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체크카드만 쓰는게 나은가요 신용카드도 같이 써야하나요?

초보새댁 조회수 : 4,917
작성일 : 2016-09-01 13:37:11

결혼 6개월차 새댁이예요

이제야 남편과 통장을 합쳤는데 남편이 쓰던 신용카드 혜택이 많아서 ,, 자꾸 그것만 쓰자고 합니다.

저는 신용은 되도록 관리비나 공과금 전화비만 이체해두고 다른건 그냥 체크카드만

쓰자고 하고요..

저를 자꾸 소비를 못하는 사람으로 여기는데 어떻게 하는게 현명 할까요?

남편이 자꾸 신용카드를 써버려서 몇번 막는것은 보았어요....

체크카드만 쓰면 혜택이 많이 없나요/

혜택 높은 체크카드로는 뭐가 있을까요 ㅜㅜ

(아예 안쓰는건 아닙니다만,,그냥 저는 월급 안에서만 돈을 써요..할부 전혀 안하구요..ㅜ)

IP : 58.236.xxx.106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9.1 1:37 PM (210.217.xxx.81)

    신용카드 헤택이 아무리 커도 그 금액 맞출려고
    오바소비 하게되는것같아서 저는 인터넷이랑 핸드폰요금만 신용카드로 하고
    나머지는 현금 체크카드 써요 잔고없음 그냥 소비안하려고 합니다

  • 2. ...
    '16.9.1 1:44 PM (122.34.xxx.74) - 삭제된댓글

    원글 새댁의 남편분께,

    장가 잘 가셨다는것 맘에 꼭 새기고
    색시가 하자는대로 가계살림 잘 꾸려가시구려.

    요즘 새댁중에 이렇게 경제개념 확실한 새댁도 드물다우.

    우리도 그 놈의 신용카드 혜택땜에 못 헤어나오다가 1년전부터 체크카드 쓰는데
    월매나 새는 돈이 없이 알뜰하게 가계살림이 꾸려지는지 내가 산 증인입니다.

  • 3. ...
    '16.9.1 1:45 PM (115.136.xxx.122) - 삭제된댓글

    신용카드랑 같이 쓰는게 훨 이득이죠..

  • 4. ....
    '16.9.1 1:47 PM (114.202.xxx.159)

    신용카드 혜택을 보려고 가입하고 카드써대면서 혜택봤다고 좋아하면서 이리저리 알아보는순간 신용카드사 호구되는거예요. 신용카드 쓴다고 큰 혜택이랄것도 사실상 없고, 체크카드쓴다고 불리한것도 없어요.
    결국 자기돈 나가는거지, 남의 혜택따윈 세상에 없다고 새기고 살면 됩니다.

  • 5. ㄹㄹ
    '16.9.1 1:49 PM (58.236.xxx.106)

    신용카드 혜택이 많이 없는건가요?
    뭐 살때마다 할인이 된다고 자꾸 저러네요 ㅜㅜㅜ

  • 6. ..
    '16.9.1 1:51 PM (210.217.xxx.81)

    신용카드 헤택이란건 결국 조삼모사일 경우가 많아요 뭐 자기 소비패턴에 따라 틀리니까요

  • 7. ...
    '16.9.1 1:54 PM (115.136.xxx.122) - 삭제된댓글

    할인받기위해소비를 하는게 아니고 필수소비에 할인되는카드를 쓴다면 신용카드가 이익이에요

  • 8. ..
    '16.9.1 1:54 PM (14.40.xxx.10) - 삭제된댓글

    통신사카드만 30만원 실적 맞추어서 쓰고
    다른 카드들도 할인 받으려면 얼마까지 써야 하고--계산 해야 하고
    --저는 계산해서 할인 많이 받기는 했읍니다만
    이제 귀찮아서

    항공마일리지카드로 바꾸어서 씁니다

  • 9. 호수풍경
    '16.9.1 2:08 PM (118.131.xxx.115)

    그렇게 할인을 많이해준다면,,,
    연회비가 비싸겠지요...
    어제 은행가서 카드 혜택 주욱~~ 써 있는거 보다가,,,
    오~~ 이 카드 혜택 좋네 했더니 연회비가 후덜덜...
    요즘 그냥 막 혜택 퍼주는 카드 없을겁니다...

    연말정산 혜택 받으려면 신용카드 체크카드 같이 쓰는게 좋구요...
    한도액이랑 잘 따져보고...
    근데 어설프게 하면 둘다 못받을수도 있어서요...
    잘 써야됩니다...

  • 10. ..
    '16.9.1 2:13 PM (14.40.xxx.10) - 삭제된댓글

    통신사카드--30만원 쓰고 --9천원 할인받었습니다
    아파트 관리비 카드--120만원쓰고--아파트 관리비 2만원 교통비 만원 마트 만원 학원비 5천원
    아이들 학원비 카드--30만원 이상 쓰고--2만원 할인
    병원비 많이 나갈때는 병원할인카드도 썼네요

    한참 아이들 키울때 여기에 맞추어서 계산하면서 쓰느라고 머리에 쥐났습니다
    요즈음은 할인된 요금은 사용요금에서 제외시키거든요
    약게 계산하다가 몇천원 계산 못해서 할인 적게 받고 속상해 하기도 하고요
    월말이면 카드사에 전화해서 할인사용액 확인했고요
    학원가서 여러장 카드로 결제하느라 눈치도 보고요...

    언젠가 짠순이 동영상 보니까 저처럼 카드 할인내용 카드에 붙여가지고 다니더군요 ㅎㅎㅎ

    1년이면 할인받는 액수가 상당했거든요

    아이들 크고나서는 통신비카드만 30만원 맞추어서 쓰고
    나머지는 마일리지적립카드로 올인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편할 수가 없습니다
    충동구매같은 것은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체크카드는 안씁니다

  • 11. ...
    '16.9.1 3:06 PM (39.7.xxx.93) - 삭제된댓글

    전그냥 체크카드만 써요
    혜택 알아보기도 귀찮고 전월실적 맞추려 신경쓰기 싫어서요. 그 노력이나 알온

  • 12. ...
    '16.9.1 3:08 PM (39.7.xxx.93)

    전 체크카드만 써요
    혜택 알아보기도 귀찮고 전월실적 맞추려 신경쓰기 싫어서요. 그 노력이나 알아보는데 걸리는 시간도 비용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할인 이용하려고 불필요한 소비 하게되는경우도 생길거고요. 할인 적용되는 카페만 찾아다닌다던지 하는식으로 얽매이는것도 싫어요
    연말정산에 불리한거까지 감안하면 별차이없다봐요

  • 13. 계좌하나에
    '16.9.1 3:20 PM (122.35.xxx.146)

    체크여러개 붙여 씁니다
    체크가 별 혜택없는듯 하지만
    찾아보면 또 나름 쓸만하고요
    온라인몰 카드할인시에는 체크해당인 경우도 종종 있어요
    그래서 주거래계좌하나에
    여러 카드사 체크 달아놓고 씁니다 ㅎㅎ

  • 14. //
    '16.9.1 3:32 PM (183.103.xxx.233)

    정답은요(연말 정산시 카드공제액법이 최근에 바뀐게 없다는 가정하에 정답입니다)

    연봉의 25% 까지는 일반카드 쓰고, 나머지는 체크카드 사용하는게 제일 유리해요.

    연말정산시 연봉의 25% 이상 사용한 카드대금중에
    체크카드 사용분은 30% 공제해주고, 일반카드 사용분은 15% 공제 해 주거든요

    연말정산시 연봉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은 먼저 공제하고 25% 이상 쓴것만 해당되니까
    연봉의 25% 까지는 일반카드를 사용하는게 마일리지도 쌓고 유리해요.

  • 15. ...
    '16.9.1 3:54 PM (218.51.xxx.25)

    저희 집은 생활비는 적립형 카드로 쓰고 (남편 명의로 발급 받고 가족카드 하나 받아서 각자 소지)
    자기 용돈은 각자 자기 카드 써요.
    전부 신용카드 쓰는데 신용카드는 신규 가입하면 설계사가 상품권 등 챙겨주는 경우가 많아서 1년마다 카드 바꿔가며 만드는데 그게 제일 이득이에요. 이래저래 할인 금액 계산하고
    서비스 받으려면 일정 금액 얼마 써야하고 하는데 신경 안 쓰고 카드사만 옮겨다닙니다.
    (해지 후 3년 정도인가? 지나면 신규 취급 받아서 계속 돌려가며 가입할 수 있어요)
    적립형 카드로 포인트는 포인트대로 쌓아서 청구금액에서 마이너스 시켜 쓰고
    가끔 상품권 이벤트 할 때 받은 상품권 몇십만원 정도 또 잘 스고 있네요.

  • 16. ㅇㅇ
    '16.9.1 4:12 PM (211.201.xxx.214)

    그놈의 혜택혜택...
    80만원 쓸거 100만원 쓰고 혜택 1,2만원 받는게 그렇게 좋은가요?
    카드사에서 없는 돈 줄까요?
    체크가 제일 경제적인 겁니다.
    돈이 바로 당일 빠져나가니 관리가 편해요.
    한달에 얼마 썼는지 나오죠.

    카드는 아무리 가계부 열심히 써도 이달 쓴 게 안나와요.
    계속 할부에...
    한달 얼마 쓰겠다 정하고 체크카드 통장 만들어서 두사람이 거기에서 체크로 빼쓰면
    한달 가계가 확실하게 나옵니다.
    그렇게 일년 이상 사용해보세요.

  • 17.
    '16.9.1 4:55 PM (14.52.xxx.52) - 삭제된댓글

    혜택받는다고 더 많이 쓸 일 없어요
    전월실적 계산 이런거 귀찮으니까 잘 사용하는거 하나만 주로 쓰는데 커피랑 인터넷 쇼핑몰 백화점 핸드폰 등 할인 되니까
    그냥 생활 하는대로 하면 큰돈은 아니지만 한달에 이만원 내외는 할인 혜택 보는거 같아요
    또 쌓인 포인트도 있으니깐 좋던데~
    할인받으려고 특별히 더쓰고 그런건 없어요~

  • 18. ...
    '16.9.1 5:19 PM (223.62.xxx.228)

    아이가 있다면 놀이시설에서 할인되는거 때문에 신용카드 써요
    슈퍼도 어쩌다 몇몇품목은 특정카드에 경우 할인해주니 그냥 써요
    어차피 가계부 적어가며 한달 쓰는 돈 정해놓고 조절해가며 쓰니 비슷해요

  • 19. 저도
    '16.9.1 6:51 PM (223.62.xxx.67)

    참고하렵니다

  • 20. ..
    '16.9.2 12:15 AM (222.110.xxx.37)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2825 어바웃 타임 결혼식 장면 5 로맨틱 2016/09/02 2,122
592824 9월 모의고사 치고 수시 더 맨붕오네요 11 수시 2016/09/02 3,326
592823 전세 재계약시 부동산 통해 계약서 다시 쓰는 게 일반적인가요? 3 전세 2016/09/02 912
592822 돈으로 보상해주고 싶었던 마음..ㅠ 4 이런 이런 2016/09/02 1,681
592821 연포탕 끓이기 어렵나요? 3 frank 2016/09/02 1,151
592820 집사고 땅사는겻도 운이있을까요 7 ..... 2016/09/02 2,530
592819 아이들 바닥에 앉을때 어떤자세로 앉아야 좋을까요? 2 앞으로뒤태 2016/09/02 693
592818 머리카락두꺼워지려면 머먹어야되요? 21 ㅇㅇ 2016/09/02 4,201
592817 집에서 만든 플레인 요거트 칼로리 높나요 2 요거트 2016/09/02 6,754
592816 구글계정 연동..잘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세요 2 제발 2016/09/02 706
592815 김재수 장관내정자 모친은 어떻게 의료수급자가 될 수 있었죠? 7 의료수급자 2016/09/02 1,381
592814 눈웃음 심한데도 주름 없으신 분. 1 눈웃음 2016/09/02 1,787
592813 대구 보톡스 잘놓는곳있나요? 1 고민 2016/09/02 1,096
592812 요즘에 올해 햅쌀 주문해서 드세요? 2 2016/09/02 773
592811 아일랜드 식탁 -빠텐 의자 등 조언 부탁드립니다 7 .. 2016/09/02 1,007
592810 이와중에 박양은 또 외국여행 갔네요 14 나라꼴이구한.. 2016/09/02 3,802
592809 엄마가 갑자기 어지럽다고 하시는데..어느 병원을 가야될까요? 7 병원 2016/09/02 1,098
592808 지금 kbs2에서 인간극장 재방송 보는데 17 00 2016/09/02 5,800
592807 대리기사가 주차잘못해서 과태료가 나왔는데.... 9 도시락 2016/09/02 2,263
592806 문컵이나 디바컵 사용하고 계신 분들 계신가요? 4 생리대 대체.. 2016/09/02 1,754
592805 일반고3 이과 내신 2.3 수시 애매하네요 13 수시 2016/09/02 6,545
592804 친정엄마의 노골적인 차별 27 서럽다 2016/09/02 9,354
592803 일본에서 손님이 오시는데.선물. 12 2016/09/02 1,210
592802 족발 고수님들 족발의 앞발과 뒷발 차이가 큰가요? 17 족발 2016/09/02 38,538
592801 연휴에는 아빠랑 낚시 가야겠어요 5 이번 추석 2016/09/02 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