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200년전- 
				'16.8.26 9:35 PM
				 (175.126.xxx.29)
				
			 - 정약용이 그랬잖아요
 자식들에게
 
 절대로 사대문 밖을 벗어나지 말아라...
 벗어나면 다시 돌아오기 어렵다고..
 
 저도 살수록 왜 사람을 서울로 보내라고 했는지.....뼈속깊이 이해가......
 
- 2. ....- 
				'16.8.26 9:36 PM
				 (1.229.xxx.132)
				
			 - 네. 그리고 서울사람 깍쟁이라고 편견 있으신거 지방에서 많이 봤는데
 저는 깍쟁이라 해도 깔끔한 인간관계로 느껴져서 더 좋아요.
 
- 3. 오늘 - 
				'16.8.26 9:39 PM
				 (121.181.xxx.147)
				
			 - 정약용 다시 봤네여 
- 4. ..- 
				'16.8.26 9:54 PM
				 (27.213.xxx.224)
				
			 - 서울 좋죠..전 외국 시골에서 사는 중이라..돌아가고 싶네요. 
- 5. ..- 
				'16.8.26 9:55 PM
				 (211.243.xxx.109)
				
			 - 정약용 - 귀양살이를 오래해서 그랬을까요???? 
- 6. 200년전- 
				'16.8.26 10:11 PM
				 (175.126.xxx.29)
				
			 - 귀양살이 하고는 상관없었던거 같아요.
 초기부터 그랬던거 같으니까요..
 
 아들들이 벼슬길 나아가기도 어려운 싯점이었는데도
 저렇게 신신당부를 했었거든요..
 
- 7. ....- 
				'16.8.26 10:15 PM
				 (116.41.xxx.111)
				
			 - 그땐 정말로 정보 얻기가 어렸웠기 때문에 더 그랬을 거에요.. 서적이나 여러가지 물건 구하기도 어렵고.  여러가지 파벌들도 많고 지방은 향교나 서원 중심으로 움직여서 동향마을인 경우 성씨다른 사람이나 타향에서 온 사람들은 정말로 끼워주지 않았어요. 
- 8. 정약용- 
				'16.8.26 10:17 PM
				 (211.193.xxx.250)- 
				 -  삭제된댓글
 - 아들들이 그때 서울에 땅을 좀 사놨을까나 ㅋㅋㅋ 
- 9. ....- 
				'16.8.26 10:17 PM
				 (116.41.xxx.111)
				
			 - 저도  성인이 된 후 서울에 살고 있지만.. 태어날 때부터 서울 살았던 서울 사람들이 한번씩 서울 좋다하면서 꼭 서울에 있는 게 내것 마냥... ㅎㅎ 본인 소유도 아닌데 부심 갖는 게 가끔 웃기기도 하고 귀엽기도 하고..   지금은 어떨지 모르지만 제 어릴적 지방 중소도시의 따뜻하고 정겨운 느낌.. 저는 좋아요..별로 빈부격차라든지 그런 것도 없고 다 고만고만하고 또 어렵게 사는 친구든 아니든 다 같이 어울리고.. 요즘은 지방도 좀 달라졌을려나 ;;;;; 
- 10. ...- 
				'16.8.26 11:13 PM
				 (116.40.xxx.46)
				
			 - 정약용 다시 봤대 ㅋㅋㅋ 넘 웃긴데 맞는 말이네요. 
 서울 벗어나면 다시는 못 돌아와요
 
- 11. 근데- 
				'16.8.26 11:17 PM
				 (223.62.xxx.231)
				
			 - 왜요? 뭐가좋은데요?
 이유긴 궁금해요..
 
 저는 서울토박이 인데
 지방가서 살고싶거든요
 집값 절약되는걸로 여유있게 공기좋은데서..
 
- 12. 음..- 
				'16.8.26 11:18 PM
				 (160.219.xxx.250)
				
			 - 저는 지방에서 태어나서 학교 다니다가 (광역시) 대학 후 외국 나와서 취업후 결혼하고 계속 살게 된 케이스인데요, 제가 경험한 한국이 서울외 한국 경험이다 보니 사실 이게 한국을 보는 시각으로는 완전하지 못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는 꼭 서울에 살고 싶었거든요. 퇴직하고 한국과 여길 오가면서 살고 싶은데 그 때는 꼭 서울에서 살고 싶네요. 
- 13. 서울은 정말 대도시- 
				'16.8.27 12:13 AM
				 (211.193.xxx.250)- 
				 -  삭제된댓글
 - 서울은 세계 대도시 중에서도 정말 큰편이에요,,,,
 해외에서도 어떤 수도에 가보면 한나절이면 돌아볼 수 있는 곳 많고,,, 서울처럼 모든게 다 있는 도시 드물죠,,, 외국에 좀 살아보면 시골이 아니라도 뭔가 답답해요 서울이 막 그립고 ㅋㅋ
 
- 14. ...- 
				'16.8.27 12:37 AM
				 (180.224.xxx.135)
				
			 - 근데님,
 서울이 여러 문화가 섞여있다보니까 다양성도 존중되는 편이구요
 지방 살아보니 같은 고등학교 같은 동네..이런 공통 출신으로 뭉치는 게 서울보다 조금 많아요.
 이게 잘 이용하면 좋지만, 저는 영 익숙해지지 않았어요
 서울에 오니 동호회가 많아서 좋아요. 관심사로 모이니까 조금 속 편하고
 저를 표현하는 데에 망설임이 덜해요. 나는 나다..이런 거? ㅋㅋ
 
- 15. 서울에 만족하는 수준이면- 
				'16.8.27 12:55 AM
				 (119.200.xxx.194)
				
			 - 사실 기대수준이 많이 낮은거죠.  뭐랄까 아직도 정양용 시대를 사는 느낌같은 느낌 ㅋ 
- 16. ...- 
				'16.8.27 1:00 AM
				 (210.205.xxx.44)
				
			 - 지방의 정겨움도 좋지만
 좁고 서로 연결되있는 사람이 많아서 말이 빨리 돌아요.
 저는 서울의 익명성이 좋아요.
 사는 동네에서 조금만 나가도  네가 누군지 몰라요
 
- 17. 서울도 - 
				'16.8.27 1:22 AM
				 (211.193.xxx.250)- 
				 -  삭제된댓글
 - 같은 동네 출신 있어요~~ ㅎㅎ
 같은 고등학교 같은동네 모임있는데 ㅋㅋ 평생 서울살면서 동호회는 가본적이 없네요 저는,,, 같은 동네 친구들이나 만나지,,,,
 
- 18. ....- 
				'16.8.27 8:07 AM
				 (221.146.xxx.7)
				
			 - 익명성이란 딱 맞는말 같아요
 말 빨리 돌아서 제가 어디 외출 나갔다 오는거 봤다는 말 들은적 꽤 돼요.
 찔리는 일 한 적도 없지만,, 제가 남에게 관심이 적은 편이라 왜 이러지 했어요
 홀가분하네요.
 
- 19. 저도- 
				'16.8.27 11:22 AM
				 (211.196.xxx.76)
				
			 - 서울에서 26년 살다가
 지방에서 24년 살고 서울로 왔는데
 원글님 말씀하는 거 알아요.
 지방 또 내가 속한 사회가 작으니
 시야가 좁아지는 것도 있고.
 서울에 오니 익명의 자유로움이 제일 좋아요.
 아무도 나를 신경 안쓰니.ㅎㅎㅎ
 
- 20. ,,,,,,- 
				'16.8.27 12:48 PM
				 (110.9.xxx.86)
				
			 - 끼워주지 않으니 서울살아야 하네요 
- 21. 익명성- 
				'16.8.27 1:40 PM
				 (211.193.xxx.250)- 
				 -  삭제된댓글
 -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오신 분들은 익명의 자유로움 누리시나봐요,,,
 서울에서도 아파트 대단지나 그런데 어렸을때부터 초중고 대학까지 다 살고 그런 사람들은,,, 이미 한 동네 이고 누구집 어떤지 사정 다 알고 그래요,,, 지방의 작은 동네나 마찬가지죠,,, 친하지 않아도, 초등때 누구는 지금 뭐한다더라, 결혼했다더라,,, 그 집 이혼했다더라,,, 어디로 이사갔다더라,,, 서로서로 다 알구요,,, 아직도 계속 만나구요... 홀가분한거 없죠,,, 이사를 가더라도 이전동네 친구들 계속 만나면 사정 서로 다 알고,,, 결혼해도 또 그 동네에서 살고 싶어해서,,, 결혼하고도 또 모여요,,,, ㅎㅎ
 익명성이라는 건 자기를 완전히 모르는 곳에 갔을때 누리는거 같아요. 서울이라서 누리는게 아니라 님이 서울에 아는 사람이 없어서 그런 느낌을 받은거죠,,,,
 전 해외에 잠깐 살았을때 그런 익명성을 느껴봣네요. 하지만 반대로 그곳에 내가 오래 살더라도 난 여전히 외지인이겠구나 그런 느낌도 받았구요,,, 그래서 고향이 좋은건가봐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