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세뱃돈 도없어졌으면 좋겠어요

부담 조회수 : 2,446
작성일 : 2017-02-01 10:05:41
아이들이 집집마다 한 둘이 아니고
성인이 되어 다 자랄 때까지
족히 20여년은 명절 때마다
보는데
집안 어른들의 입장에서는 
참 부담스러울 것 같아요.

받는 아이의 입장에서는
너무 신나고
부모의 입장에서도 고맙고 한데

한편으로는 너무 부담을 
안겨주는 것 같고 민폐 같아
죄송스럽고 그래요.

친정 모임에도 그런 이유로
가끔씩은 제가 안 가기도 하고
자리를 좀 비우기도 하는데

그냥 받는 거 없이
마냥 주기만 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부담스럽고 
싫을 것도 같아요.....
IP : 118.223.xxx.155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7.2.1 10:08 AM (211.237.xxx.105)

    근데 우린 이미 받았잖아요, 우리 부모들에게...
    이제와서 없애자고 하면 애들이 불쌍..
    저야말로 이제 외동딸이 다 커서 내년에 대학 졸업반이니 더이상 받을 일이 없고 줄일만 남았지만..

  • 2. ㅁㅁㄴ
    '17.2.1 10:08 AM (182.201.xxx.36)

    친정 시댁 통털어 우리애1 조카2 도합 3명밖에 없어서 세뱃돈이 이렇게 문제가 되는줄 몰랐네요.

  • 3. 부담이죠
    '17.2.1 10:11 AM (175.192.xxx.109) - 삭제된댓글

    결혼초 시가가면 그래도 친척어른들 10여명은 인사차 들리시곤 했는데 줄줄이 아이들이 태어나니 점점 줄더니 이젠 아예 안오심ㅋ

  • 4. 그죠
    '17.2.1 10:11 AM (219.251.xxx.212)

    가족 많은 집은 부담될 듯 해요
    명절이 완전 돈잔치...
    제사 비용에 세배돈에 교통비에...
    내가 좀 손해 보는 것 같은 느낌도 들고...
    있는집이야 아무렇지 않겠지만 서민들에겐 너무 힘드네요
    없어져야 할 문화에요

  • 5. ....
    '17.2.1 10:13 AM (223.62.xxx.224) - 삭제된댓글

    저밑에 썼지만 세뱃돈 좀 이상한 풍습이에요.
    명절에 돈 주는 풍습은 중국에서 건너온 거라던데 원래 중인 계층에서만 행해졌대요. 속된 말로 오랑캐 풍습.
    명절에 아이들한테 돈 주는 나라 못 봤어요.
    대부분 선물을 주죠. 그것도 일방적으로가 아니라 상호 교환.
    어릴 때부터 세뱃돈을 잔뜩 받아 버릇하니 사람들이 돈 밝히는 성향이 더 심해지는 거 같아요.

  • 6. ...
    '17.2.1 10:13 AM (118.223.xxx.155)

    네 부모나 듬뿍 주고 다른 친척들한테는 안 받는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좋겠어요. 서로 좀 뻘쭘하고, 은퇴하신지 한참된 거 뻔히 아는데 친척 어른들이 아이 앞에서 안 주기도 뭣하다고 느끼시는지 허둥지둥 지갑 꺼내 뒤지시는 모습을 보고나서는 죄송스러워서 친척들 다 가신 다음에 친정에 가게 되네요.

  • 7.
    '17.2.1 10:16 AM (116.120.xxx.159)

    울 큰애 애기때 시 조카들이 대학생3 고등2 중등3
    이럴때,,,,,,,우리아인 아기라서 기분내키면 만원한장 쥐어주거나 그냥넘어갔고 전 50넘게 썼었어요 ㅜㅠ

  • 8. 눈치 없는 부모
    '17.2.1 10:25 AM (121.146.xxx.64)

    해마다 한동네 우리에겐 시외숙모댁을 가는 시조카네.
    그 외숙모 할머니.
    조카네는 꼭 아이 셋을 대동해서 갑니다.
    그러면 그 외숙모 세뱃돈 꼭 챙겨 주십니다
    이 조카네는 외숙모님께 드리는것도 없 습니다
    그래서 이번설엔 우리가 조카네 아이들 빼고 세배 가자고 했답니다
    좀 눈치가 있으면 좋으련만

  • 9. ..
    '17.2.1 10:27 AM (14.39.xxx.231) - 삭제된댓글

    제사처럼 이 문화도 없어지면 좋겠어요.
    이제 만원 이상은 줘야 하고 세배하면 으레 돈 받는 것처럼 된 게 잘못된 것 같아요. 그냥 어른들께 절하고 덕담 듣거나 작은 선물 정도 받거나 안 받거나 하면 모를까 돈이 오가는 건 좀 그래요.
    이게 언제부터 시작된 건지 모르겠네요ㅠ
    애들 데리고 세배 오는 친척 만나면 애들 사이에 두고 돈이 막 오가는데 한편으론 좀 민망하더라구요.
    점점 제사 없애듯이 이것도 바뀌거나 세배만 하는 풍습으로 바뀌었음 좋겠어요.

  • 10. zz00
    '17.2.1 10:30 AM (49.164.xxx.133)

    저희도 시조카네 애가 넷입니다 고등이고 중딩이고 ..고등이랑 3만원씩 줘도 12만원인데 우리 애들 이제 고등중등 됐는데도 한결같이 1만원줍니다 전 차마 고등에게 만원 못 주겠던데...몇년을 저러니 그냥 그러려니 합니다

  • 11. ..
    '17.2.1 10:32 AM (175.127.xxx.57)

    안주고 안받음 돼요.
    걍 가끔씩 얼굴 볼때 한번씩 주면 돼요. 물론 고정적으로는 절대 하면 안되고..
    사람 심리 똑 같아요. 매번 주면 당연하게 생각하고 고마운줄 모르죠.
    어쩌다 한번 주면 되려 고마워하죠.

    세월 흘러 우리 이모가, 고모가, 돈 줬다?? 기억도 안합니다.
    그러니 고민하지 마시고 자유로와 지시길요

  • 12. ...
    '17.2.1 10:42 AM (59.12.xxx.4)

    그런데 아이들한테는 어린이날만큼 신나하단데요? 울 조카가 할머니할아버지 안계셔서 세뱃돈 못받았다고 친구들과 얘기했다고하니 속상해서 이번에는 고모인 제가 일부러 챙겨줬어요 남편쪽은 사람이 많아서 미취학 만원 초등 삼만원 그렇게 했어요 문제는 어른들 세배돈이 몇십만원 ㅠㅠ

  • 13. ...
    '17.2.1 10:45 AM (59.27.xxx.15) - 삭제된댓글

    저는 돈 주고받는 문화 아예 없어졌으면 좋겠어요
    결혼 장례식 생일 입학졸업 새배 등등
    그냥 자기 잔치 자비로 하구요

  • 14. 윗분 공감
    '17.2.1 11:38 AM (91.207.xxx.23) - 삭제된댓글

    돈 주고받는 문화 없앱시다.
    김영란법이 확대돼야 해요.
    돈 주고받는 습관이 뇌물 수수로 연결되죠.
    중국과 화교들 많은 동남아 국가 우리나라가 청렴도가 밑바닥인데 그게 돈 주고받는 걸 일상으로 생각해서 그런 거예요.
    서비스와 노동에 대한 대가로만 돈이 오고 갔으면 해요.

  • 15.
    '17.2.1 1:04 PM (222.237.xxx.240) - 삭제된댓글

    돈주고 받는 습관이 뇌물 수수로 연결된다는 것 절대 공감!
    이렇게 일상적인 문화가 돈주고받는거에 대해 관행이다, 성의표시다, 안받으면 서운해한다 등으로 사람을 무감각하게 만들어요.
    자연스럽게 돈 줄 기회가 많잖아요. 명절, 경조사, 생일, 스승의날 등.

    김영란법 시행되고나서도 외부위원으로 박사논문심사 참여했는데 끝나고 학생이 돈봉투 주더라구요. 당연히 안받았지만 얼마나 돈주고받는 문화가 정착이 되었으면 논문지도한거 가지고 학생이 선생한테 돈을 주는지 무섭더라구요.

    항상 그래왔으니 의식하지 못하지만, 사회 전체적으로 물질만능으로 흐르는데 상당히 일조하는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경조사비도 그 사람과 친한 정도를 돈으로 환산해서 내게 되고, 적게 받으면 서운해하고, 서운할까봐 적게 못하고. 악순환이에요.

  • 16. 저도 억울
    '17.2.1 2:32 PM (59.17.xxx.48)

    전50대...어릴때 다들 가난해서 세배돈 받은 기억 없어요. 새신이나 새옷 하나 얻어 입으면 그게 정말 일기장에 쓸일....

    나이드니 조카가 친정과 시댁포함 20여명...ㅠㅠ
    전 애가 없어서 받는건 0원...

  • 17. 저도 결혼생활 20년은
    '17.2.1 3:52 PM (59.0.xxx.27)

    13명 조카들 세뱃돈 졸업 입학 축하금으로
    2월 보너스 전부 쓰며 살았던 터라

    지금 생각하면 엄청난 비용이더군요

    그렇다고 그 조카들이 다 알아주눈 것도 아니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3443 요즘 미국 입국심사 어떤가요? 6 Na07 2017/02/17 2,522
653442 원추리 나물 할때 그냥 데치면 되는 건가요? 1 ㅇㅇ 2017/02/17 1,194
653441 친구가 돌잔치를 가족끼리 하면 17 친구 2017/02/17 4,095
653440 호사카 유지, 문재인 공개 지지.."정권교체 돕겠다&q.. 13 ........ 2017/02/17 1,319
653439 에코백추천 1 가죽백 지겨.. 2017/02/17 1,341
653438 소유진정도면 이쁜건가요? 47 ㅇㅇ 2017/02/17 13,392
653437 공립교사들 성과연봉제 안하나요? 2 교사 2017/02/17 1,235
653436 19질문인데 관계중 11 19질문 2017/02/17 11,023
653435 교과서비도 내나요? 6 고등 2017/02/17 1,094
653434 너무 사랑해서 감당하기 어려웠던 사람 있으셨나요? 15 혹시 2017/02/17 5,695
653433 초등반대표인데 종업식 후 인사... 9 2017/02/17 2,429
653432 닥터마틴st 워커 찾고 있어요 1 워커홀릭 2017/02/17 767
653431 캐나다 몬트리올 한인이 취직하기 어떤가요? 6 ㅇㅇ 2017/02/17 2,413
653430 샤브샤브냄비 어떤거 쓰세요? 6 샤브샤브 2017/02/17 1,768
653429 시골의사 박경철 원장의 근황이 궁금합니다 33 청춘콘서트 2017/02/17 21,950
653428 무슨 낙으로 사시나요? 24 여생 2017/02/17 7,275
653427 교사급여 알려주세요. 22 교사 2017/02/17 5,670
653426 중고차 사신분들 세차 어떤걸로 하세요? 4 ㅇㅇ 2017/02/17 1,142
653425 다큐멘터리 '죄와벌' 1 저널리스트 2017/02/17 635
653424 안철수 후보사퇴 기자회견할때 왜 울었는지 아시는 분? 127 2017/02/17 4,883
653423 어린이집 학대 충격이네요 8 허걱 2017/02/17 3,155
653422 옷가게를 하고 싶은데 동대문 가볼까해서요. 6 .. 2017/02/17 2,532
653421 2/28 에 탄핵 발표 가능성이 없는지 궁굼해요. 6 탄핵 2017/02/17 773
653420 너무 친해지면 불편해요ㅠㅡㅠ 27 2017/02/17 11,163
653419 엄마 왼손이 마비되셨다는데..원인이 뭘까요? 7 걱정 2017/02/17 2,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