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가 형편 다를 경우 용돈 액수요
한쪽은 자가 노후 대비 그럭저럭이고
한쪽은 전세에 어렵구요
전자에 20
후자에 50
비합리적인가요.
드릴 능력은 되구요
부부가 의견이 다릅니다
댓글 같이 볼게요
1. ᆢ
'17.10.6 11:46 AM (175.195.xxx.148)후자쪽이 당장 생계가 어려운 정도가 아니라면
일단 똑같이하고
대신해서 후자쪽 병원비라든가 전세 옮길 시 도움 드리거나 그럴 거 같아요2. ....
'17.10.6 11:46 AM (59.29.xxx.42)그정도차이면 그냥 똑같이 하는게 맞을것 같아요.
전세에 어려운데 명절에 30더받는다고 살림피는것도 아닌데
한쪽이 기분상할필요가 있을까요.3. 동일
'17.10.6 11:48 AM (1.229.xxx.94)항목이 다른거죠
양가형편이 어떠하던 드리는 용돈은 같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럭이 되신다하니 어려운 쪽은 따로 생활비 지원을 해드려야겠지요4. ..
'17.10.6 11:48 AM (116.45.xxx.121)똑같이 해야죠.
그런식이면 못사는 자식한테 돈 더 많이 주는것도 당연한거죠.5. 저 금액
'17.10.6 11:48 AM (119.66.xxx.93)매달 이에요? 명절만이에요?
6. 원글
'17.10.6 11:49 AM (223.62.xxx.21)매달입니다
어려운 쪽은 사실상 생활비가 되겠네요7. 아ㅡ
'17.10.6 11:51 AM (175.195.xxx.148)생활비면 형편(각소득ᆞ지출 상황고려)에따라 차등을 두는 게 맞죠
8. 어려운 쪽이
'17.10.6 11:51 AM (220.85.xxx.206)친정인가요?
어쩔 수 없는 거 아닌가요. 그냥 똑같이 하시는게 나을듯요9. ,,
'17.10.6 11:52 AM (119.66.xxx.93)맞벌이, 외벌이, 친정, 시집, 형제 유무,
이런거 다 알아야죠10. 한쪽 부모님은
'17.10.6 11:53 AM (220.85.xxx.206)열심히 살아서 형편 안정된건데 자식 교육 시키고.. 교육비는 좀 드나요
근데 용돈 차별당하는거 알면 서로 기분 상할듯요.11. ..
'17.10.6 11:57 AM (110.9.xxx.15) - 삭제된댓글저라면 형편 어려운 쪽이 열심히 사셨는데도 불구하고 평생 고생만 하시다 어렵게 사시는 거라면 인정상 더 드릴거 같구요. 만약에 젊은시절 사치부리고 놀러다니다 늙어서 어렵게 사시는 거라면 똑같이 드릴거 같아요.
12. ,,,
'17.10.6 11:57 AM (119.66.xxx.93)열심히 살아서 형편 안정. 자녀 교육비, 편견 심하네요
13. ...
'17.10.6 12:00 PM (116.37.xxx.147) - 삭제된댓글똑같이 합니다
14. 네
'17.10.6 12:01 PM (220.85.xxx.206)그건 인정합니다. 편견이라고 말하시면..
하지만 119님 말씀대로 맞벌이 외벌이. 결혼시 지원여부, 형제유무, 친정 시집,
다 말씀주셔야 조언을 해드리지
원글님이 답정처럼 물어봐주셔서.. 그렇게 댓글 달기도 했네요.15. ,,
'17.10.6 12:02 PM (119.66.xxx.93)똑같이 35하는건가요?
16. 원글
'17.10.6 12:06 PM (223.62.xxx.21)가계 수입은 800정도이고
각자 형제 숫자는 같습니다17. 그정도면
'17.10.6 12:09 PM (220.85.xxx.206) - 삭제된댓글같이 하시는게;;
쓰신글에도 한쪽도 자가일 뿐이지 그럭저럭이고
한 쪽은 전세에 어렵다매요
남들이 보기엔 둘 형편 다 비슷해보이는디요18. 그정도면
'17.10.6 12:10 PM (220.85.xxx.206)같이 하시는게;;
쓰신글에도 한쪽도 자가일 뿐이지 '그럭저럭'이고
한 쪽은 '전세'에 어렵다매요
남들이 보기엔 둘 형편 다 비슷해보이는디요 전세나 자가나 요즘 차이도 없구요19. ,,,
'17.10.6 12:10 PM (119.66.xxx.93)님 수입
남편수입
어려운 형편은 어느쪽
차이 나는 금액 반대자는 누구
형제들 형편은, 성별은
야금야금 의도가 뭐에요. 짜증20. 용돈은 같게...
'17.10.6 12:22 PM (59.26.xxx.197)만약 시댁이라면 남편만 따르시고 그 돈은 따로 저금하나 들어놓으세요.
나중에 노인들 큰병 날때 요긴하게 쓰일거에요.
친정이라도 용돈은 같게 드리세요.
대신 님 용돈이나 다른 부수입으로 대체하셔야 해요.
혹 전업이면 알바하시더라도 솔직히 내가 더 나서서 시댁에 더 돈을 드린다면 모르지만 서로 부모님 더 챙기
고 싶지 않나요?
각자 부모는 각자가 알아서 해야 할 몫이에요.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지만 양가 부모님께 매달 용돈 드리는 것만 해도 가계지출에 엄청난 출혈입니다.
집은 있는지 자녀는 있는지 (왠지 결혼 막 한 부부같은 느낌이....) 자녀 계획은 있는지 자녀 앞으로
교육비는 어느정도 예상하고 있는지 좀 더 미래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세요.21. . .
'17.10.6 12:28 PM (1.235.xxx.64) - 삭제된댓글전자가 아주 넉넉하다면 모를까 큰차이는 없어보이는데요...
둘다 50으로 하자는건지, 30,40정도로 낮춰서 드리자는건지모르겠는데. .
최소한으로 양가모두 똑같이 드리고 어려울때 어느쪽이든 목돈으로 드리시는게 별도로 모아두는게 나을것같아요.22. ...
'17.10.6 12:32 PM (119.64.xxx.92)효도가 셀프라면, 돈 많이 번 사람집에 돈이 더 많이 가는게 합리적인거 아닌가요?
돈 못버는 사람은 자기집에 몸으로 떼우고, 돈 잘버는 사람은 돈으로 떼우고..
뭔가 기준이 애매..한듯.23. ㅇㅇ
'17.10.6 12:36 PM (58.140.xxx.106)각자 알아서 하기때문에 남편이 얼마드리는지는 모르는데 본인 수입에서 꽤 많이드리는듯 해요.
시댁은 두분다 부동산 꽤 있고 일 안하시지만 먹고 사는데 문제는 없는 상황이구요.
그냥 저는 명절때만 드려요.24. 킁_킁
'17.10.6 1:06 PM (124.53.xxx.104)글쓴님쪽이 어려우니까 문제가 되겠죠
25. 네네
'17.10.6 1:15 PM (58.124.xxx.80)본인들 어려운 건 본인들이 감당할 일이라고 생각해요. 없으면 좀 더 아끼고 덜 좋은 걸 쓰고 살아야죠. 그러니 똑같이 드리는 쪽으로.. 단, 최저생계비도 없거나 당장 살 길이 막막할 정도라면 더 드려요.
26. ㅇㅈ
'17.10.6 1:20 PM (125.186.xxx.113) - 삭제된댓글용돈은 똑같이 드리고
친정쪽이 어렵다면 님이 눈치껏 챙겨드리고
시집쪽이 어렵다면 남편더러 눈치껏 더 드리라 하면 되겠네요.27. 음
'17.10.6 1:46 PM (175.114.xxx.199)똑같이 드려야죠
특히 양자 의견이 다르다면 더욱 똑같이 드려야 한다고 봐요
만약 형편 어려운 집안 쪽 배우자가 똑같이 드려야 한다고 주정했으면 좀 생각하보겠지만 그렇자 않다면 동일 금액으로 드리세요28. ..
'17.10.6 2:17 PM (211.109.xxx.45) - 삭제된댓글어차피 효도는 셀프고 ,시간많은 사람이 자기집 더 자주가듯이, 돈많이 버는 사람이 더 많이 자기집에 드리는 거죠.. 똑같은 액수 드리는것도 무리가 있네요.
29. 치사해도
'17.10.6 4:43 PM (223.39.xxx.159)돈많이버는사람 맘이에요
남편,님 각각수입액 정년 이런거 다 쓰셔야알죠30. 어차피
'17.10.6 9:57 PM (223.62.xxx.241)돈 많이 버는 쪽이
자기 부모한테 좀 더주든지,
못사는 부모한테 좀 더 주든지 결정하게 하는게 좋죠
아니면
양쪽 부모한테 똑 같이 줘야죠.
못사는 부모는
그만큼 더 노력해서 살든지,
허리띠 조여매고 아끼고 살든지 해야겠죠.
어차피 효도는 셀프인 세상인데,
부부가 각자 번 돈에서
효도도 하는게 좋을것같아요.
즉,부부가 버는 돈에서 공동 생활비와 재산형성 자금을 일정하게 내놓고,
나머지는 각자 알아서 쓰는게 좋죠.
집안 일도 돈으로 환산해서,그만큼 집안일 더 많이 하는사람이
그에 상응하는 돈을 덜 내면 되겠죠.
공동 생활비와 자금을 각자내고,남는건 각자 관리하면서,
각자 알아서 자기 부모한테 도움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