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설탕대신 꿀은 많이 먹어도되나요?

.. 조회수 : 4,050
작성일 : 2016-04-04 08:15:22
얼마전에 jtbc뉴스룸에 꿀 얘기 나온거같은게
본 분 계세요? 뭐하면서 보느라 잘은 못봤는데.
꿀엔 당이 전혀 없다고 나온거같은데..
맞나요?
IP : 115.137.xxx.76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4.4 8:18 AM (219.240.xxx.37) - 삭제된댓글

    그러게요.
    방송에서 뿐만 아니라
    한의학에서도 꿀은 상당히 좋은 식품으로 분류되는 걸로 알아요.
    고대시대 때부터 건강식으로 쓰였고요.

    그런데
    세상에 모든 당은 안 좋다니
    꿀도 안 좋고 올리고당도 안 좋다니
    방송은 안 봤지만
    별로 신뢰가 안 가요.

  • 2. ???
    '16.4.4 8:25 AM (1.233.xxx.136)

    단거는 결국 다 당아닌가요?
    꽃소금이나 구죽염이나 결국은 나트륨인것처럼

  • 3. ..
    '16.4.4 8:27 AM (115.137.xxx.76)

    그러게요 꿀이 몸 따뜻하게 해준다고 해서 자주 먹고있었눈데..

  • 4. 이상해
    '16.4.4 8:27 AM (110.70.xxx.133)

    꿀 이 설탕이예요

    똑같아요

    그리고 당이 없다니 뭔말이예요?

    단당류 ~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즈
    이당류 ~ 엿당, 젖당, 설탕
    다당류 ~녹말

    엿당 은 포도당 2개
    설탕 은 포도당 1개 과당 1개
    젖당 은 포도당 1개 갈락토오즈 1개

    로 구성되어 있어요

    설탕은 이당류니 당이 2개죠 포도당 과당
    이중에 과당이 굉장히 나빠요

  • 5. 이상해
    '16.4.4 8:33 AM (110.70.xxx.133)

    요밑에 어떤 분이 이상하게 쓰셨는데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모두 탄수화물이예요

  • 6. 방송에
    '16.4.4 8:35 AM (211.58.xxx.175)

    아이한테 꿀을 설탕대용으로 준 엄마가 나왔는데
    횟수가 과했던지 아이가 비만판정 받았어요
    몸에 좋다니까 여기저기 넣어 줘서요
    그리고 꿀은 고온에 타면 아무소용 없데요

  • 7. ㅇㅇ
    '16.4.4 8:47 AM (219.240.xxx.37) - 삭제된댓글

    이상해님
    그럼 모든 탄수화물은 안 좋다!
    이건가요?
    방송을 안 봐서.

  • 8. ㅇㅇ
    '16.4.4 8:49 AM (219.240.xxx.37) - 삭제된댓글

    모든 지방은 안 좋다!
    이 주장은 매우 극단적이죠.
    지방이 과하면 문제가 되기는 하지만
    지방은 꼭 필요한 영양소잖아요.
    방송은 안 봤지만
    댓글들 보니
    모든 당은 안 좋다라고 주장하는 거처럼 보여요.

  • 9. 어느 장단에 춤을
    '16.4.4 8:50 AM (211.36.xxx.12)

    방송에서 밤꿀 매일 한스푼씩 먹고 위 좋아졌다 어쩌니해서 팔랑팔랑 꿀사다놨는데...

  • 10. ,,,
    '16.4.4 8:51 AM (118.208.xxx.87)

    꿀도 당이긴한데 성분상 하얀설탕보다는 낫다고 전문가가 얘기하는걸 티비에서 본적있어요. 하지만 꿀도 결국 당이니 많이 먹으면 안좋죠,,

  • 11. . . .
    '16.4.4 8:58 AM (125.185.xxx.178)

    꿀은 수분이 제일 많고 그 다음 포도당.
    몸에 좋다는 성분은 쪼금 들어있어요.
    꿀물 마시면 술해독되는건 간에서 바로
    포도당으로 나눠져서죠.
    위에 꿀이 좋다해서 장복했더니 살이 피둥피둥
    쪄서 빼려니 참 힘들어요.

  • 12. 아이고난리
    '16.4.4 9:07 AM (175.223.xxx.179)

    포도당 굉장히 중요해요
    포도당 없으면 죽어요
    링거도 포도당 수액이예요

    과당!!!이게 나쁜거예요
    그래서 설탕이 나쁜거죠 설탕 분해되면 과당이 생겨요
    과당이 생성되면 100프로 간에서 지방으로 저장되요
    설탕만 먹어도
    돼지된다구요

    다른 탄수화물은 당뇨병 환자 아니고 엄청 많이 먹는거아니면괜찮아요
    설탕만 줄이세요

  • 13. ㅇㅇ
    '16.4.4 9:11 AM (223.33.xxx.99)

    꿀이나 효소는 뜨거운물엔 아무 소용없다고 하던데요 그냥 설탕물과 마찬가지...아예 안 먹을순 없어요 어떤 방송은 꿀이 좋다 또 다른곳엔 설탕, 효소가 나쁘다등등 다르게 해석한건지 근거도 별로없고 ..적당히 먹어야죠 전 그냥 꿀,효소,설탕 필요하고 어울리는 음식에 넣습니다..

  • 14. 에고.
    '16.4.4 9:13 AM (211.226.xxx.127)

    생난리났네요.
    뭐는 좋고 뭐는 나쁘고..이렇게 생각하지 말고.
    그냥 열량이 넘치는 건 나쁘다. 이렇게 보면 되어요. 설탕이건 꿀이건 너무 먹지 마라~
    요즘 우리나라 음식 점점 달아지고, 단 후식류도 많아지고,,, 당 섭취가 늘고 있으니
    무가당이니 천연 뭐시기니 속지 말고 무조건 넘치지 않게 먹는다. 생각하면 되어요.
    밤꿀~ 이거 효능 있으니 사다 놓으신 건 드시고.. 대신 다른 단 음식을 좀 덜 드셔서 전체 열량을 조절하세요.
    탄수화물이고 지방이고 간에 일단 많이 먹으면 처리가 안되어서 핏줄에도 당이 돌아다니고 간에 지방쌓이고 내장지방 쌓이고..하는 거죠.
    요즘은 못 먹어서가 아니라 너무 먹어서 탈인 시대입니다.

  • 15. ㅇㅇㅇ
    '16.4.4 9:23 AM (220.73.xxx.248) - 삭제된댓글

    설탕보다는 꿀이 훨씬 좋다는 뜻이지요.
    여름에 배앓이나
    감기 걸렸으때 토종꿀 마시면 금방 낫는
    약성도 있어요.

  • 16. 사양꿀
    '16.4.4 9:31 AM (219.255.xxx.45)

    꿀도 잘사야합니다. 설탕물 먹여 양 늘린 사양 꿀은 그냥 설탕 물입니다.

  • 17.
    '16.4.4 9:40 AM (223.62.xxx.112)

    단맛내는 것 중에 꿀 올리고당 말고 그나마 조청이 좋다고 하던데요.

  • 18. 체질
    '16.4.4 9:59 AM (183.109.xxx.87)

    체질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얼마전에 독일 한 레스토랑에서 몇십년째 웨이트리스로 근무하는 90넘은 할머니
    장수와 건강의 비결로 매일 꿀 넣은 우유를 꾸준히 마신다로 나왔어요
    비만도 아니고 아주 여리 여리 하시더라구요

  • 19. 설탕좋아요밧뜨
    '16.4.4 12:44 PM (101.100.xxx.106)

    특별히 몸에 질환이 있지 않다면, 어차피 즐기면서도 살아야하는 인생, "적당히"가 많은 사람들에게 해당하는 답이지 않을까요.
    예를 들어서, 하루 세 끼를 싱겁게, 채소와 잡곡과 콩 위주로, 설탕을 치지 않고 튀기지 않은 조리법으로 주로 먹고 사는 사람이 일주일에 한 두번 먹는 디저트야 괜찮을 것이고.
    원래 좀 짜고 맵고 달고 거기에 육류 (거기에 가공육)을 자주 먹는 사람이 거기에 더해서 설탕 잔뜩 들어간 디저트나 쥬스까지 먹는다면 업친데 덥친 격이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9472 어휴. 청와대가 구조를 지연시키네요. 7 .... 2016/04/17 1,897
549471 죽일놈들 청와대 보고하느라 애들을 못구해 117 .... 2016/04/17 14,991
549470 5월초에 일본을 거쳐 한국을 가요 9 미국 촌사람.. 2016/04/17 877
549469 인간관계에서 뒤통수 맞는다는게 어떤건가 2 2016/04/17 2,763
549468 제주도 항공권 첨 끊는데... 정말 결정장애 일어나요... 20 제주도 2016/04/17 4,345
549467 그알 볼수있는..사람들이 진심 부럽네요 1 에휴 2016/04/17 1,983
549466 지금 그것이 알고싶다-세월호 3 ... 2016/04/16 1,482
549465 제발 겁내지 말고 그것이 알고싶다를 봅시다. 20 ᆞᆞ 2016/04/16 4,880
549464 그알 보고있는데... 6 울화통 2016/04/16 2,371
549463 suv의 시야확보 vs. 쎄단의 승차감 17 고민 2016/04/16 7,156
549462 위례 지금 사면 꼭대기인지 1 .... 2016/04/16 2,693
549461 그알 소름이네요. 22 .... 2016/04/16 8,133
549460 (그알)양우공조회와 국정원....... 5 ... 2016/04/16 2,127
549459 60인치 USHD TV로 usb 영화재생할때 화질이. . . ... 2016/04/16 933
549458 올해말~내년 3월 입주예정인 새 아파트 (서울) 4 이사 2016/04/16 1,906
549457 잘때 최소한의 옷만 5 ㅇㅇ 2016/04/16 2,939
549456 장염 나은지 몇 주 지났는데도 속이 안 좋아요. 6 . . 2016/04/16 1,321
549455 5살 아이 갑자기 시력이 안 좋아질 수도 있나요? 2 걱정 2016/04/16 2,006
549454 그것이 알고 싶다-국정원과 세월호 관계 나옵니다 49 아마 2016/04/16 2,964
549453 이 원단 이름 아시는분계세요? 2 ㅜㅜ 2016/04/16 1,138
549452 붓 뚜껑이 총칼보다 강했습니다. 3 꺾은붓 2016/04/16 1,572
549451 인테리어하면서 호갱노릇이네요. 데코타일 시공해보신분.. 9 호갱님 2016/04/16 7,468
549450 남자아이 고환이 아프다는데 경험있으신적 있나요? 16 걱정 2016/04/16 7,938
549449 그알 할 시간이네요 6 용서 2016/04/16 786
549448 회사 내 미친인간들 겪은 경험 나눠주세요 17 근로자 2016/04/16 4,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