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금보험 10년 뒤에 해약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궁금 조회수 : 5,921
작성일 : 2016-04-11 15:19:31

10년동안은 가입 후 그냥 깰수없는 적금 넣는다고 생각하고 꾸준하게 불입하고

그 후 연금 탈때 까지 기다리던지, 아니면 납입 해지 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10년 납 상품 경우 보통 사업비가 7-8년 정도면 다 회수되고 그 이후에 금리 붙게 되잖아요.

지금 우리나라 이율 생각해 봤을때 최저보장 3%정도라  생각해도 손해보는 장사도 아니고

어차피 공시이율 따라가니 이자 올라갈경우도 손해 아니구요.

변액 같은 경우 어차피 투자하는 곳 따라 달라지니 이건 논외구요.

지금 문제가 심하게 되는것도 변액인것 같은데 변액은 보험이든, 연금이든

그동안 불완전판매로 가장 문제 많았거든요. 채권비중이 높으면 상관없는데

그동안 보험 넣어놓고 설계사 믿고는 제대로 중간에 점검 안하신 분들이 특히 손해 많이 보더라구요.

( 꼭 중간에 설계 확인하세요- 채권, 주식 비중 확인하시면 큰 문제 안생겨요)

그런거 빼놓고 그냥 강제 적금 넣는다고 생각하고 넣으면 되는 문제 아닌가요?

IP : 14.48.xxx.159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호수풍경
    '16.4.11 3:23 PM (121.142.xxx.84)

    저도 그 글보고 가봤는데...
    5년 안에 해지하면 해지소득세인가 그것도 내야되고,,,
    10년 납입하면 이자 좀 붙던데요...

  • 2. 원글
    '16.4.11 3:31 PM (14.48.xxx.159)

    저도 기본 사업비 감안하고 10년 넣는거 생각해서 그냥 넣었거든요. 최저보장이율 자체가 지금 예금 이자 보다는 일단 높다고 생각했는데 혹시 연금보험 모두 해지하라는 말 듣고 또 우르르 해지 하신분 계실까봐요. 서로 아는 정보 있음 나눠봐요

  • 3.
    '16.4.11 3:33 PM (211.34.xxx.46)

    15년납 연금보험을 9년쨰 넣고 있거든요.
    지금 연금 논란이 뜨거워서... 해약 알아보니 원금에 이자가 붙긴 하였으나 원천징수세가 붙어서 원금보다 낮게 받아요... 원천징수세가 소득공제 안 받았으면 받을 수 있는데 그게 일부만 환급 된다고 하더라구요...
    완전 멘붕...

  • 4. 원글
    '16.4.11 3:42 PM (14.48.xxx.159)

    그럼 윗님은 소득공제 받으신거니 연금저축 납입하신 케이스아니신가요^^;; ? 소득공제는 연금저축이라고 알고있는데 아닌가요?

  • 5. 원글
    '16.4.11 3:46 PM (14.48.xxx.159)

    1000만원이 적립된 연금저축을 55세 이후 연금으로 받으면 연령에 따라 3.3%(80세이상)~5.5%(55세~70세 미만)의 소득세율을 적용받아 총 33만원에서 55만원의 세금을 내야 한다. 기존에 받은 세액공제액을 감안하면 연령별로 110만~132만원의 절세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근로자처럼 최소 5년이상 가입하고 이를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하면 과세대상액에 대해 연금소득세(최대 5.5%)만 납부하면 된다. 하지만 중도해지를 하거나 일시금으로 연금을 받을 경우 16.5%의 기타소득세가 부가돼 자칫 '세금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

    즉 위의 근로자가 연금저축을 중도에 해지하거나 일시금으로 받으면 165만원을 세금으로 내야한다. 그동안 받은 세금 환급액을 고스란히 토해내야 하는 것은 물론 장기간 자금이 묶이는 피해만 보게 되는 꼴이다.

    이 케이스 신거 아닌가요? 그러면 꾸준히 납입 하시고 연금 수령하는게 제일 좋은 방법인것 같은데^^;;

  • 6. ??
    '16.4.11 4:02 PM (119.14.xxx.20)

    7~8년 불입하면 이후부터 이자붙는다는 건 누가 그렇게 얘기하던가요?
    궁금해서 여쭤요.

    저 10년만기 원금환급형 상품 10년 넘게 둬도 원금에 훨씬 못미쳐서 민원진행중이거든요.

    그 때는 이자도 지금보다 훨씬 높던 시절인데도 이율이 낮아 어쩔 수 없다는 회사설명인데, 지금같은 저금리에 그게 가능한 건지 모르겠군요.

    그 말이 사실인가요?

  • 7. 원글
    '16.4.11 4:10 PM (14.48.xxx.159)

    보험 설계시에 해지 환급금 이나 만기 시 금액 이라고 해서 최저보증이율/ 평균금리/ 최고 금리 이렇게 따져서 계산하면 보통 10년동안 넣으면 최저보증이율과 평균금리 사이로 나오게되요. 아직 10년은 못 넣었지만 보통 4-5년납 저축보험도 이정도는 떨어지더라구요. 보험사에서 어떤 상품으로 돈을 굴렸는지에 따라 다를것 같은데 어떻게 원금 환급형 상품이 원금에 못미칠수가 있나요? 그때도 최저보증이율이라는게 있었을것 같은데 이상하네요

  • 8. 무지개1
    '16.4.11 4:15 PM (106.241.xxx.125)

    사업비가 크기 때문에 일단은 해지하면 손해죠
    저도 연금 수령할때쯤 되면 원금이상은 되겠지 생각하고있는데..
    저는 5년 넣은게 2100만원쯤 되는데 해지환급금 조회해보면 1800밖에 안되더라구요
    최저보증이율도 3.몇프로인데~
    그냥 계속 넣어야될거같아요

  • 9. .........
    '16.4.11 4:22 PM (221.149.xxx.1)

    저도 계산은 안해봤는데요..
    10년짜리.. 5년 이후에는 12개월씩 3번 납입중지 할 수 있더라고요
    10년동안 7년치 붓고 해약하려고요 ㅠㅠㅠㅠ

  • 10. ........
    '16.4.11 4:23 PM (211.210.xxx.30)

    자세히는 잘 모르지마 10년 이후에도 해지하는 것 보다는 그냥 계속 조금씩 받는게 이득이라 들었어요.
    초기 사업비 때문에 몇년 안에 해지하면 그거 그냥 홀랑 손해 보는거고요.

  • 11.
    '16.4.11 4:38 PM (211.34.xxx.46)

    쓴 사람입니다... 소득 공제 받은적 없어서 세무서 가서 확인서 떠어 오면 지점에서 원천징수세를 준다는데 그게 일부만 나온답니다...연금저축손해보험이라 쓰여있던데...정말 손해였어요..ㅡ.ㅡ

  • 12. 저도 궁금하더라구요
    '16.4.11 4:43 PM (121.145.xxx.105)

    연금저축은 소득공제시 환급받는걸 거진 연금전환시 다시 세금으로 내니;;그런거같고요

    119님 제가 알기론 보험은 초기 사업비가 많이 빠져요 그런데 7-8년 이후론 그 사업비가 적게 빠지기땜에 결론적으로 그때부터 이자가 붙는다 (쉽게말하자면) 그런거같더라구요

    저도 원글님처럼 이해햇는데 제가 찾을때 안그런건지;;사실 불안은해요;;;
    아직 미래일이니까요;;;;

  • 13. 000000
    '16.4.11 5:01 PM (112.169.xxx.196) - 삭제된댓글

    삼성연금 10년 넣은거 올해 12월에 끝나는데요,이거 그냥 두면 되는거죠?ㅠㅠㅠ

  • 14. ??
    '16.4.11 5:17 PM (119.14.xxx.20)

    저도 상식안에서 이해가 안 가고 이상하니, 몇 년에 걸쳐 민원중이죠.

    더 심한 건 다른 저축성보험이었어요.
    한참 7년납 이상이면 비과세...이러면서 저축성보험 엄청 많이 팔았잖아요.
    그것마저 이율이 낮아서 그렇단 이유로 원금의 85%인가를 만기에 지급하려 하더군요.

    그 건은 더욱더 도무지 납득이 안 돼 민원 엄청 넣어 원금은 돌려받았어요.
    그래도 손해죠.
    그 이율좋던 시절에 은행에 적금을 7년 넣었다면, 이자가 얼마였는데요?

    그 지리한 다툼으로 몇 년은 늙은 듯 해요.ㅜㅜ
    그런데, 이 후 만기된 건이 또 말썽인 거라 민원 진행중인 거죠.
    보험사 민원 넣다가 인생이 다 갈 듯 해요.ㅜㅜ

    최저보증이율이요?
    그런 것쯤은 가볍게 무시할 꼼수를 약관 어디인가에 묻어놔요.
    얼마나 기함할만한 꼼수인지는 당해보셔야 압니다.ㅜㅜ

    전 국민연금도 별로 못 믿지만, 깡패같은 사금융보험사에 비하면 국민연금은 신사 중에 신사라 생각해요.

  • 15.
    '16.4.11 5:37 PM (110.46.xxx.248)

    어제 2580 방송에서 최저이율 안줘도 법원에서 보험회사 손 들어준다고 본거 같아요.
    공시이율은 커녕 최저이율도 못받게될까봐 불안해요.

  • 16. ㅜㅜ
    '16.4.15 4:24 PM (183.99.xxx.110)

    답답합니다~~
    저도 저축성보험들어놨는데...

  • 17. 보험몰
    '17.2.9 5:45 PM (211.229.xxx.37) - 삭제된댓글

    손해보험사나 생명보험사 모두 동일하지만

    성별, 나이 또는 직업에 따라 보험료가 모두 다르게 산출됩니다.

    또한 보험사의 예정이율과 손해율도 포함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비교해보고 가입하는 것이 보험료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개별적으로 각 보험사를 통해 알아보는 것도 좋겠지만

    보험비교사이트를 활용하면 한눈에 비교가 가능하고,

    보험사마다 책정하는 일정 기준의 필수 가입담보와 가입금액이 다르고,

    같은 보험사 상품이라도 판매 채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에 다른 보험료 차이도 확인하고 결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보험견적닷컴 바로가기 http://direct-online.kr/?num=3829
    이달의 추천보험3 바로가기 http://ins.kr/insu/?num=3829
    실비보험견적닷컴 바로가기 http://silbi.net/?num=3829
    실비보험비교닷컴 바로가기 http://silbi-bohum.com/?num=3829
    암보험샵 바로가기 http://am-bohum.com/?num=3829
    보험비교닷컴 바로가기 http://inr.kr/?num=3829
    메리츠화재인기보험 순위사이트 http://meritz.tv/best/?num=3829
    메리츠화재 100세의료실비보험사이트 http://meritz.tv/?num=3829
    온라인보험 바로가기 http://online-bohum.com/?num=3829
    동부화재인기보험 순위사이트 http://dongbu-mall.com/?num=3829
    흥국화재보험몰,온라인비교가입사이트 http://hk-shop.co.kr/?num=3829
    보험비교샵 바로가기 http://direct-bohum.com/?num=3829
    온라인카자동차보험 바로가기 http://onlinecar.co.kr/?num=3829
    카다이렉트자동차보험비교사이트 http://car-direct.co.kr/?num=3829
    인기보험 순위사이트 http://inr.kr/insu/best7/?num=3829

  • 18. 하늘새롬
    '17.3.4 2:03 PM (58.122.xxx.104) - 삭제된댓글

    나의 보험료 너무 많이 납입하고 계시다면...
    http://bohum-total.kr/S039/page
    과다지출 보험료 줄이고 부족한 보장을 강화하는
    보험보장분석센터 도움받아보세요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보장내역을 분석하여
    불필요한 보험료는 줄이고,
    필요한 보험은 큰 보장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사이트인데..
    보험종합진단 필요성 및 사례볼 수 있으며 서비스 진행철차 확인가능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9451 올해말~내년 3월 입주예정인 새 아파트 (서울) 4 이사 2016/04/16 1,905
549450 잘때 최소한의 옷만 5 ㅇㅇ 2016/04/16 2,939
549449 장염 나은지 몇 주 지났는데도 속이 안 좋아요. 6 . . 2016/04/16 1,321
549448 5살 아이 갑자기 시력이 안 좋아질 수도 있나요? 2 걱정 2016/04/16 2,006
549447 그것이 알고 싶다-국정원과 세월호 관계 나옵니다 49 아마 2016/04/16 2,964
549446 이 원단 이름 아시는분계세요? 2 ㅜㅜ 2016/04/16 1,138
549445 붓 뚜껑이 총칼보다 강했습니다. 3 꺾은붓 2016/04/16 1,572
549444 인테리어하면서 호갱노릇이네요. 데코타일 시공해보신분.. 9 호갱님 2016/04/16 7,463
549443 남자아이 고환이 아프다는데 경험있으신적 있나요? 16 걱정 2016/04/16 7,936
549442 그알 할 시간이네요 6 용서 2016/04/16 785
549441 회사 내 미친인간들 겪은 경험 나눠주세요 17 근로자 2016/04/16 4,110
549440 세탁하는법 알려주세요 1 겨울옷 2016/04/16 819
549439 무리해서 산 작은 구두.. 10 david 2016/04/16 3,417
549438 오늘 그것이 알고싶다 꼭 보세요. 세월호 의문 1 blueu 2016/04/16 1,079
549437 20년만에 찾은 노래 1 찾았다 2016/04/16 772
549436 서울시립미술관 주차장 주차 많이 힘든가요? 7 서소문 2016/04/16 8,858
549435 더민주 지도부가 세월호 행사에 안 가는 것은 4 %%% 2016/04/16 1,997
549434 헐~~카카오톡하는 중에 갑자기 페이스톡이... 페이스톡 2016/04/16 1,240
549433 마지막으로 만나는거 5 비밀 2016/04/16 1,295
549432 국영수는 좀하는데 암기에 약한 아이ㅠ 13 중딩 2016/04/16 2,690
549431 kbs 스페셜 보는중... 2 내일 2016/04/16 2,448
549430 코스트코 요즘 과일 별로라는 생각 들지 않으세요? 19 blueu 2016/04/16 4,772
549429 안철수비서관이 사직하면서 남긴글 3 Toto 2016/04/16 3,996
549428 결혼계약 재밌네요 5 드라마 2016/04/16 2,245
549427 34살 노(?)처녀 넋두리.. 8 헤헤 2016/04/16 5,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