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애 정말 학습일 뿐인가요?
- 1. 모성애가'16.10.7 8:04 AM (123.213.xxx.216) - 삭제된댓글- 대물림이죠.인간만 동물들도 안하는 짓을 합니다. 
 새끼 버리는짓.
 자연의 동물글이 새끼 키우면 떠나 보내고 그 새끼는 부모품으로 돌아 오는 법은 없지만
 인간은 부모 품을 떠나지 않고 돌보지요.이건 돌보지 않아도 나쁜짓은 아니지만 돌보는건 칭찬받을짓.
 새끼를 버리는 짓은 나쁜짓이지만 돌보는건 칭찬받을짓은 아니요.
 동물도 그리하니까.생태계를 기준해서 놓고 보면 답 나옵니다.
- 2. 모성애가'16.10.7 8:05 AM (123.213.xxx.216) - 삭제된댓글- 대물림이죠. 
 모친이 나를 키운 그대로 인간도 동물도 똑같이 새끼를 대하고 키우죠.따라배운거에요.
 그런데
 인간만 동물들도 안하는 짓을 합니다.
 새끼 버리는짓.
 자연의 동물글이 새끼 키우면 떠나 보내고 그 새끼는 부모품으로 돌아 오는 법은 없지만
 인간은 부모 품을 떠나지 않고 돌보지요.이건 돌보지 않아도 나쁜짓은 아니지만 돌보는건 칭찬받을짓.
 새끼를 버리는 짓은 나쁜짓이지만 돌보는건 칭찬받을짓은 아니요.
 동물도 그리하니까.생태계를 기준해서 놓고 보면 답 나옵니다
- 3. 모성본능이 왜 없겠어요'16.10.7 9:00 AM (211.201.xxx.244)- 인간도 동물인데... 
 다만 인간마다 다를테고
 모성애가 여성 억압도구로 악용된 건 있죠.
 아무리 모성애가 있다한들
 모든것을 희생하는 모성애는 아닙니다.
- 4. 학습'16.10.7 9:44 AM (183.109.xxx.87)- 본능이냐 학습이냐 어느것이 더 비중이 큰지는 모르겠지만 
 인간의 경우에는 에리히 프롬도 학습쪽에 비중을 둔 거 같아요
 예전에 당연히 희생하던 어머니 할머니 세대와 요즘 세대 젊은 엄마들은 다르잖아요
 그런거 보면 학습이 맞다는 생각이 듭니다
- 5. 반반요'16.10.7 9:56 AM (211.36.xxx.219)- 근데 동물도 유난히 모성애가 강한 녀석들이 있듯 
 사람도 유난히 강한 사람, 거의 없다시피 한사람...
 개인차도 상당히 큰것 같아요.
- 6. ...'16.10.7 12:01 PM (221.146.xxx.27)- 모성애를 너무 이상화해서 그렇지 
 있기는 있는거 같아요
 특히 아이낳고 1~2년 가량은 호르몬이 크게 작용해서 인지
 내가 나아닌거 같이 아이를 이뻐하게 하고 아이위주로 생활하고 싶어지더라구요
- 7. 글쎄'16.10.7 12:04 PM (211.36.xxx.72)- 모성애유전자는 딸이 아버지한테서 물려받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