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큰 가전사고싶은 제 생각이 틀린거죠?

….. 조회수 : 1,327
작성일 : 2016-10-18 02:15:37
. 냉장고

외국이다 보니 작은 빌트인 냉장고로 몇년 살아와서
이제 익숙해 진거 같은데
여긴 채소및 과일들 유통기한이 매우 짧아 오래 보관할 수 없고 해서
거의 이 삼일 먹을 것들만 사와서 냉장고가 자주 자주 비워지는 편이라
큰 냉장고 쓸 생각 안해봤는데
한국 가서 오빠네 언니네 부모님네 보니 모두 새로 나온 삼성 냉장고로 바꿨던데
멋지더라구요, 칸칸 마다 기능도 다르고 신선하게 고기 보관하는 칸은 정말 필요한 기능 같아

제가 사는 곳 돌아오자 마자 그 냉장고 살지 말지 고민중이예요

. 티비

역시 한국 가족들 집은 모두 50인치..
저희집은 아직도 30인치 평면 티비 쓰는데
티비 볼일이 거의 없는데도 불구, 저희 거실 사이즈 대비 작은 티비 보니까
또 티비 구입할지 말지 고민


IP : 2.216.xxx.72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한국
    '16.10.18 2:27 AM (112.173.xxx.198)

    사눈데 4인 가족 냥장고 500라터 안되고 티비도 32안치.
    살림살이 늘아고싶은 생각 저는 없어요.
    눍음 남편과 둘이 10평대 원룸으로 옮길라구요.
    신혼때 야기 하나 데리고 살았던 10평대 원룸의 간소한 살림이 제일 편햇어 그 시절로 돌아가고퍼요

  • 2. ....
    '16.10.18 2:38 AM (180.70.xxx.35)

    티비 크면 전자파 더 나오고 눈 피곤

  • 3.
    '16.10.18 3:21 AM (59.15.xxx.87)

    냉장고는 커봤자
    썩어나가는 식재료만 늘어나더라구요.
    슈퍼 가까운 곳으로 이사하고나니
    장을 자주보고 식재료 쟁여놓지 않아요.
    신선한 재료로 요리하면 훨씬 맛있구요.
    전 집앞슈퍼가 제 냉장고예요.

  • 4. ㅇㅇ
    '16.10.18 5:29 AM (24.16.xxx.99) - 삭제된댓글

    큰 냉장고 안에서 재료가 썩어도 모르고 있다는 게 함정. 제일 안쪽에 있는건 안보이고 오래되어 잊어버려서 그런 일이 생겨요.
    티비는 점점 효용가치가 떨어져요. 컴이나 전화로 볼 때가 많으니까요.

  • 5. ,,,
    '16.10.18 6:01 AM (121.128.xxx.51)

    여유 있으면 큰 가전으로 바꾸세요.
    냉장고 커도 적절하게 음식 썩지 않게 관리하면 돼요.
    저는 저온 창고용으로 고추장이나 생강차나 유자차등 맨 윗칸에 잡곡 넣고
    사용하니 좋아요. 찌개나 국냄비째 넣어서 보관하니 좋고요.
    과일 박스로 샀을때 보관하니 좋고요.
    냉장고 작으면 명절때나 음식 많이할때 보관하려면 포개서 신경쓰면서
    보관 하는데 넓으니까 그 스트레쓰는 없어요.
    전기료도 많이 안 나오고요.
    TV도 55인치 보는데 좋아요.
    배우자도 동의하고 경제적인 여유 있으면 큰거 사는 것도 괜찮아요.

  • 6. 해외
    '16.10.18 6:02 AM (192.214.xxx.218) - 삭제된댓글

    원글님 마음 완전 이해해요^^
    한국에서 바리바리 싸온 스텐드형 김치냉장고 16cu 냉장고 사용하다가 김치냉장고 고장 ==> 일주일 답답했지만 버리는것 없고 냉동실 내용물 기억되고 좋았어요
    이사하면서 중딩 아이둘이라 코스코 바리바리를 포기할 수 없어서 22Cu 냉장고 설치 ==> 가끔 썩어가는 야채 발견 ==> 애들 독립하면 작은걸로 바꾸고 싶어요

    TV는 많이 사용한다면 큰것 추천
    아이들과 영화를 많이 보는 편이라 중고 구입했어요(최근 연식)

  • 7. 해외
    '16.10.18 6:04 AM (192.214.xxx.218)

    원글님 마음 완전 이해해요^^
    한국에서 바리바리 싸온 스텐드형 김치냉장고와 16cu 냉장고 사용하다가 김치냉장고 고장 ==> 일주일 답답했지만 버리는것 없고 냉동실 내용물 기억되고 좋았어요
    이사하면서 중딩 아이둘이라 코스코 바리바리를 포기할 수 없어서 22Cu 냉장고 설치 ==> 가끔 썩어가는 야채 발견 ==> 애들 독립하면 작은걸로 바꾸고 싶어요

    TV는 많이 사용한다면 큰것 추천
    아이들과 영화를 많이 보는 편이라 중고 구입했어요(최근 연식)

  • 8.
    '16.10.18 8:57 AM (222.121.xxx.154)

    큰거에 만족이예요
    티비 75인치로 큰맘먹고 바꾸고 극장 거의 안가구요
    지나간 영화도 큰화면으로보니 더리얼하네요
    아무튼 티비 보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폰으로 연결해서 유투브 보는것도 좋고
    기술이 좋아서인지 작은 티비보다 눈도 덜피로합니다
    냉장고는 작은거랑 신형큰거랑 두개인데
    같은과일을 넣어도 큰거는 생생하고 작은거는 며칠만에 시들시들
    큰냉장고에 보기좋게 정리하면 굳이 안보일것도 없어요
    집앞이 슈퍼 편의점 다있지만 그것도 귀찮아서
    택배주문해서 바로 넣어두고 조금씩 꺼내먹는 스타일입니다
    본인들 취향이겠지만
    여유되면 가전은 무조건 큰걸루요~~~

  • 9. 취향이겠죠
    '16.10.18 7:55 PM (59.6.xxx.151)

    전 냉장고 정리의 달인급인데 큰 냉장고는 싫어요
    다른 것도 그렇지만 크면 깊이 둔 거 꺼낼때 귀찮아서요
    티비는 ㅎㅎㅎ 모르겠네요
    워낙 티비 필요가 없는 사람이라,,
    오늘 저녁에 티비 많이 보는 남펀에게 물어봐야겠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6843 오늘 촛불집회중 요긴한정보 7 서울생활의달.. 2016/11/12 2,090
616842 아들친구가 집회참여하러 중국에서 왔네요. 4 세상에 2016/11/12 1,659
616841 오늘 서울시민의 일정표 2 ㄴㄴ 2016/11/12 1,212
616840 헐 고속도로 상행선이 꽉 막혔대요 4 하야해라 2016/11/12 2,504
616839 오늘 가고싶은데ㅜ 3 ㅇㅎㅇ 2016/11/12 601
616838 3번째 주말 집회나갑니다 4 피카소피카소.. 2016/11/12 405
616837 박그네는 도대체 이 지경에 왔는데도 안 물러 나고 왜 거기에... 5 ..... 2016/11/12 1,306
616836 오늘 집회는 역사책에 남을만한 기록이 될것같아요. 1 먼훗날 2016/11/12 930
616835 오마이티비 집회 생중계 시작했어요! 2 ㅇㅇ 2016/11/12 944
616834 11월 12일 행진이다 2016/11/12 275
616833 근혜랑 순시리랑 근혜 측근들 다 공범 잡아 쳐넣길 1 미미 2016/11/12 253
616832 대구집회 어디서 열리나요 3 대구집회 2016/11/12 522
616831 지금 이 시간 야당과 정치인 실명글은 100% 혼이 비정상인 분.. 2 무무 2016/11/12 550
616830 오늘 100만이다 화이팅 4 박근혜 하야.. 2016/11/12 659
616829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대선후보들이 뭉쳐야 합니다. 3 여러분 2016/11/12 296
616828 방금 테레비 자막에 올해 사법시험 107명 붙었다고 하네요? 3 .... 2016/11/12 1,860
616827 민중총궐기 전국 각지서 ‘촛불’ 상경버스 현재 상황 2 ... 2016/11/12 1,071
616826 english restart advanced ..궁금해요 3 이와중에 죄.. 2016/11/12 361
616825 오늘 집회 7시 넘어야 도착할거 같은데 14 인천사람 2016/11/12 1,532
616824 문재인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줍니다 18 ........ 2016/11/12 3,013
616823 영등포구에서 박정희 추모제 하는 중이라네요... 2 음... 2016/11/12 1,271
616822 나 어릴적엔 야당이 저러지 않았는데.. 25 이상해졌어 2016/11/12 2,347
616821 우리도 뭔가를 좀 나눠 가지면 안될라나요 당당하게 1 우리도 2016/11/12 396
616820 문재인 삼성눈치보느라 간보는건가요? 50 ㅇㅇ 2016/11/12 3,974
616819 제주도민 1000명 상경 7 ㅇㅇ 2016/11/12 1,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