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 와 되, 대 와 데, 했습니다, 했읍니다..맞춤법 쉽게 좀 알려주세요~
- 1. ㅇㅇ'16.3.16 9:33 AM (121.168.xxx.41)- 헷갈리다 헛갈리다 동음이의어입니다. 즉 둘다 맞아요. 
 읍니다는 없어졌어요.
 모두 습니다예요.
 
 먹습니다. 명사형은 먹음.
- 2. 원글이'16.3.16 9:34 AM (121.128.xxx.203)- 안돼면, 안되면 
 이것도 어렵네요..
- 3. .....'16.3.16 9:34 AM (203.247.xxx.210)- 해야 돼(해야 되어) 
 
 했다데?(했다 하데?)
- 4. ㅇㅇ'16.3.16 9:36 AM (121.168.xxx.41)- 데와 대. 
 데는 그런데로 생각하시면 쉬워요.
 
 엄마 친구가 1등을 했대(전하는 말은 대) 했다고 해의 준말이니까
 대(ㅐ)
 
 데의 예가 생각이 안 나는데..
 그런데로 풀어 쓸 수 있어요
- 5. 안되면이 안돼면이면'16.3.16 9:36 AM (203.247.xxx.210)- 안되어면.... 
- 6. 뽀로로'16.3.16 9:37 AM (110.8.xxx.28)- 돼 되의 경우는 어를 붙여서 말이 되면 돼 안되면 되. 
 안돼요 안되어요 ㅇ
 안되고 안되어고 x
 
 대 데의 경우는
 했대 그렇대 ㅡ 했다고 해, 그렇다고 해 ㅡ 남한테 들은 말을 전할 때?
 데 ㅡ 내 입장에서 ~더라 즉 전하는 말이 아니라 자기 의견? 독감이 그렇게 쑤시고 아프데
 걔 참 성격 독하데 ㅡ 걔 성격 독해 즉 겪은 말
 걔 참 성격 독하대 ㅡ 걔 성격 독하다더라 즉 들은 말
 
 전 이렇게 알고 있어요^^
- 7. ㅇㅇ'16.3.16 9:37 AM (121.168.xxx.41)- 돼는 되어의 준말입니다. 
 되어로 풀어쓸 수 있느냐 없느냐로 판단하시면 돼요(되어요)
 
 학자가 되고 싶어.
 (되어고? 이상하죠? 그러니까 되)
 
 학교 갈 시간이 됐다(되었다)
- 8. 뽀로로'16.3.16 9:38 AM (110.8.xxx.28)- 그리고 읍니다는 이제 습니다로 다 바꾸기로 해서 안쓰지 않나요? 
- 9. ㅇㅇ'16.3.16 9:38 AM (121.168.xxx.41)- 봬다 
 뵈다도 같아요
 
 내일 봬요(뵈어요)
 내일 뵐게요(뵈얼게요? 이상하죠? 그니까 그냥 뵈)
- 10. 사전'16.3.16 9:40 AM (180.224.xxx.91)- '되다'와 '돼다'라는 두 가지 형태의 말이 있는 것이 아니고, '되다'의 어간 '되-'에 '-어, -어라, -었-' 등이 붙은 '되어, 되어라, 되었-'이 줄 때 '돼, 돼라, 됐-'과 같이 '돼-'의 형태가 되는 것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35항 붙임 2에서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는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어간 '되-' 뒤에 어말 어미 '-어, -어서, -어야', 선어말 어미 '-었-'이 붙은 '되어, 되어서, 되어야, 되었다'의 준말을 '돼, 돼서, 돼야, 됐다'의 형태로 적는 것은 바로 이 규정에 따른 것입니다
- 11. ㅇㅇ'16.3.16 9:40 AM (121.168.xxx.41)- 걔 성격 독하데(걔 성격 독하다 그런데..) 
 개 성격 독하대(독하다고 해)
- 12. ....'16.3.16 9:42 AM (211.172.xxx.248)- 엄마 친구가 1등을 했는데 상은 못 받았대. 맞나요? 
- 13. ㅇㅇ'16.3.16 9:42 AM (121.168.xxx.41)- 안되면(ㅇ) 
 안돼면(×) (안되어면 이상하잖아요)
- 14. ㅇㅇ'16.3.16 9:43 AM (121.168.xxx.41)- 211님 맞습니다. 
 1등을 했다. 그런데 상은 못받았다고 해.
- 15. 되/돼 이게 문제임'16.3.16 9:52 AM (182.209.xxx.107)- 되/돼 맞춤법 저장 
- 16. ...'16.3.16 9:55 AM (175.125.xxx.22) - 삭제된댓글- 첫댓글,... 동음이의어가 아니라 이음동의어겠죠. 
- 17. 우리말'16.3.16 9:57 AM (221.149.xxx.94)- 알것 같으면서도 틀리는게 
 쉽진 않네요,맞춤법
- 18. mini'16.3.16 10:05 AM (121.135.xxx.209)- 평소에 어렵다고 생각했던 맞춤법입니다. 
- 19. ㄱㄴ'16.3.16 10:11 AM (49.170.xxx.9)- 이러니 울아들이 맨날 헤메죠ㅠㅠ 
 어려워요 힝~
- 20. 데 대'16.3.16 10:15 AM (180.224.xxx.91)- '-데'와 '-대'의 구분 
 질문
 '그 소문이 사실이대? 영희가 밥 먹는데?'가 맞는 문장인가요? 그리고 '-데'와 '-대'는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하나요?
 답변
 제시하신 문장에는 '-라고 해'가 줄어든 말인 '-래'와 '-다고 해'가 줄어든 말인 '-대'를 써서, '그 소문이 사실이래?', '영희가 밥 먹는대?'와 같이 표현합니다. 그리고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 비해,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입니다.
- 21. ㅇㅇ'16.3.16 10:16 AM (223.33.xxx.230)- 예전에 스펀지엔가 나온 방법이 좋아 전 그렇게 구별해요. 
 되-하 바꾸고 돼-해 로 바꾸는 방법이요.
 예를 들자면 "안 돼"인지 "안 되"인지를 구별하고 싶다면 안 해, 안 하로 바꾸었을때 안 해가 더 어울려요.
 이런식으로요
- 22. ᆢ'16.3.16 10:22 AM (59.0.xxx.164)- 데.대는 들어도어려워요 
- 23. ㄱㄴ님'16.3.16 10:57 AM (123.214.xxx.234)- 헤메죠 ===> 헤매죠 입니다~ 
- 24. 어렵지 않아요~'16.3.16 11:27 AM (121.162.xxx.200) - 삭제된댓글- '습니다'는 무조건이고요~ 
 
 '돼'는 '되어'로 했을 때 말이 되면 돼요.
- 25. 어렵지 않아요~'16.3.16 11:32 AM (121.162.xxx.200)- '습니다'는 무조건이고요~ 
 
 '돼'는 '되어'로 했을 때 말이 되면 돼요.
 "말이 되면('되어면'으로 하면 이상하니까 '되') 돼요('되어요'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으니까 '돼')."처럼요.
 
 '대'는 쉽게 생각하면 남 얘기는 무조건 '대'예요.
 "내가 애한테 맞춤법을 가르쳐 주었는데, 애가 어렵대."란 문장을 보세요.
 가르쳐 준 건 나고, 어려워하는 건 남이죠?
 나머지는 다 '데'라고 보시면 됩니다.
 
 덧붙여서..
 '데'의 띄어쓰기도 알아 두시면 좋아요.
 '데'가 '곳' 또는 '것'의 의미로 쓰일 때는 띄어써야 합니다.
 "맞춤법을 익히는 데는 시간이 꽤 필요해."란 문장은
 "맞춤법을 익히는 것은 시간이 꽤 필요해."로 바꿀 수 있죠? 이럴 땐 띄어써 주세요~
- 26. 저도'16.3.16 11:49 AM (175.115.xxx.19) - 삭제된댓글- 궁금했던 문제인데 잘 보고 갑니다 
- 27. 되와돼의 구분법'16.3.16 11:57 AM (175.193.xxx.209)- 저장 할께요 
- 28. 맞춤법'16.3.16 12:20 PM (42.82.xxx.119)- 은근히 까다롭죠 ^^ 
- 29. 그럼'16.3.16 12:35 PM (71.177.xxx.165) - 삭제된댓글- 안 돼! vs 안 되! 어느 게 맞나요? 
 안돼요 vs 안되요 어느 게 맞나요?
- 30. 저도'16.3.16 12:49 PM (122.43.xxx.32)- 되,돼 저장합니다 
- 31. 맞춤법'16.3.16 1:37 PM (121.135.xxx.41)- 데와 대 . .감사해요 
- 32. 미니'16.3.16 2:37 PM (223.62.xxx.99)- '되어'를 넣어서 말이 되면 '돼', 안 되면 '되'로 
 쓰시는 방법도 맞지만 더 쉽게 구분하시려면
 '되다' 대신 '하다'를 넣어 보시면 됩니다.
 '하'가 맞는 곳에는 '되', '해'가 맞는 곳에는 '돼'를
 사용하시면 돼요.
 
 안 돼 : '안 해'가 맞으니까 '안 돼'
 안 되는데 : '안 하는데'가 맞으니까 '안 되는데'
- 33. ...'16.3.16 3:31 PM (220.89.xxx.140)- 데와 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