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부모님 칠순에 그냥 오라는데
사람들 얘기를 들으니 칠순 팔순엔 축의금 대부분 안받는다고는 하는데
우리 어머니 팔순 때 보니 다들 봉투 주고 가드라구요
요즘같이 힘든 세상에 생신은 그냥 가족들끼리 식사하는것 같던데
안가자니 미안하고 맘에 걸리고
그렇다고 걔말대로 빈손으로 가기도 그렇고
가자니 부담스럽고 그러네요
이런 경우 정말 아무 것도 안하고들 가시나요?
- 1. marco'17.2.7 2:42 PM (14.37.xxx.183)- 결혼식도 축의금 안 받는 분들도 있는데 
 칠순이야...
- 2. ㅇㅇ'17.2.7 2:43 PM (211.205.xxx.224)- 일단 친구말은 그대로 믿으세요 
 그냥 자기부모 잔치에 한사람이라도 더 와서 축하해주길 바라는 마음이에요
 
 그래도 간단하게 선물이든 봉투든 하면 싫어는안하겠죠
- 3. ???'17.2.7 2:43 PM (121.190.xxx.146)- 친구 부모님 칠순에 원글님 부른거에요? 
 원래 친구 부모님께 인사도 종종 드리고 그랬던 사이라면....
 저라면 굳이 봉투하기 좀 그러면 선물이라도 사들고 갈 듯 하네요.
 저도 어릴 때 밥도 사주시고 종종 뵙고 했던 친구 부모님께는 가끔 와인이나 과일 같은 거 사들고 인사 갈 때가 있거든요. 친구가 언젠가는 아버님 칠순잔치에 (호텔에서 함) 저더러 와서 밥먹고 가라 한 적도 있었어요. 인원이 몇 명 취소되어서 자리 났다면서요 ㅋ 안 가기는 했지만.
 
 이런 게 참 애매해요잉. ㅎ
- 4. ...'17.2.7 2:44 PM (175.121.xxx.16) - 삭제된댓글- 꽃다발 어때요. 
- 5. ...'17.2.7 2:44 PM (114.204.xxx.212)- 안가도 됩니다 
 사절이라ㅡ해도 그냥은 못가요
- 6. 자취남'17.2.7 2:45 PM (133.54.xxx.231)- 칠순 팔순인데 돈 몇푼이 뭐 그리 중하겠습니까? 
 
 북적북적 분위기 만드는게 훨씬 중할겁니다.
 
 부담스럽고 민망하면
 
 가셔서 노래나 한 곡 불러주세요.
- 7. ..'17.2.7 2:50 PM (183.99.xxx.99)- 저희도 칠순때 안 받았어요. 
 오히려 축하하러 오신분들 가실때 약소하지만 봉투 드렸습니다.
 팔순잔치에 갔는데 그 댁도 절대 안 받으셨고요.
 정 민망하시면 작은 선물정도 준비해서 가세요.
- 8. ㅇㅇ'17.2.7 2:52 PM (115.136.xxx.220)- 안받는다고 해도 가는 사람 입장에서 빈손은 민망하죠. 
- 9. 11'17.2.7 2:53 PM (223.33.xxx.227)- 노래한곡 부르라는 말씀에 뿜고가요. 
 빈손으로가도 될거같긴한데.. 뭐 좀 챙기면 더 좋겠죠
 꽃다발은 정말 아닌듯하고
 현금이 젤 좋은데 얼마를 해야하나가 참....
 애매하면 노래한곡..ㅎ
- 10. 간단한 선물'17.2.7 3:01 PM (69.158.xxx.42)- 들고 가세요. 요즘엔 보통 음식점 방하나 빌리면 인원수가 책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 
 부를 사람이 열 명인데도 30명 방 하나 빌릴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는데(보통 부페식당) 그럴 경우에
 가까운 친지들 부르는 경우 있더라구요.
- 11. ㅁㅁ'17.2.7 3:06 PM (175.115.xxx.149)- 대부분 받던데요... 저희시부모님도 축의금 안받는다고했는데 봉투 다 주시더라고요..그래서 따로 5만원씩 봉투넣어서 차비라고 또 돌리셨네요 
- 12. ..'17.2.7 3:07 PM (118.221.xxx.32) - 삭제된댓글- 왜 연락은 하는지 
 가족끼리 하지
- 13. ...'17.2.7 3:11 PM (116.39.xxx.174)- 82 회원들은 절대 연락하지 마세요.민폐에요. 
- 14. 민폐'17.2.7 3:14 PM (116.124.xxx.163)- 직계끼리만 합시다. 
- 15. ..'17.2.7 3:17 PM (211.224.xxx.236)- 참 요즘 세상에 칠순에 가족말고 다른 사람을 부르다니. 저게 그냥 밥만 먹고 가란다고 그렇게 할 수 있지 않잖아요. 참 민폐네요. 생일은 그냥 본인 직계가족끼리만 하자구요. 돌잔치도 그렇고 
- 16. 자취남'17.2.7 3:19 PM (133.54.xxx.231)- 칠순 팔순이면 
 
 그 또래에 맞는 사고와 판단이 있습니다.
 
 현 시대의 주류 세대라고 하여
 
 비 주류의 입장을 매도하시면 안 됩니다.
 
 어른 시대의 입장을 수용하면서
 
 현 시대 사람들의 입장을 고려하다 보니
 
 축의금은 정중하게 사양한다는
 
 새로운 문화가 탄생한겁니다.
 
 본인 스스로가 주류세대에 속해있기 때문에
 
 주류를 이루는 대다수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는 근거로
 
 비주류 어른세대를 묵시하는 것은 양심불량입니다.
 
 이재용의 힘에 의한 경영권승계와
 
 원론적으로는 하등의 차이가 없는 양심불량입니다.
- 17. 영우'17.2.7 3:32 PM (115.93.xxx.66)- 자취남님 말씀 공감합니다... 
- 18. 아휴'17.2.7 3:35 PM (175.112.xxx.180)- 그 친구도 참 무슨 부모님 칠순까지 부르나요. 
 별로 님이 가서 앉아 있을 분위기가 아닌데.......
 친지들, 자식들 이렇게나 가면 되지.....저는 언니의 시부 칠순에 한동네라 가긴 했지만 뻘줌합디다. 내가 낄 자리가 아니다 싶었음.
- 19. ..'17.2.7 3:38 PM (58.234.xxx.93)- 칠순 팔순엔 보통 축의금 안받아요. 
 답례는 해요.
 사절이라도 가족은 하고요.
 그 외엔 안받아요.
 
 가서 잔칫날 북적하게 해주는게 칠순인데
 보통 친구는 안부르긴해요.
- 20. ㅇ'17.2.7 3:45 PM (121.168.xxx.241)- 가족끼리하지 친구를 부담스럽게 부르네요 
- 21. =='17.2.7 3:45 PM (183.101.xxx.94)- 보통은 친구를 안 부르죠. 친구 부모님 칠순에 초대 받은 적도 없고, 저희 시부모님 칠순잔치 하실 때도 남편 친구들 아무도 부르지 않았어요. 시부모님이 하고 싶으셔서 잔치 하신 거고, 친척과 시부모님 지인만 오신거죠. 따로 축의금 받지 않아도 다 축의금 주시던데요. 
- 22. ㅎㅎㅎ'17.2.7 5:04 PM (121.66.xxx.186) - 삭제된댓글- 축의금 사절 이런말 절대 없이 다 받던데요 
 그냥 돈주고 밥먹고 옴
 
 솔직히 칠순 잔치에 직장 동료 초청하는 사람들 이해가 안가요
 하긴 자기 형제 결혼한다고 청첩장 돌리는 사람도 있더군요
- 23. .....'17.2.7 6:29 PM (112.151.xxx.45)- 친구랑 어떤 사이인지가 중요하죠. 절친이고 부모님과도 교류,정 있었다면 모르지만 아님 핑계대야죠. 빈손으로 오란다고 10대도 아닌데 어찌 빈손으로 가나요? 말도 안 됨. 
- 24. 남한테 왜불러'17.2.7 8:39 PM (220.76.xxx.136)- 미쳤나 칠순에 사람을 왜불러요 우리는 형제들도 안부르고 우리식구만 밥한끼니 먹었어요 
 좋은 식당가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