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가난한 이들이 정치에 무관심하며 파시즘을 지지할까?

그람시 조회수 : 710
작성일 : 2016-04-11 19:09:36
http://www.vop.co.kr/A00001011355.html
  
태극 애국 로봇..어버이연합이 떠오르네요. 
------------------------

[새책]왜 가난한 이들이 파시즘을 지지할까? ‘그람시산문집나는무관심을증오한다’

“나는 살아 있고 삶에 참여하는 인간이다. 
그러므로 나는 삶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을 증오하며, 
무관심한 사람을 증오한다”


히틀러와 독일의 나치 정권, 무솔리니와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의 탄생은 총과 칼로 이뤄지지 않았다. 전쟁 이후 어려움 속에서 자신들의 자존심을 세우고, 또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란 기대로 독일과 이탈리아 국민의 선택으로 탄생했다. 특히 그들을 지지한 건 가난한 노동자와 농민들이었다. 이탈리아의 지식인이자 정치인인 안토니오 그람시는 ‘왜 가난한 노동자와 농민이 자신들의 이익과 전혀 무관하게도 파시스트 독재를 더 지지하는가’라는 질문을 두고 평생을 고민했다. 그리고 그가 내린 답은 무관심이었다. 그람시 산문집 ‘나는 무관심을 증오한다’엔 그람시가 약 100여 년 이탈리아 사회를 향해 던졌던 질문과 고민이 담겨있다. 그리고 그 질문과 고민은 이명박 정권에 이어 박근혜 정권을 선택한 우리 사회와 많이 닮아 있다.

왜 가난한 노동자와 농민이 파시스트 독재를 더 지지하는가? 그는 이 의문에 답을 찾기 위해 오랜 세월 숙고했고, 그 답을 ‘무관심’에서 찾았다. 그람시는 “무관심은 역사 안에서 늘 강력하게 작동했다. 무관심은 치명적이다. 그것은 잘 준비된 계획을 뒤엉키게 하기도 하고, 잘 수립한 과정과 단계들을 뒤집어버리기도 했다. 또한 무관심은 지성을 맹렬하게 반대하는 원천이자 배출구다. 누구에게나 일어날 가능성 있는 악은 항상 무언가를 행하고자 하는 몇몇 사람들에 의해 발생하지는 않는다“고 꼬집었다.

그람시에 따르면 무관심한 사람은 무책임하며 언제나 불평불만으로 가득 차 있다. 자신의 삶에 참여하지 않으며 역사 속에서 미래를 만들어나가지 않는다. 이런 ‘무관심한 사람들’은 어느 시대, 어느 공간에서나 존재한다. 그러한 무관심 때문에 자신을 제외한 모든 사회 구성원이 잠재 적인 피해자가 되거나 손해를 입을 개연성이 크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지해야 한다.

IP : 222.233.xxx.22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른관점
    '16.4.11 7:57 PM (211.46.xxx.42)

    이런 이론은 그들의 삶을 깊숙히 들여다보지 않고 맘대로 판단한 결과라 생각해요. 제 단순한 논리로는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살기 비쁜 그들에게 문화니 여가니 이런 것들은 사치이고 정치도 같은 선상에 있는 거라 생각해요. 그리고 오랜 기간 가난이라는 고통에 종속돼어 살아왔던 사람들에게 더 이상의 희망같은 게 있을까요? 세상은 바뀌어도 정권이 수없이 바꾸어도 좋아지기는 커녕 삶은 더 피페해지고 있쟎아요. 이미 체념하고 무기력해져버린 겁니다.
    그리고 가난한 이들은 정확한 정보에서 멀리 있을 수 밖에 없어요. 눈에 보이고 귀로 듣는 게 전부죠. 우리나라는 이런 약자들을 너무 방치하고 있단는 생각이 들어요. 계층간 괴리가 없어져야 비로소 선진국이 되는 건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9566 공부 많이 하셨던 분들, 공부할 때 애정한 아이템이 무엇이었나요.. 11 홍두아가씨 2016/04/17 4,121
549565 가해 엄마가 적반하장 행동을 해요 15 a 2016/04/17 5,629
549564 안철수 “최소 20석 최대 40석 목표…기대 못 미칠 시 책임질.. 19 음해그만. 2016/04/17 2,593
549563 세월호, 박성호군 어머님 2년 전 정혜숙씨 인터뷰... 1 ... 2016/04/17 1,487
549562 어제 남편 친구 얘기 듣고 많이 울었어요... 17 슬퍼요 2016/04/17 14,056
549561 꿈이 늘 불쾌해요. 기분 좋은 꿈을 꾸는 방법은 없을까요? 7 ... 2016/04/17 2,981
549560 문재인 숨겨진 이야기 8 ... 2016/04/17 3,526
549559 개밥주는 남자 보다가 눈물 찔끔 ㅠㅠ 6 칙칙폭폭 2016/04/17 3,778
549558 집에 TV 2대이신분들은 셋탑박스도 2대 하셨나요 11 터울진 애.. 2016/04/17 12,284
549557 갤럭시 s1 아직 쓰고 있는 분 계세요? 2 살까요? 2016/04/17 715
549556 아이 아빠에게 주고 이혼하신분들.. 살아지시던가요..? 13 ... 2016/04/17 7,908
549555 며칠 정도면 덜 먹어도 배가 덜 고프다는 느낌이 올까요? 3 .... 2016/04/17 1,345
549554 2012 대선 당시 후보자 토론회 다시 보는 중 5 2012 2016/04/17 1,011
549553 '이거 먹으면 몸이 바로 반응한다' 하는 음식 있으세요? 165 음식 2016/04/17 25,954
549552 직장내 말 짧게 하는 여직원 3 30 중반녀.. 2016/04/17 3,002
549551 그것이 알고싶다. 세월호.... 17 비가내린다 2016/04/17 4,627
549550 에코백에 판박이? 6 hakone.. 2016/04/17 1,601
549549 일본 심야 버스 좀 3 연이 2016/04/17 1,005
549548 대출이 있는 집 등기 1 ,, 2016/04/17 704
549547 결의안이라도 야당이 합치면 할수는 있는건가요 ? 1 실효성없지만.. 2016/04/17 556
549546 분란글은 왜 주로 낮에 집중될까요? 18 진심궁금 2016/04/17 1,171
549545 소설 남자의 향기 보신분 1 ㅇㅇ 2016/04/17 1,370
549544 요즘 들어서 느끼는게 교회 다닌다고 다 착하고 좋은사람은 아닌거.. 40 ... 2016/04/17 4,949
549543 김어준과 문재인의 커넥션 46 심플플랜 2016/04/17 4,561
549542 갱년기가 오니 삶이 무덤덤 해지네요. 5 은현이 2016/04/17 4,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