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질문> 대웅전 가운데 있는 불상을 뭐라고 부르죠?

00 조회수 : 900
작성일 : 2016-10-06 00:05:55
미리 감사드려요..
갑자기 생각이 안나서요

.석가보니불..은 아니지요?
IP : 124.49.xxx.61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본존불 아닌가요?
    '16.10.6 12:06 AM (115.93.xxx.58)

    불교는 아니라서 ;;;

  • 2. 지나가다
    '16.10.6 12:07 AM (218.50.xxx.151)

    본존불 내지 주불이라고 하지 않나요?

  • 3. ...
    '16.10.6 12:07 AM (121.183.xxx.140)

    본존불이라고 합니다.

  • 4. 본존불
    '16.10.6 12:10 AM (14.52.xxx.171) - 삭제된댓글

    생김새와 성별이 절마다 다 달라요

  • 5. 석가
    '16.10.6 12:19 AM (114.201.xxx.164) - 삭제된댓글

    석가모니불 아닌가요? 흠...

  • 6.
    '16.10.6 12:20 AM (122.128.xxx.53)

    석가모니불 = 본존불입니다.

  • 7. 주불과 전각의 이름
    '16.10.6 12:39 AM (108.29.xxx.104) - 삭제된댓글

    주불은 본존불은 석가모니불 뿐이 아니고 다른 불상도 있습니다. 그 때는 전각의 명칭도 바뀌게 됩니다.
    예를 들면 비로자나불을 모신 법당은 대적광전이라 불립니다. 주불에 따라 본존불 옆 협시불도 조금씩 다른 것 같습니다.

    아래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것을 올립니다. 참고하세요.


    (1) 전각(殿閣)

    사찰의 건축물은 안에 모셔진 불상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다. 불보살이 모셔진 곳을 전(殿)이라 하며, 그 외에는 각(閣)이라 부른다.



    ① 대웅전(大雄殿)

    대웅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신 법당이다. 대웅전은 절의 중심이 되는 전각으로, ‘법력(法力)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 이라는 뜻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세상을 법으로 정복한 위대한 영웅인 대웅(大雄)이라 한 데서 유래한다.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의 좌우에 협시 하는 분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또는 십대제자 중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모신다.

    삼세불(三世佛)이나 삼신불(三身佛: 법신불.보신불.화신불)을 모시기도 한다. 삼세를 통하여 불법으로 교화하는 삼세불은 현세의 석가모니불, 과거의 연등불인 제화갈라보살, 그리고 미래불인 미륵보살이다. 삼신불인 경우 석가모니불 좌우에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봉안하기도 하며 이럴 경우 격을 높여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 부른다.


    ② 대적광전(大寂光殿)

    대적광전의 본존불은 비로자나불이다. 비로자나불은 연화장세계의 교주이신데, 그분이 계시는 연화장세계는 진리의 빛이 가득한 대적정의 세계라 하여 대적광전이라 부른다. 화엄계통의 사찰에서는 대적광전을 본전으로 삼는다. 대적광전은 화엄세계를 드러내기 때문에 화엄전이라 부르며, 화엄세계의 본불인 비로자나불을 모신다는 뜻에서 비로전이라고 한다.


    대적광전에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삼신불을 모신다. 따라서 법신불인 비로나자불, 보신불인 아미타불, 화신불인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것이 상례다. 다만 우리나라 선종 사찰에서는 선종의 삼신설에 따라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원만보신 노사나불,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을 봉안한다.


    ③ 극락전(極樂殿)

    극락전은 극락정토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이다. 아미타불은 본래 임금의 지위와 부귀를 버리고 출가한 법장비구로서, 보살이 닦는 온갖 행을 다 닦아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원[48대원]을 세우고 마침내 아미타불이 되었다. 아미타불의 광명은 끝이 없어 백천억 불국토를 비추고, 수명이 한량없이 백천억 겁으로도 셀 수 없다 하여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도 한다. 또한 주불의 이름을 따라 미타전(彌陀殿)이라고도 한다. 경북 영주의 부석사 무량수전이 유명하다.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모신다.



    ④ 미륵전(彌勒殿)

    미륵전은 미래의 부처이신 미륵불을 모신 곳이다. 미륵불에 의해 새로이 펼쳐지는 불국토 ‘용화세계’를 상징한다. 하여 용화전(龍華殿)이라고도 하고, ‘미륵’의 한문 의역인 ‘자씨’를 붙여 자씨전(慈氏殿)이라고도 부른다. 미륵은 미래세의 세상에 출현해서 중생을 제도한다는 부처님이시다. 미륵전은 전북 김제의 금산사 미륵전이 대표적이다.


    ⑤ 원통전(圓通殿)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모신 곳으로, 특히 그 사찰의 주불전(主佛殿)일 때 원통전이라고 부른다. 원통이란, 관세음보살이 모든 곳에 두루 원융통(圓通通)을 갖추고 중생의 고뇌를 소멸해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반면 관세음보살을 모신 전각이 부불전(副佛殿)일 경우에는 관음전(觀音殿)이라고 한다.


    ⑥ 약사전(藥師殿)

    약사전은 약사유리광여래(약사여래)를 모신 법당이다. 약사여래는 현세중생의 모든 재난과 질병을 없애주고 고통에서 구제해주는 현세이익적인 부처님이다.약사여래는 동방유리광정토의 주인이시다. 만월보전, 유리광전, 보광전이라고도 부른다.


    ⑦ 팔상전(八相殿)
    팔상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일생을 여덟 폭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을 봉안한 곳이다. 여덟 폭의 그림에서 연유하여 팔상전 또는 부처님의 설법회상인 영산회상에서 유래하여 영산전(靈山殿)이라 부르기도 한다. 불단 없이 벽에 팔상도를 봉안하는 것이 보통이다. 주불은 석가모니 부처님이고, 좌우 협시로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을 봉안한다. 충북 보은의 법주사 팔상전이 대표적인 예다.



    ⑧ 나한전(羅漢殿)

    나한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중 아라한과를 성취한 성인, 즉 나한을 모신 곳이다. 나한은 아라한의 약칭으로, 번뇌를 남김없이 끊은 성자라는 뜻이다. 부처님에게는 열여섯 명의 뛰어난 제자들이 있었는데, 이들을 16나한이라고 한다. 나한전은 영산회상의 모습을 재현했다고 해서 영산전(靈山殿)이라 하며, 또는 참된 진리와 완전히 합치한 분들을 모셨다는 의미에서 응진전(應眞殿)이라고도 부른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시고, 좌우에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봉안되어 있다. 그 좌우에 열여섯 명의 나한이 웃고, 졸고, 등을 긁는 등 자유자재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나한의 숫자가 500명인 경우도 있는데 이는 부처님이 열반하신 뒤 부처님 생전 설법을 정리하기 위해 최초로 집회를 열었을 때 모인 비구의 수가 500명인 데서 유래하였다. 이를 오백결집이라고 한다.


    ⑨ 명부전(冥府殿)

    지장보살을 봉안한 경우는 지장전(地藏殿)이라고 부르고, 시왕을 모신 경우는 시왕전(十王殿)이라고 불린다. 시왕은 지옥에서 죄의 경중을 정하는 염라대왕을 비롯한 열 명의 왕이다. 지장보살은 지옥의 공간인 명부세계의 주존이므로 지장전을 명부전이라고 한다.


    ⑩ 대장전(大藏殿)

    대장전은 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축조한 건물이다. 대장전이란 편액을 건물로는 경북 예천의 용문사 대장전과 전북 김제의 금산사 대장전이 있다.



    ⑪ 적멸보궁(寂滅寶宮)

    적멸보궁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불전이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심으로써 부처님이 항상 그곳에서 적멸의 즐거움을 누리고 있음을 상징한다. 적멸보궁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고 불단만 있다. 우리나라에는 5대 적멸보궁이 있는데 양산 통도사, 오대산 상원사,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 설악산 봉정암이다.

  • 8. 주불과 전각의 이름
    '16.10.6 12:41 AM (108.29.xxx.104)

    주불은 석가모니불 뿐이 아니고 다른 불상도 있습니다. 그 때는 전각의 명칭도 바뀌게 됩니다.
    예를 들면 비로자나불을 모신 법당은 대적광전이라 불립니다. 주불에 따라 본존불 옆 협시불도 조금씩 다른 것 같습니다.

    아래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것을 올립니다. 참고하세요.


    (1) 전각(殿閣)

    사찰의 건축물은 안에 모셔진 불상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다. 불보살이 모셔진 곳을 전(殿)이라 하며, 그 외에는 각(閣)이라 부른다.



    ① 대웅전(大雄殿)

    대웅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신 법당이다. 대웅전은 절의 중심이 되는 전각으로, ‘법력(法力)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 이라는 뜻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세상을 법으로 정복한 위대한 영웅인 대웅(大雄)이라 한 데서 유래한다.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의 좌우에 협시 하는 분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또는 십대제자 중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모신다.

    삼세불(三世佛)이나 삼신불(三身佛: 법신불.보신불.화신불)을 모시기도 한다. 삼세를 통하여 불법으로 교화하는 삼세불은 현세의 석가모니불, 과거의 연등불인 제화갈라보살, 그리고 미래불인 미륵보살이다. 삼신불인 경우 석가모니불 좌우에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봉안하기도 하며 이럴 경우 격을 높여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 부른다.


    ② 대적광전(大寂光殿)

    대적광전의 본존불은 비로자나불이다. 비로자나불은 연화장세계의 교주이신데, 그분이 계시는 연화장세계는 진리의 빛이 가득한 대적정의 세계라 하여 대적광전이라 부른다. 화엄계통의 사찰에서는 대적광전을 본전으로 삼는다. 대적광전은 화엄세계를 드러내기 때문에 화엄전이라 부르며, 화엄세계의 본불인 비로자나불을 모신다는 뜻에서 비로전이라고 한다.


    대적광전에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삼신불을 모신다. 따라서 법신불인 비로나자불, 보신불인 아미타불, 화신불인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것이 상례다. 다만 우리나라 선종 사찰에서는 선종의 삼신설에 따라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원만보신 노사나불,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을 봉안한다.


    ③ 극락전(極樂殿)

    극락전은 극락정토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이다. 아미타불은 본래 임금의 지위와 부귀를 버리고 출가한 법장비구로서, 보살이 닦는 온갖 행을 다 닦아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원[48대원]을 세우고 마침내 아미타불이 되었다. 아미타불의 광명은 끝이 없어 백천억 불국토를 비추고, 수명이 한량없이 백천억 겁으로도 셀 수 없다 하여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도 한다. 또한 주불의 이름을 따라 미타전(彌陀殿)이라고도 한다. 경북 영주의 부석사 무량수전이 유명하다.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모신다.



    ④ 미륵전(彌勒殿)

    미륵전은 미래의 부처이신 미륵불을 모신 곳이다. 미륵불에 의해 새로이 펼쳐지는 불국토 ‘용화세계’를 상징한다. 하여 용화전(龍華殿)이라고도 하고, ‘미륵’의 한문 의역인 ‘자씨’를 붙여 자씨전(慈氏殿)이라고도 부른다. 미륵은 미래세의 세상에 출현해서 중생을 제도한다는 부처님이시다. 미륵전은 전북 김제의 금산사 미륵전이 대표적이다.


    ⑤ 원통전(圓通殿)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모신 곳으로, 특히 그 사찰의 주불전(主佛殿)일 때 원통전이라고 부른다. 원통이란, 관세음보살이 모든 곳에 두루 원융통(圓通通)을 갖추고 중생의 고뇌를 소멸해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반면 관세음보살을 모신 전각이 부불전(副佛殿)일 경우에는 관음전(觀音殿)이라고 한다.


    ⑥ 약사전(藥師殿)

    약사전은 약사유리광여래(약사여래)를 모신 법당이다. 약사여래는 현세중생의 모든 재난과 질병을 없애주고 고통에서 구제해주는 현세이익적인 부처님이다.약사여래는 동방유리광정토의 주인이시다. 만월보전, 유리광전, 보광전이라고도 부른다.


    ⑦ 팔상전(八相殿)
    팔상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일생을 여덟 폭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을 봉안한 곳이다. 여덟 폭의 그림에서 연유하여 팔상전 또는 부처님의 설법회상인 영산회상에서 유래하여 영산전(靈山殿)이라 부르기도 한다. 불단 없이 벽에 팔상도를 봉안하는 것이 보통이다. 주불은 석가모니 부처님이고, 좌우 협시로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을 봉안한다. 충북 보은의 법주사 팔상전이 대표적인 예다.



    ⑧ 나한전(羅漢殿)

    나한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중 아라한과를 성취한 성인, 즉 나한을 모신 곳이다. 나한은 아라한의 약칭으로, 번뇌를 남김없이 끊은 성자라는 뜻이다. 부처님에게는 열여섯 명의 뛰어난 제자들이 있었는데, 이들을 16나한이라고 한다. 나한전은 영산회상의 모습을 재현했다고 해서 영산전(靈山殿)이라 하며, 또는 참된 진리와 완전히 합치한 분들을 모셨다는 의미에서 응진전(應眞殿)이라고도 부른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시고, 좌우에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봉안되어 있다. 그 좌우에 열여섯 명의 나한이 웃고, 졸고, 등을 긁는 등 자유자재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나한의 숫자가 500명인 경우도 있는데 이는 부처님이 열반하신 뒤 부처님 생전 설법을 정리하기 위해 최초로 집회를 열었을 때 모인 비구의 수가 500명인 데서 유래하였다. 이를 오백결집이라고 한다.


    ⑨ 명부전(冥府殿)

    지장보살을 봉안한 경우는 지장전(地藏殿)이라고 부르고, 시왕을 모신 경우는 시왕전(十王殿)이라고 불린다. 시왕은 지옥에서 죄의 경중을 정하는 염라대왕을 비롯한 열 명의 왕이다. 지장보살은 지옥의 공간인 명부세계의 주존이므로 지장전을 명부전이라고 한다.


    ⑩ 대장전(大藏殿)

    대장전은 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축조한 건물이다. 대장전이란 편액을 건물로는 경북 예천의 용문사 대장전과 전북 김제의 금산사 대장전이 있다.



    ⑪ 적멸보궁(寂滅寶宮)

    적멸보궁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불전이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심으로써 부처님이 항상 그곳에서 적멸의 즐거움을 누리고 있음을 상징한다. 적멸보궁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고 불단만 있다. 우리나라에는 5대 적멸보궁이 있는데 양산 통도사, 오대산 상원사,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 설악산 봉정암이다.

  • 9. 108님
    '16.10.6 1:18 AM (218.50.xxx.151)

    덕분에 잊었던 지식 다시 떠올리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024 조계종 큰절 주지 선거가 여의도 정치판과 똑같네요 아사리판 06:11:22 34
1773023 세탁기 같은 스펙이 100만원이나 차이가 나요 ... 06:06:42 71
1773022 대장동' 남욱들 강남 부동 산, 100억 올라 추징금은 '0원 ..... 06:03:22 114
1773021 나스닥 말아 올리고 있음 - 추매의 기회 3 나스닥 05:51:47 432
1773020 '1000만원 학비' 사립초인데 기초수급자 자녀가 41명 ㅇㅇ 05:33:08 500
1773019 (스포)디즈니플러스의 조각도시는 Dd 04:41:55 441
1773018 요즘 필라테스 수강료는 한 달 짜리는 없나요? 2 필라테스 03:57:58 499
1773017 미국주식 크게 하락 중 10 ........ 03:29:06 2,902
1773016 대체 지금 안 자고 뭐하나요? 14 ㅇㅇ 02:46:14 1,532
1773015 챗gpt가 정말 요물이네요 7 .. 02:27:37 2,366
1773014 정신건강 안 좋은 남자들만 꼬이네요 3 안녕하세요 01:47:48 1,129
1773013 3.3% 소득신고 하면........홈택스에서 제 소득증명서 뗄.. 3 --- 01:42:26 589
1773012 김희선 드라마 다음생은 없으니까 육아설정 심하네요 3 .. 01:28:15 1,658
1773011 이런 경우들 종종 있죠 맏이만 잘 사는 집 동생들 3 느라미 01:22:44 795
1773010 박성재는 오늘 구속결정 나오나요? 22 01:19:27 1,456
1773009 수능은 망쳤으나.. 1 .... 01:19:13 1,499
1773008 부부중 발언권 센 여자들 비결이뭘까요? 10 비결 01:12:49 1,562
1773007 명언 - 성공할 기회 ♧♧♧ 01:10:33 391
1773006 대학레벨, 언제는 어땠다, 언제는 이랬다 하지 맙시다 1 ... 01:06:25 551
1773005 오분도미는 맛이 없네요 찰기도 없고 4 .... 01:00:28 503
1773004 다크모드가 눈에 더 안좋대요 ㅇㅇ 00:59:33 690
1773003 김장 재료 사서하면 10kg기준 얼마정도 들까요? 1 .. 00:49:53 389
1773002 조두순 또 무단이탈 시도…‘섬망 증세’에 아내도 떠나 6 ........ 00:31:03 2,167
1773001 고3아이 수능..망쳐서 재수한다는데 12 ss 00:29:06 2,402
1773000 농아인협회도 성폭행이 아주 일상적인가보네요 4 .. 00:27:26 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