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94학번인데요,고교때 확률과 통계 부분 기억이 전혀 안나요

베아뜨리체 조회수 : 2,524
작성일 : 2016-07-17 10:52:44

아이가 중고등 학생 있는 학부모입니다.

저는 94학번이구요

아이가 지금 수학 확률과 통계 단원 공부하고 있어요

그런데 참 난감하네요

초등때 부터 이 단원은 제일 끝 단원이라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고

어수선한 분위기속에 배우다 보니 대강 때우는(?)단원이었어요

제 기억으로는 모의고사때도 한문제 정도 나왔던것 같은데 제 기억이 틀리나요??

요즘은 한학기를 확률과 통계 배우는 걸로 알고 있어요(고교과정)

이 부분이 수학에서 비중이 갑자기 커 졌나요?

아니면 제 수학에 대한 기억이 잘못된 건가요?

수학은 좀 한다고 생각했는데 대략 난감입니다.

IP : 180.70.xxx.9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크롱
    '16.7.17 10:56 AM (125.177.xxx.200)

    문과이신가요?
    이과에서는 다 배웠어요.
    94학번이라 아시겠지만 (저도94) 그때 문이과 통합 시험이었잖아요.
    대학때 문과에서 온 친구들도 있었는데 학과특성상 통계를 배우는데 문과출신 친구들은 첨 듣는 내용이라 어려워했던 기억이 나네요

  • 2. dma
    '16.7.17 10:58 AM (14.39.xxx.48) - 삭제된댓글

    88학번인데 어느정도 원글님 말씀이 맞아요 통계부분은 정말 비중이 작았죠. 학기말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대강 넘어가고..
    하지만 확률은 꽤나 비중있게 배웠던 기억이예요. 순열, 조합은 그 당시에 공부 꽤 했던 기억이 나요.
    고딩아이 보니 확통 부분이 확실히 예전보다는 비중있게 다뤄지나보더라구요.

  • 3.
    '16.7.17 10:59 AM (14.39.xxx.48)

    88학번 이과인데 어느정도 원글님 말씀이 맞아요 통계부분은 정말 비중이 작았죠. 학기말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대강 넘어가고..
    하지만 확률은 꽤나 비중있게 배웠던 기억이예요. 순열, 조합은 그 당시에 공부 꽤 했던 기억이 나요.
    고딩아이 보니 확통 부분이 확실히 예전보다는 비중있게 다뤄지나보더라구요.

  • 4. 94
    '16.7.17 11:03 AM (121.138.xxx.229)

    94라 그런가요95이과인 저는 확실히 확통 열심히 공부 했어요
    그냥 스쳐지나가진 않았구요.

  • 5. ㅎㅎ
    '16.7.17 11:06 AM (223.62.xxx.56) - 삭제된댓글

    93 문과. 학력고사 마지막 세대였는데 꼼꼼하게 다 공부했어요. 한 문제라도 출제될 수 있으니까요 근데 많은 친구들이 비중이 아무래도 다른 것보다 적으니까 대충 했던 거 같아요 어려워하는 친구도 많았고요

  • 6. ㅎㅎ
    '16.7.17 11:06 AM (223.62.xxx.56)

    93 문과. 학력고사 마지막 세대였는데 꼼꼼하게 다 공부했어요. 한 문제라도 출제될 수 있으니까요 근데 많은 친구들이 비중이 아무래도 다른 것보다 작으니까 대충 했던 거 같아요 어려워하는 친구도 많았고요

  • 7. 원글
    '16.7.17 11:07 AM (180.70.xxx.9)

    아...저는 문과였어요

  • 8. 맞아요
    '16.7.17 11:09 AM (119.14.xxx.20)

    저도 원글님 말씀 어느 정도 맞다 생각돼요.

    저도 팔십년대 학번이고 이과였는데, 중학교 때도 마지막 단원이었고, 고등학교 때도 거의 그랬던 듯 싶어요.

    그래서 고입 때도, 대입 때도 마지막 단원임을 감안해 출제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요즘 말로 수포자들에게 버리려면 이 단원을 버리라는 식으로 비슷하게 말씀하셨던 기억도 어렴풋이 나요.

    버릴 수 없는 단원으로 된 지 한 십여년 된 듯 해요.
    어느 해 수능에서부터 급부상.

  • 9. ,,,
    '16.7.17 11:11 AM (116.126.xxx.4)

    20년전 정석책 있어 보니 확률이랑 통계가 거의 끝부분에 있긴 하네요. 앞부분은 작심삼일이라고 수도없이 반복 했을테고 그래서 뒷부분은 기억을 못하시는게 아닐까요

  • 10. 94 문과..
    '16.7.17 11:11 AM (121.163.xxx.163)

    원글님 말이 맞아요.
    거의 스치듯 지나간 단원이었어요..

  • 11. 원글
    '16.7.17 11:14 AM (180.70.xxx.9)

    아..,94학번님들...반가워요
    수능 첫 세대 이고 수학은 문이과 통합 이었던걸로 기억나네요
    2차는 문이과 별도 시험이었던것도 같구요??
    그 때 수학 20문제씩 ...한 문제당 수학만 2점 이었는데...,참 어려웠지요

  • 12.
    '16.7.17 11:15 AM (180.66.xxx.214)

    전 99학번 인데
    진도 대충 나가지는 않았아요.
    수능 수학 80점 만점에
    객관식 뒷부분 배점 높은 문제, 주관식 4점짜리 자주 나왔어요.

  • 13. 사실만말한다
    '16.7.17 11:25 AM (27.35.xxx.201)

    99학번
    선행으로 이미 중딩때(?) 끝내서 정작 배우는 시기에 집중은 안했지만
    한학기 분량까지는 아니어도 반학기분량은 되었던것 같아요.
    통계는 당시에 그냥 공식 외우고 깊게 생각 안했는데
    대학와서 통계 제대로 한학기 배워보니 재미있더라구요.
    이런거 앞뒤 잘라버리고 공식 외워서 푸니 재미없었던거규나.. 했었어요.

  • 14. 사실만말한다
    '16.7.17 11:40 AM (27.35.xxx.201)

    근데 94학번이신데 중고딩 자녀 넘 부러워요 ㅜ
    전 99에 6세 딸...
    저걸 언제 키우나

  • 15. ....
    '16.7.17 11:50 AM (125.61.xxx.2) - 삭제된댓글

    학창시절땐 버리는 부분이라도 대학가서는 문이과 막론하고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돼요.

    그 부분 정말 중요해요.

  • 16. ............
    '16.7.17 12:25 PM (182.230.xxx.104)

    저 93학번인데 제 기억으로는요..제가 그때 통게를 무지 싫어했거든요.확률은 모르곘는데 통계가 진짜 싫었어요.근데 안할수가 없는 학번이였던게..그 시절에 90학번 91학번 이 나이분들이 그 앞세대.ㅓ즉 89학번 이전엔 확통이 거의 학력고사시험에 안나왔대요.그래서 90학번이였던 분이 그부분 싫어해서 준비를 안했는데 그 학번부터인가 확통문제가 제법 나왔던거죠.그 뒷학번부터는 그래서 확통무제를 준비를 확실히해야했던 세대였어요.저도 대학가서 이 이야기를 들었거든요.그리고 확통이 아마 뒷부분에 위치해서 좀 빨리 대충 넘어간 부분도 있었을거에요.요즘 처럼 책이 여러권이 아니라 한책에 다 있었으니깐요.아무튼 전 통계 엄청싫어했고..반대로 기벡쪽.그것도 남들 다 싫어하는 공간벡터.아무튼 공간들어가는건 엄청좋아했어요.특히 구나오고 구안에서 쫘쫙 잘라서 입체표현한것들요.그리고 삼각함수도 엄청 좋아했거든요.아 근데 통계는 이상하게 정이 안나거더라구요.그리고 그때 생각하면서 느꼈던게 이부분은 참 꼼꼼한 스탈로 공부하는사람이 잘하겠다 그런생각 많이 했어요.일단 머리쓰는 방향이 제가 좋아하는 부분과 좀 달랐잖아요.경우를 생각해서 하는것도 저와는 좀 안맞기도 했구요.
    저도 우리애 수학 제가 가르쳤는데 확통은 확률만 좀 알려주고 통계파트는 인강들어라 미뤘던 기억이..그게 작년이였네요.지금은 고 3..에효..근데 우리애는 공간좌표를 드럽게 하기 싫어해요.

  • 17. 음..........
    '16.7.17 12:53 PM (73.208.xxx.35)

    94학번이신데 본고사는 안보셨나봐요.
    수학 본고사에서 확률 통계 부분은 꼭 한문제 나왔었는데요...

    라고 쓰려고 생각해보니
    94학번 문과는 수학 본고사 안봤던 기억이 납니다.

    95학번부터 문이과 불문 국영수 본고사에 서울대만 이과는 과학, 문과는 제2외국어가 본고사 과목이었던 기억이 났습니다. 물론 97학번 부터는 논술만 남았지만요.

  • 18. ////
    '16.7.17 12:57 PM (61.75.xxx.94)

    확률과 통계
    우리 수학선생님 왈
    이 부분이 전국에서 교사에 따라 수준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단원이라고 하셨어요

  • 19. 에어콘
    '16.7.17 1:42 PM (122.43.xxx.181) - 삭제된댓글

    과거에 끝부분에서 대충 다룬 것도 맞고, 학력고사 시험 비중도 낮았던 것도 맞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중이 많이 높아졌어요. 실생활이나 학문적 필요를 고려해도 문과에서 가장 쓰임새가 큰 단원임은 분명해요. 요즘 편성이 맞습니다.

  • 20.
    '16.7.17 3:26 PM (223.62.xxx.59)

    저는 꼼꼼하게 다 공부했어요
    중요하기도 했고
    학번입니다

  • 21.
    '16.7.17 3:27 PM (223.62.xxx.59)

    94학번 문과도 수학 본고사봤어요

  • 22. 89학번 문과
    '16.7.17 4:09 PM (218.48.xxx.114)

    수학에 자신있었는데, 수학이 무진장 어렵게 나왔어요. 확률부분도 매우 어려운 문제 나와서 절망했던 기억이 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5485 김건희의 집권 플랜 1 ㅇㅇ 12:04:56 227
1765484 뉴스 제목에 빵터져서 ㅡㅡㅡ 11:52:00 320
1765483 삼성월렛은 갤럭시 스토어에서 다운 받는게 맞는건가요? 어디서 11:49:21 57
1765482 와이파이 공유기 보통 몇년 쓰고 교체하세요? 2 ㄴㄱㄷ 11:45:50 360
1765481 손톱에 검은 선 4 걱정 11:44:23 402
1765480 장레논 커트러리 구입 1 ㅇㅇ 11:39:16 184
1765479 고1맘입니다. 선택과목 여쭤봐요. 4 고1맘 11:28:36 242
1765478 임보험 가입시 어떤부분을 중점적으로 봐야할까요 7 암보험 11:27:10 290
1765477 젊은 시어머니들 10 요즘 11:21:42 1,258
1765476 정경심 교수가 최성해 총장 고소했답니다! ㅎㅎㅎ 25 이젠니들차례.. 11:15:22 2,141
1765475 안방 스마트티비 32인치 안작겠죠 5 11:15:14 234
1765474 먹던 만두를 안치웠는데.. 22 ㅇㅇ 11:10:47 2,214
1765473 여학생 진로 메디컬 추천해주세요 10 ........ 11:02:54 703
1765472 부동산 관련 세금 제안 15 종부세 11:01:05 489
1765471 이병헌 어쩔수가 없다 오픈토크에 입은 청자켓 3 .. 11:00:31 816
1765470 굿뉴스에서 홍경 굿뉴스 10:58:16 550
1765469 갑자기 방콕 여행 다녀오고 20 급하게 10:53:26 2,036
1765468 이단들이 지원하는 국힘정당 11 정교일치 10:52:49 275
1765467 대통령의 누명임에도 알리는 언론은 없다 14 언론의 악... 10:51:06 1,044
1765466 서울 강남인데요 며칠째 전투기 비행소리가 너무 심해요 9 ㄱㄴㄷ 10:47:43 1,192
1765465 젖소가 계속 우유가 나오는게 4 ........ 10:45:51 1,090
1765464 민주당 캄보디아 구금 구출 쇼질로 진짜 피해자들 어쩔? 18 ㅁㅁ 10:43:43 1,399
1765463 오쏘몰 이뮨 역류성 식도염인 사람 먹어도 되나요? 4 비타민 10:43:13 449
1765462 엄살도 정신과적인 병인가요? 8 엄살 10:42:38 699
1765461 현미 불려놨는데 4 ㅊㅂ 10:40:35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