중이나 직후에 맹물이잖아요. 맹물을 생수 같은 걸로 말이죠. 한 컵 정도 마시는 건 위장 건강에도 분명히 도움이 됩니다. 라는 말씀을 강조합니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877875&plink=COPYPASTE&coo...

  • 9. .....
    '18.10.12 6:23 AM (70.79.xxx.88)

    "아주 심한 갈증을 느끼지 않는 한 식전 30분, 식후 30분 사이에는 물을 마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인의 습관 중에 가장 좋지 않은 것이 식후에 찬물을 한 잔 들이키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음식물을 제대로 소화할 수 없을뿐더러 위장 기능도 나빠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식후에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자꾸 물을 마시게 되어 만성적인 악순환이 되풀이될 수 있습니다."

    원본 링크 : http://ch.yes24.com/Article/View/20921

  • 10. .....
    '18.10.12 6:25 AM (70.79.xxx.88)

    좋다는 의견도 나쁘다는 의견도 있네요. 전 저 편한대로. 물 별로 안 좋아하는데 따뜻한 물 반잔에서 한잔 정도 천천히 마십니다.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데, 저한테는 식후 따뜻한 물 도움이되더라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9378 민생지원금 신청하면 얼마만에 승인되나요? 3 ........ 14:08:40 113
1739377 딴 얘긴데 ... 14:05:46 69
1739376 인간은 희망으로 사는 존재인데 1 ㅓㅗㅎㄹㅇ 14:04:48 114
1739375 다양한 연령계층 사람들과 만나고 싶으면 뭘하면 좋을까요? 다양한 14:04:20 63
1739374 이제 ^^이거하면 촌스러운거죠? 8 111 14:02:26 353
1739373 맛있는 껍질째 먹는사과 사과 14:01:39 66
1739372 여가부 장관 교체하고 나면 8 …. 13:59:44 284
1739371 민생지원금 수원이 주소지인 사람이 분당에서 사용 가능한가요? 1 ... 13:59:24 222
1739370 참외 싼데 .. 13:59:21 127
1739369 캣맘님들..엊그제 2주된 아기 냥이 창고에서 4 걱정 13:58:37 174
1739368 남자인데 유치원실습 예정인데 이거 뭐죠 ㅋㅋㅋ 1 사소한고민 13:55:25 404
1739367 나이 40 중반에 순수하다는 말 22 13:48:58 632
1739366 가슴에 붙이는 브래지어 어떤가요? 3 추천해주세요.. 13:47:33 389
1739365 더워서 그런가 멍해요........... 4 더위 13:42:24 450
1739364 영화 신명 명신 13:41:03 284
1739363 복숭아 껍질깎아 드시나요? 15 13:38:06 640
1739362 핸드폰필름 떼니 좋으네요 5 13:37:07 529
1739361 전화오먼 너무 싫어요 13 ㄱㄴ 13:32:42 1,312
1739360 정은경 장관 아드님은 키가 2미터는 되는 것 같네요 22 ㅅㅅ 13:29:33 2,065
1739359 여기 말대로 사과 개방 얘기 나오네요 13 .. 13:25:41 983
1739358 강선우랑 그냥 같이 망하자는거죠? 28 .. 13:20:24 988
1739357 제 마음 상태가 왜이럴까요? ㅠㅠ 8살 아이랑 분리불안이 있어요.. 6 ㅇㄹㅇ 13:15:54 986
1739356 카페주인 일거 같은 이미지는 어떤건가요? 10 ... 13:15:13 684
1739355 어찌 해야 할까요? 8 울엄마 13:13:20 534
1739354 조국 전 대표 사면, 복권 빠를수록 좋다 17 ... 13:13:02 1,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