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기질이 느린 어른. 바꿔보신분있나요?

00 조회수 : 1,154
작성일 : 2016-04-12 14:56:36

초등고학년 아이가 많이 느려요..모든 일상행동,말도 천천히  숙제,공부 행동이 참 느려요...

좋게 말하면 차분한거지만 또래에 비해 속도가 많이떨어지니 느리다고 해야겠죠?

수업시간에 혼자 시간내에 해야하는 활동(미술,글쓰기 등등)도 좀 늦어서 남아서 하든가 과제로 갖고오구요.


매일 빨리빨리가 입에 배는데,, 아이도 힘들겠지요?  재촉하다가 제가 막 화내면 빨리하는게 아니라 멘붕 온건지

멍하니 있어요..

학원에서 시험을 보는데 시험을 늦게봐서 다 못푼대요(수학아니고 영어인데도!!)..

학교는 아직까지는 아슬아슬 다 푸는듯하구요..

집에서 수학도 얼마나 간단한 것도 느리게 푸는지 ..중학교 가면 분명 시간내에 못풀어요..

근데 시간내에 푼 문제는 모두 맞아요..공부머리는 있어요..연산만있는 계산식문제는 오답이 많고

 센수학  c등급문제,사고력문제들 잘풀거든요..

타이머,스톱워치,모래시계도 써 봤다가  당근도 줬다가 채찍도 줬다가

하는데 기질이 그런걸.. 안되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혹시 어릴때 느렸던분들 중에  행동이 바뀌신분 있나요? 어떻게 해야 의식적으로 내가 행동을

빨리 해야하나 느끼고 변할까요? 조금만 빨라도 인생이 훨씬 행복해질텐데..(저한테나 샘한테나  야단맞는게 줄어드니--;;)

생각해보니 저도 어릴때 행동이 느렸던것 같아요...근데 책임감 투철이라  뭐든 빨리 시작햇고 마지막에 대충이라도 마무리할려고 했는데 아이는  하기싫은 걸 계속 미루는 경향이 있네요...







IP : 112.133.xxx.24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4.12 3:35 PM (182.212.xxx.129)

    아이 너무 다그치지마세요.
    그거 나중에 정신적인 문제까지 생길수있어요
    저도 성격 급한 친정어머니로 인해 노이로제, 우울증까지 겪었고 겪는중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역시 어떤부분은 급해지더군요
    아이들에게 제가 겪었던 압박감을 주지않기위해 많이 노력하는데 한번씩
    친정어머니 기질이 저에게도 나오더라구요

  • 2. 에휴
    '16.4.12 3:42 PM (175.192.xxx.186)

    그게 성질 급한 사람이 느긋해지지 못하는거랑 같은 이치 아닐까요?

  • 3. 00
    '16.4.12 3:48 PM (112.133.xxx.245) - 삭제된댓글

    매번 학교상담때, 학원상담때 느리다는 평가를 들어왔구요..

    어디 출발할때 ,이동할때 수십명의 학생이 있어도 마지막으로 몸을 움직여요..

    저도 기질이 그런걸 알아서 다그치기 않고 자기 스스로가 내가 느리니 빨리 해야겠구나 자각을 햇으면 좋겠어요...빨리가 아니라 생활에 지장을 주지않을정도로 만요..

  • 4. ㅁㅁㅁ
    '16.4.12 3:49 PM (180.230.xxx.54)

    중학교 수학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단순 계산 문제는 팍팍 줄어요.
    사고력이 좋으면 중학교가서 버틸겁니다.

    장점을 살리는 방향으로 가세요

  • 5. 00
    '16.4.12 3:51 PM (112.133.xxx.245)

    저도 그래서 고민이예요..저만 참으면 될게 아니라서요..
    매번 학교상담때, 학원상담때 느리다는 평가를 들어왔구요..

    어디 출발할때 ,이동할때 수십명의 학생이 있어도 마지막으로 몸을 움직여요..

    저도 기질이 그런걸 알아서 다그치기 않고 자기 스스로가 내가 느리니 빨리 해야겠구나 자각을 햇으면 좋겠어요..

  • 6.
    '16.4.12 4:43 PM (175.203.xxx.195)

    빠르다고 좋다는 편견을 버리세요. 저희아이도 기질이 느린아이인데 아이 덕분에 새로운 세상을 보는 눈을 떴네요. 아이가 한권의 책을 느리게도 읽지만서도 여러번 읽는 아이인데 제가 그 덕에 문학에 눈을 떴어요. 천천히 여러번 책을 보면 볼수록 그 책의 깊이를 배우고 느끼게 되더라구요. 저는 환타지나 로맨스 소설만 봤었는데 이젠 아이 덕분에 고전들만 봐요. 아이가 원하는건 잘하고 재미있는 것이 아니라 학문의 깊이구나 싶어요. 책을 빠르게 읽는다고 그 책을 다 이해하고 안다고 할 수 없듯이 학문도 그렇다고 생각해요. 아이의 속도에 맞춰서 달리 학습계획을 세워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9932 HOT 재결합 하나봐요 1 ... 2016/04/18 1,595
549931 임산부 뱃속 양수는 처음부터 출산때까지 그대로인가요? 4 6개월차 2016/04/18 1,885
549930 작은 장애때문에 너무 무시당합니다 5 2016/04/18 4,285
549929 [종교인문 강좌] 뒤집어 보는 종교 전쟁 평화 느티나무 2016/04/18 564
549928 마루위에 장판 깔아도 상관 없나요??? 3 ㅇㅇ 2016/04/18 2,264
549927 천정배 "대권-당권 분리해야" 4 당권 대권 2016/04/18 1,015
549926 아로니아 드시는분 012 2016/04/18 1,069
549925 반기문,전두환에 대한 비밀문서 5 국청 2016/04/18 1,319
549924 액상철분제..어떤쥬스 와 섞어 마시는게 덜 역할까요 4 철분제 2016/04/18 841
549923 피부좋아지는 비결은 화장을 안하는거네요... 4 ㅇㅇ 2016/04/18 3,865
549922 미국 보덴 배대지. 어디가 좋을까요 2 Ee 2016/04/18 940
549921 노동법이 노동개악법이라 하던데 상세히 알수 있는? 4 노동법? 2016/04/18 520
549920 tell a lie, tell the truth-왜 관사가 달라.. 4 아리송 2016/04/18 1,678
549919 나같은 사람 있으신가요? 24 총총 2016/04/18 4,372
549918 백화점에서 어묵 국물 리필 12 어묵 2016/04/18 3,518
549917 범 영화인 비대위, BIFF 보이콧 ˝영화제 참가 거부˝(공식입.. 세우실 2016/04/18 619
549916 박영선, 정청래 발언 반박 "사심 공천? 사실 아니다&.. 15 응? 2016/04/18 1,898
549915 발가락타박상 2 발가락 2016/04/18 4,172
549914 미국에서 40대나 50대에 미혼인 ㅇㅇ 2016/04/18 1,130
549913 셋째아이 성장앨범 하지말까요? 13 .... 2016/04/18 2,244
549912 문재인 정계은퇴,대선불출마 둘 중 하나는 지켜야... 24 .... 2016/04/18 1,820
549911 박그네의 눈물[펌] 5 눈물 2016/04/18 1,835
549910 가솔린차 사기 쉽지 않네요 1 ... 2016/04/18 726
549909 아이키우는건 참 어려워요.. 12 노란바람 2016/04/18 2,136
549908 안철수씨가 말한 새정치는 무엇인가요? 48 모라니 2016/04/18 1,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