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82에는 자가소유집 갖고 계신분들 얼마나 많나요?

조회수 : 2,256
작성일 : 2016-04-28 17:35:07
저는 외국에서 월세 살고요.
부모님은 가난하지만 그래도 자가소유의 집은 있어서 매달 월세나 전세 걱정은 없어요. 물론 집이 후진곳에 위치해있어서 집값이 오르지도 않고요.. 1억도 안되는 집... 대략 짐작 가시죠? 

그런데 이렇게 노력하고 밤샘 야근하고 해도, 집 사서 시세 오르는 것 만큼 제 연봉이 따라가진 않더라구요.. 부럽죠..
집값이 이제 안오른다 등등 얘기 많지만 집도 없는 저에겐 참 머나먼 얘기 같습니다. 

다들 집 물려받지 않고 스스로 집 마련해서 집값 잘 올리신 분들 많은가요?
아니면 여전히 빛에 허덕여가며 은행빛 내고 있는지.. 
아니면 그냥 원래 운이 좋아서 부모님한테 물려받은 집으로 계속 재산 불리며 살고 계신지...
저같이 월세 내며 하루 살이로 살아가는 분들도 많겠죠?
하... 좀 갑갑하긴 합니다.
경제 이야기글 봤지만 흙수저는 그 놀음에서 벗어날 틈도 없는 것 같아요

IP : 90.195.xxx.13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금월세
    '16.4.28 5:58 PM (175.113.xxx.180) - 삭제된댓글

    12년 전.1억도 안되는. 전세로 시작. 알뜰하게 2년모아. 조금의 적금, 조금의 원조(1/10), 조금의 대출로
    집 삿더랫어요. 두어 번 옮겨타면서. 6년 동안 .. 3억~3억5천 정도. 불엇네요
    학군 땜에. 그것도 굳이 넓은평수에 새아파트 고집하는 남편땜에. 전세살이 6년째예요.
    다만. 대출없고. 여유잇게 살았다는 걸로 위안.. 마지막으로. 전월세 2년 계획하고 잇네요
    향후론. 학군 상관없는 좀 집값 저렴한, 공기좋은 곳 가서 싸악~ 내맘에 맞게 인테리어해서 살고싶어요

  • 2. 지금월세
    '16.4.28 5:59 PM (175.113.xxx.180) - 삭제된댓글

    12년 전.1억도 안되는. 전세로 시작. 알뜰하게 2년모아. 조금의 적금, 조금의 원조(1/10), 조금의 대출로
    집 삿더랫어요. 두어 번 옮겨타면서. 6년 동안 .. 3억~3억5천 정도. 불엇네요
    학군 땜에. 그것도 굳이 넓은평수에 새아파트 고집하는 남편땜에. 전세살이 6년째예요.
    강남에서 양가 원조 없이 이 조건 충족하긴. 돈이안되니까요

    다만. 대출없고. 여유잇게 살았다는 걸로 위안.. 마지막으로. 전월세 2년 계획하고 잇네요
    향후론. 학군 상관없는 좀 집값 저렴한, 공기좋은 곳 가서 싸악~ 내맘에 맞게 인테리어해서 살고싶어요

  • 3. 자가
    '16.4.28 6:08 PM (122.35.xxx.146) - 삭제된댓글

    11년전 6천 전세로 시작, 6년전 7500 대출해서 1억8천에 집장만, 인제 시세가 2억초반 되나봐요
    재산증식 그런거 모르겠고 우리 형편에 살만한 곳에 샀어요 이사다니기 싫어서요
    이젠 빚다 갚고 새차 사고 예금잔고도 1억정도 있네요

    학군 생각하면 옮겨야 하는데
    현실과 이상의 괴리가 너무 커서 ㅎㅎ
    가격대 성능비좋은 이동네에 그냥 있어요

    집사고 3년쯤 빚 다 갚았는데,
    그때까지 뚜벅이로 살고 양가말고는 여행 한번 못갔네요
    그래서 또 빚내서 집옮기기 싫은거 있죠 ㅎㅎ
    양가원조는 커녕..집 사기 직전에 양가에서 3천씩 도합 6천 다 가져가셨어요. 살기 너무 팍팍하네요

  • 4. 10년전
    '16.4.28 6:15 PM (58.231.xxx.36)

    10년전 3천오백 전세로시작해서 대출받아7천오백전세로 넓혀
    또대출받아 1억칠천 집을삿어요
    대출금이자만갚다가 시세차익배로보고 팔고 더많이대출받아
    5억집사서 지금 한 육칠억사이하네요
    저축만했다가는 집못사는 시대를 거치긴했네요

  • 5. 라일락사랑
    '16.4.28 6:16 PM (175.113.xxx.180) - 삭제된댓글

    12년 전.1억도 안되는. 전세로 시작. 알뜰하게 2년모아. 조금의 적금, 조금의 원조(1/10), 조금의 대출로
    집 삿더랫어요. 두어 번 옮겨타면서. 6년 동안 .. 3억~3억5천 정도. 불엇네요
    순 이사만으로엿지요
    학군 땜에. 그것도 굳이 넓은평수에 새아파트 고집하는 남편땜에. 전세살이 6년째예요.
    강남에서 양가 원조 없이 이 조건 충족하긴. 돈이안되니까요

    다만. 대출없고. 여유잇게 살았다는 걸로 위안.. 마지막으로. 전월세 2년 계획하고 잇네요
    학군 상관없는 좀 집값 만만한, 공기좋은 곳 가서 싸악~ 내맘에 맞게 인테리어해서 살고싶어요

  • 6. 반전세죠
    '16.4.28 6:17 PM (175.113.xxx.180)

    12년 전.1억도 안되는. 전세로 시작. 알뜰하게 2년모아. 조금의 적금, 조금의 원조(1/10), 조금의 대출로
    집 삿더랫어요. 두어 번 옮겨타면서. 6년 동안 .. 3억~3억5천 정도. 불엇네요
    순 이사만으로엿지요
    학군 땜에. 그것도 굳이 넓은평수에 새아파트 고집하는 남편땜에. 전세살이 6년째예요.
    강남에서 양가 원조 없이 이 조건 충족하긴. 돈이안되니까요

    다만. 대출없고. 여유잇게 살았다는 걸로 위안.. 마지막으로. 전월세 2년 계획하고 잇네요
    학군 상관없는 좀 집값 만만한, 공기좋은 곳 가서 싸악~ 내맘에 맞게 인테리어해서 살고싶어요

  • 7. 2000
    '16.4.28 6:27 PM (165.225.xxx.81)

    2000년 결혼했는데 결혼 1년 전에 지하철도 안 들어왔던 17평 중랑구 아파트를 6500 에 둘이 같이 있던 돈 털어서 미리 샀어요. 결혼해서 거기 들어가 7년 살았네요. 지하철 생기고 아파트도 값이 좀 올라서 팔고, 대출 좀 끼고 25평 갈아타고.. 지금은 서울 다른 동네에서 6억 좀 넘는 30평대 아파트 사네요. 대출은 여전히 끼고 있고, 이 아파트는 제가 샀던 가격보다 5-6천 올랐다고 하고. 둘이 맞벌이하면서 대출 갚으며 허덕 까지는 아니고 평범하게 먹고 삽니다.

  • 8. 나는나
    '16.4.28 6:32 PM (116.127.xxx.3)

    물려받은거 빚이죠.
    결혼할 때 1억 남짓한 아파트 받았는데, 13년만에 8억 정도 하는 새 아파트 입주했어요. 은행에 월세 내고 살아요. ^^

  • 9. 나는나
    '16.4.28 6:45 PM (116.127.xxx.3)

    물려받은거 빚-->물려받은거 더하기 빚

  • 10. 기쁨맘
    '16.4.28 6:52 PM (128.86.xxx.96)

    빛이 아니고 빚이요 서울은 집값 오르면 오르지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 11. ㄷㄷ
    '16.4.28 6:55 PM (59.17.xxx.152)

    저도 자기집 있는 분들 보면 참 신기해요. 제 주변은 전부 결혼할 때 부모님이 만들어 주신 거고 본인들이 돈 모아서 산 경우는 아직까지는 한 번도 못 봤어요. 사실 젊은이들이 자기 힘만으로 집 마련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죠. 엄청난 고소득자가 아닌 이상. 그리고 고소득자라도 소비 수준이 높고 양가 부양하거나 자식 교육시키려면 그만큼 많이 써야 하니까 쉽게 목돈 못 만들더군요. 왜 결혼할 때 집을 해 줬니 안 해 줬니 분쟁하는지 정말 이해가 되네요.

  • 12. 원글
    '16.4.28 7:49 PM (77.67.xxx.226)

    시작점이 다른 게 느껴져요.. 나이든 부모님은 자꾸 병이 많이 생기셔서 이런저런 돈 지원 해드려야하고, 한번도 즐겨본적 없는 인생,, 부모님 돌아가시기 전에 좀더 행복하게 해드릴려고 대책없이 좋은거 사드리고 하게 되네요. 그런데 안그러면 후회 할 것 같고요... 전 외동딸이라서요. 다들 은행 대출 받고 시세차익 보면서 집값 불려 나갔네요. 대출을 알아 봐야 하는건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2755 샌프란시스코 여행시 숙박 5 미국여행초짜.. 2016/05/30 1,371
562754 얼굴작은것도 젊을때나 봐줄만하지 80 딸기체리망고.. 2016/05/30 32,720
562753 함께 접수한 가족 비자가 따로 오기도 하나요? 1 비자 2016/05/30 600
562752 식당에서 직원 구하는 문제 13 ... 2016/05/30 2,997
562751 모기, 개미 등 벌레에 물려서 심하게 부어오를 때 1 알러지 2016/05/30 3,366
562750 진정 입주청소하시고 만족하신분들 안계실까요...?ㅠㅠㅠ 6 이사 2016/05/30 1,666
562749 알러지 결막염이 너무 자주 생겨요 왜이러는 걸까요? 7 ㅅㅅ 2016/05/30 2,239
562748 조들호 너무 재미있네요 16 .. 2016/05/30 2,649
562747 음식물 쓰레기랑 일반쓰레기 베란다에 두세요? 1 2016/05/30 808
562746 누수배관교체 비용이 백만원 이상 차이나네요... 2 호갱이 2016/05/30 1,494
562745 이재명 성남시장, "저소득 청소년 생리대 지원사업 하겠다" 13 ㅇㅇ 2016/05/30 3,119
562744 부모아래 있을땐 부모말 들어야 한다. 18 갠생각 2016/05/30 4,194
562743 차에 치인 개.차주가 치료비 내야 할까요? 20 sbs뉴스 2016/05/30 4,213
562742 미세먼지와 비슷한 성분의 연기가 뭘까요? 2016/05/30 477
562741 자동차보험 6일만 들 수 있나요? 8 ... 2016/05/30 1,021
562740 수학 잘하는 자식 두신분있으세요? 23 글쓴이 2016/05/30 5,156
562739 초등 5학년 엄마 따라다니나요 5 ^^ 2016/05/30 1,418
562738 면세점에 있다는 가방브랜드 리바렐 비슷한거 있나요? 혹시 2016/05/30 485
562737 아이허브 카드 입력칸에 계속 에러가 나는데요. 7 . 2016/05/30 655
562736 미용실 손질 머리? 5 000 2016/05/30 1,524
562735 시어머니의 이간질? 14 ㅠㅠ 2016/05/30 4,679
562734 발가락링... 혹시아시나요? 궁금 2016/05/30 997
562733 오늘 오해영합니다 ㅋㅋ 기쁜 월욜 5 2016/05/30 1,394
562732 키 167 아이인데 책상이 낮다고.. 5 비싸군 2016/05/30 862
562731 저한테 면목없다고 6 어머님께서 2016/05/30 1,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