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예체능보다 공부가 더 노력으로 극복안된대요

... 조회수 : 3,803
작성일 : 2016-09-13 14:33:12

그런데 이 '1만시간의 법칙'을 부정하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 아무리 노력해도 선천적인 재능을 따라잡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내용이다. 인터내셔널뉴욕타임스(INYT)에 따르면 미시간주립대 잭 햄브릭 교수팀이 노력과 선천적 재능의 관계를 조사한 88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술·교육 분야에서 노력한 시간이 실력 차이를 결정짓는 비율은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스포츠, 게임 분야에서 이 비율은 20~25%였다. 예술, 스포츠 분야보다 공부 분야에서 재능이 더 중요하다니 뜨악하긴 하다.

-----------------------

음악 스포츠 게임분야가 노력 20-25% 재능 75-80%

공부가 노력 4% 재능 96%


애들 한번이라도 가르쳐본 분들은 알죠.
하나 가르치면 열을 아는애가 있고 열을 가르쳐도 하나 알아듣는애가있고...

예체능은 다들 재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면서
공부는 재능없어도 노력하면 다된다고 생각하십니다.

저런 연구결과가 있는대도 끝까지 공부시키려고 하십니다.

오히려 예체능보다 공부가 더 노력으로 안된다는걸 아셨으면 합니다.

노력(집중력,끈기) 마져도 타고나는 겁니다. 그것마져 재능이에요.

IP : 39.7.xxx.169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알고있는 내용
    '16.9.13 2:34 PM (211.211.xxx.31)

    알고있는 내용인데 저번에 이런글 썼더니 몇몇분들이 난리를 치셔서.. 운동이야 그나마 노력하면 어느정도 따라가는데 공부는 안돼요

  • 2. 맞아요
    '16.9.13 2:39 PM (125.180.xxx.201) - 삭제된댓글

    과외알바라도 해 봤거나 애들 가르치는 일 해본 경험 있으신 분들은 다 공감할 것 같아요.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분야가 공부 맞아요.
    과제집착도라고 표현되는 욕심, 의지 같은 태도도 타고 나는 재능이라고 봅니다. 저는.

  • 3. 맞아요
    '16.9.13 2:39 PM (125.180.xxx.201)

    과외알바라도 해 봤거나 애들 가르치는 일 해본 경험 있으신 분들은 다 공감할 것 같아요.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분야가 공부 맞아요.
    과제집착력이라고 표현되는 욕심, 의지 같은 태도도 타고 나는 재능이라고 봅니다. 저는.

  • 4. 알고있는 내용
    '16.9.13 2:42 PM (211.211.xxx.31)

    저번에 이런글 올렸더니 머리가 안좋아서 이런글이나 쓴다고 하던데요ㅋㅋ 공부머리가 좋거나 혹은 노력을 안해보신분이겠지만

  • 5. ..
    '16.9.13 2:45 PM (211.224.xxx.29)

    서구 선진국들은 그래서 이미 머리가 안되는 애들은 공부보다는 직업교육쪽으로 길을 터주는쪽으로 하고 있잖아요.

  • 6. ..
    '16.9.13 2:48 PM (112.148.xxx.2) - 삭제된댓글

    이거 정말 맞는 말인데...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부분이 공부에요.

    레슬링이나 권투 같은 운동들은 경쟁별 체급이 나눠져 있습니다.
    즉, 비슷한 급끼리 붙어요.

    근데 정신적 활동 영역인 공부는 그런 바운더리가 제공되지 않아요.
    Kmg금상 받고 어무이 아버지 의사 변호사인 아이큐 160짜리랑
    과외 학원 아무리 돌려도 수능 3,4등급 나오는 평범한 애들이랑
    같은 날 한 시에 똑같은 내용으로 겨룹니다.

    현격한 격차가 나고요. 노력으로 메꿀 수 없는 영역이에요.
    그런데 유전설로 가버리면 사회가 활력을 잃어버리니...
    사회적 차원에서 여전히 노력을 강조하지요.

    아마 인정 안 하는 댓글들 많이 올라오겠지만
    그것도 이해합니다.

    "급"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보거나 경쟁해본 집단은 동세대 1%미만이라서요.
    겪어보지 않으면 몰라요.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그들처럼 될 순 없다는 살리에르의
    심정을 직접 체험해보지 않는다면요.

    집중력, 사고방식, 이해력, 응용력,암기력,통찰력. 모든 것이 넘사벽입니다.
    두뇌를 쓰는 알고리즘이 달라요.

  • 7. ..
    '16.9.13 2:53 PM (112.148.xxx.2) - 삭제된댓글

    이거 정말 맞는 말인데...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부분이 공부에요.

    레슬링이나 권투 같은 운동들은 경쟁별 체급이 나눠져 있습니다.
    즉, 비슷한 급끼리 붙어요.

    근데 정신적 활동 영역인 공부는 그런 바운더리가 제공되지 않아요.
    Kmo금상 받고 어무이 아버지 의사 변호사인 아이큐 160짜리랑
    과외 학원 아무리 돌려도 수능 3,4등급 나오는 평범한 애들이랑
    같은 날 한 시에 똑같은 내용으로 겨룹니다.

    현격한 격차가 나고요. 노력으로 메꿀 수 없는 영역이에요.
    그런데 유전설로 가버리면 사회가 활력을 잃어버리니...
    사회적 차원에서 여전히 노력을 강조하지요.

    아마 인정 안 하는 댓글들 많이 올라오겠지만
    그것도 이해합니다.

    "급"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보거나 경쟁해본 집단은 동세대 1%미만이라서요.
    겪어보지 않으면 몰라요.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그들처럼 될 순 없다는 살리에르의
    심정을 직접 체험해보지 않는다면요.

    집중력, 사고방식, 이해력, 응용력,암기력,통찰력. 모든 것이 넘사벽입니다.
    두뇌를 쓰는 알고리즘이 달라요.

  • 8. .......
    '16.9.13 2:56 PM (211.211.xxx.31)

    112.148님글에 완전 공감합니다..
    겪어보지 않았으니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거겠죠.
    수능같이 응용력, 창의력을 요하는 시험은 노력으로 안된다는걸요..

  • 9. .........
    '16.9.13 3:01 PM (211.211.xxx.31)

    그리고 전 노력을 믿질않아서요..
    사람은 잘하는걸 잘해요.. 못하는걸 노력해서 잘하게 된다?? 그게 가능한지..말도안돼는 소리죠.
    노력은 그냥 자신의 어느 능력을 한계치까지 올릴 수 있을 뿐이죠

  • 10. ...
    '16.9.13 3:05 PM (125.129.xxx.244) - 삭제된댓글

    흥미롭네요.
    저도 언젠가 이런 이야기 나눈 적 있어요. 왜 공부에 매달리는지 의견 수집(?) 차원에서.
    공부에 매달리는 건 사실 가성비(?) 때문 아니겠냐는 의견들이 있었는데, 그게 비교적 솔직한 답들 아닐까요?
    그나마 들어가는 비용이 낮고 그나마 상대적으로 뭔가 될 확률이 더 있어보인다는 평가.
    다른 건 그게 뭔지 찾기도 어렵고, 찾아도 들어가는 돈도 더 많고, 그래봤자 재능인 밖에 못될 것이라는 상상.

  • 11. 좋은 글
    '16.9.13 3:14 PM (116.39.xxx.236)

    좋은 글에 훌륭한 댓글들이 많아서 두고 두고 읽어 보렵니다.
    공부도 재능

  • 12. ㅎㅎ
    '16.9.13 3:26 PM (223.62.xxx.46)

    맞아요 학생들 가르치다 보면 이런 생각 들더라고요 반면 예체능은 죽어라 노력하면 어느 정도 커버가 되는 부분이 있고요.

  • 13. 00
    '16.9.13 5:22 PM (183.100.xxx.114)

    내 아이는 공부 머리가 있는데
    너무 놀아서 못해
    조금만 하면 잘 할 수 있는데
    착각해서 그러는 것 아닐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7067 이준석 김계리 느낌 비슷 3 05:51:06 258
1717066 지역별 최저임금 차별이라는거 2 ... 04:53:20 398
1717065 결혼연령 늦어져서 결혼 안한 남녀들 많지만 5 요즘 04:47:56 866
1717064 이준석 찬양글 왜이리 많을까요? 10 펌글 04:44:41 729
1717063 애잔한 느낌까지 드는 대선토론 관전평이네요 15 에휴 04:31:30 1,391
1717062 [긴급]가정폭력 피해 청소년에게 어떻게 해줄까요? 2 ㆍㆍㆍ 04:15:35 450
1717061 태어난김에 세계일주 셰르파들 1 태어난김 03:30:33 1,596
1717060 펨코 이준석 지지자들 상황.jpg 18 대단하다 03:30:32 2,819
1717059 더본코리아 이슈는 언제 끝나려나요? 2 03:03:07 756
1717058 백주대낮에 사람을 납치 끌고 가는 프랑스 2 quo 02:47:07 1,867
1717057 이재명 눈은 13 02:44:32 2,289
1717056 사전투표 ㄱㄴ 02:44:32 215
1717055 이재명 눈이 작아도 넘 작네요 17 ㅇㅇㅇ 02:40:45 1,707
1717054 이준석이 또 이준석 했는데요 뭘. 3 양두구육 02:34:19 712
1717053 이준석은 남의 이야기를 아예 안듣네요 47 ... 02:13:55 2,185
1717052 민주당은 이상호 기자의 조언을 들었으면 합니다 5 .. 02:13:23 1,822
1717051 다 필요 없고 3 02:07:16 388
1717050 대학병원 예약 두번 미뤘는데 괜찮은지 3 01:52:52 682
1717049 이준석 보니 역시 인생은 실전이다라는 교훈 10 인실좃 01:49:56 2,039
1717048 뿌염 안한지 석달.. 흰머리가 이렇게나 많았더니요 2 !!111!.. 01:44:37 1,187
1717047 [칼럼] 한방에 900조 태운 尹, 국민당 1천8백 빚 생겨.... 6 경제폭망 01:42:16 1,432
1717046 그런데 옛날 바나나가 더 맛있는 거였어요? 5 ..... 01:41:46 1,078
1717045 이준석 토론 방식 4 ... 01:39:56 1,111
1717044 의대를 증원하면 안되는 진짜 이유 2 의대 공대 01:34:31 859
1717043 오늘 토론평가입니다. 4 와이티엔 01:34:04 1,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