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진 관련한 12년도 기사인데 읽어볼만 합니다.

지진 전조 조회수 : 2,122
작성일 : 2016-09-20 23:06:49
http://m.newshankuk.com/news/content.asp?fs=&ss=&news_idx=201203231832022529


정독하시길 추천하구요..
글 읽기 싫으신 분은 아래 요약해놓은거라도 읽어보세요.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는 “굉장히 이례적이다”며 기상청의 입장을 정면 반박했다. 지진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9일 동안 다섯 번의 지진이 한 자리에서 발생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정도 규모의 지진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지만 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은 큰 문제라고 홍 교수는 말한다.


아이티 지진과 크라이스트처치 지진, 동일본 대지진을 설명하며 ‘경고’와 ‘전조’를 무시한 결과가 얼마나 끔찍한 것인지 지적했다.

작은 지진이 한 자리에서 수차례 나는 것은 이상 징후다.

같은 지점에서 지진이 또 난다는 것은 풀릴 스트레스가 더 남아 있다는 것이다. 스트레스가 계속 풀리려면 더 큰 단층면이 쪼개져야 할 수도 있고 이는 더 큰 지진으로 연결될 개연성이 있다는 것이다.”


동해가 불안한 또 다른 이유는 1년 전 일본 열도를 뒤흔들었던 동일본 대지진 때문이다. 작년 3월 11일 발생한 규모 9.0의 지진으로 인해 한반도가 2.3cm 일본으로 이동했다. 이는 순간적으로 엄청난 힘이 땅에 쌓였음을 의미하고 이런 응력의 추가로 인해 지진 발생 수가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홍 교수는 “앞으로 더 큰 지진이 발생한다면 이 지역이 해당사항이 있다. 역사 기록을 살펴보더라도 바로 이 지역에서 규모 6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전례가 있다. 지질 환경이 같은 상황이라면 규모 6이 넘는 큰 지진이 또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30만여 명(아이티 지진 사망자)이 순식간에 사망할 개연성이 얼마나 되겠나. 단 한 번의 이벤트로 몇 분도 안 돼서 사망한 것인데, 그렇게 큰 사망자를 내는 자연재해는 지진이 최악이다”고 말하며, “재해 위험도가 높은데다 한 번 발생하면 상처를 치유할 수도 없는 만큼 경제적인 논리로 접근할 것이 아니다. 더 많은 배려(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 교수는 인터뷰를 마칠 무렵 다시 울산 지진을 끄집어냈다. 그는 “울산 지진은 잔 지진이기도 한데다 한반도에서 날만한 수준의 지진이 난 것이긴 하지만 한 곳에서 났다는 것은 위험하다. 이것이 더 큰 지진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그는 대중의 경각심을 일깨우는 것이 지진학자의 사명이라고 덧붙였다.




IP : 220.121.xxx.16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tbc
    '16.9.20 11:51 PM (175.223.xxx.1)

    이 분 jtbc에서 인터뷰 하시는 그 분이네요..
    이 글 보니 더 걱정이네요. ㅠ

  • 2. 그러게요~
    '16.9.21 12:05 AM (61.82.xxx.218)

    경주 어쩐데요?
    서울도 안전하다고 볼수 없군~

  • 3. 이게
    '16.9.21 12:19 AM (59.8.xxx.122)

    2012년 기사라구요???

    점점 괴담이 현실이 아닌게 없네요
    경남쪽이 거의 초토화되고 한반도가 사그라들거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있던데
    정말 해외도피라도 하고 있어야하는거 아닌가 모르겠네ㅠㅠ

  • 4. //
    '16.9.21 12:25 AM (175.223.xxx.101)

    예전 기사가 더 좋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9311 KBS 아침마당 선대인 하차 이유라네요 12 양쪽얘기들어.. 2016/09/21 6,949
599310 표백제 안들어간 거피팥앙금 어디서 살수 있나요 3 팥순이 2016/09/21 552
599309 논술 로또라 가능성 별로 없는데도 경쟁률 자꾸 보게되네요 10 고3맘 2016/09/21 2,364
599308 자존감 도둑 남편.. 29 ... 2016/09/21 14,424
599307 외환은행이 하나은행으로 바꼈나요? 7 ㅇㅇ 2016/09/21 1,801
599306 립스틱 입술색깔이 무슨색인가요 5 행복 2016/09/21 1,397
599305 부정출혈이 심한데.. 1 ㅇㅇ 2016/09/21 1,328
599304 자라바지 편해요.... 5 거북이 2016/09/21 2,731
599303 주방 강마루 또는 폴리싱타일 어떤게 나은가요? 1 샤방샤방 2016/09/21 1,402
599302 일본은 아파트보다 주택을 선호하나요? 7 지진 2016/09/21 4,397
599301 저축은행 같은 곳에 예금할 때.... 5 ... 2016/09/21 1,760
599300 수원에서 홍대역..가장 빠르게 가는 방법은 뭔가요?? 15 ..... 2016/09/21 5,637
599299 이과전문수학과외선생님 이과수학 2016/09/21 517
599298 브래드 피트의 이혼이 이해가 되요.. 32 브래드 피트.. 2016/09/21 25,217
599297 영어번역기 문장 맞는지 부탁드려요.. 4 oo 2016/09/21 469
599296 보통 의원 내과의사는 몇살까지 일하나요? 15 내시경등 안.. 2016/09/21 2,761
599295 아이폰4s에서 6s로 기기변경 후 요금제 5 오잉 2016/09/21 748
599294 손발이 차면 몸도 차나요? 2 열매사랑 2016/09/21 685
599293 지진운이 보이는거같아요 ㅜㅜ 11 휴직중 2016/09/21 5,249
599292 질염 ..따끔따끔이요 8 2016/09/21 3,362
599291 다른 여자한테 눈 돌아갔다면. 3 마음 2016/09/21 1,916
599290 주변 공사로 피해시 보상금 지급 사례 5 나비 2016/09/21 1,052
599289 수시원서접수요 급 12 어쩌죠 2016/09/21 2,087
599288 세입자만기 후 인테리어 할때요 질문 2 이사 2016/09/21 600
599287 시아버님 역정이 많이 나셧는데 저는 이해불가입니다 29 . . . 2016/09/21 15,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