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피아노로 다양한 음색을 구사하려면 어떤 자질이 필요할까요?

피아노 조회수 : 944
작성일 : 2015-12-25 07:11:28
목소리로 표현하는 것보다
훨씬 어려울 거 같은데..
훌륭한 가수나 성악가가 되기 위해서는
타고난 건강한 목소리 톤이 절대적인 조건이라는데
피아노로 다양한 톤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은
어디서 나오는 거라 생각하시나요?

IP : 211.201.xxx.132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ㅎㅎ
    '15.12.25 7:18 AM (59.6.xxx.151)

    듣는 귀
    자신의 음색을 듣는건 음감보다 훨씬 어렵습니다
    그 다음은
    그 소리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연습의 인내죠

  • 2. ㅇㅇㅇ
    '15.12.25 8:08 AM (211.237.xxx.105)

    디지탈피아노에 다양한 음색이 있음 온갖 악기소리 다 낼수있어요. ㅋ

  • 3. 아~~
    '15.12.25 8:15 AM (211.201.xxx.132)

    예민한 귀가 절대 조건이라 할 수도 있겠군요.. 남의 소리는 잘 들으면서 왜 자신의 음색은 잘 못들을까요..

  • 4. 그렇다면
    '15.12.25 8:21 AM (211.201.xxx.132)

    절대음감이랑은 또 다른 차원인가요? 어떻게 다를까요? 피아노 정말 복잡하고 어려운 거 같아요ㅜ

  • 5. 지름길은 없음
    '15.12.25 10:09 AM (73.199.xxx.228)

    재능과 무지막지하고 끝없는 연습이죠

  • 6. ...
    '15.12.25 10:48 AM (39.118.xxx.118) - 삭제된댓글

    손열음의 칼럼이 책으로 나왔길래 읽어봤어요.
    피아노의 음색은 오로지 건반을 내려치는 속력으로 결정된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그것만 확실히하면 거장이 되는가.. 그렇진 않다는거죠.
    음을 누르기 전에 소리의 방향을 상상하는 능력, 오랜 연습으로 단련된 근육으로 인한 무한한 변화..
    또한 음악적 식견이 음색을 좌우한다는 거예요.

  • 7. ...
    '15.12.25 12:50 PM (110.70.xxx.139) - 삭제된댓글

    피아노는 음색이 하나구요
    님이 말하시는건 표현과 해석인것 같아요

  • 8. ...
    '15.12.25 12:56 PM (110.70.xxx.139) - 삭제된댓글

    피아노는 음색이 하나구요
    님이 말하시는건 표현과 해석인것 같아요
    음악역사와 이론공부를 해서 그 곡에 대한 이해를 높이면 해석능력이 생기구요
    감성을 키우면 표현력이 좋아지구요

    즉 기계적으로 차는게 아니라
    매 순간 나름의 해석과 의도를 가지고 연주를 해야죠
    테크닉도 당연하 뒷받침되구요

    피아노 질치기 위해선 3h가 필요하다고 하죠
    hand head heart

  • 9. 윗님
    '15.12.25 1:44 PM (168.126.xxx.112) - 삭제된댓글

    3h 완전 공감해요.
    머리 안 좋으면, 손가락은 잘 돌아가도 피아노를 키보드 치듯이 쳐대요.
    연주에서 사색, 철학, 이성이 전혀 느껴지질 않죠.
    head는 더 정확히 Brain이라고 해야 맞을건데, 3h가 팍 와닿긴 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284 이래도 쥐랄할건가~!!! 7 인정역 2016/01/29 883
523283 시설관리원 배성춘, 환경미화원 임종성 국민의당 입당 ........ 2016/01/29 488
523282 저도 축의금 질문이요...이런건 누가 규정안만드나요?^^ 3 ... 2016/01/29 775
523281 가방 둘중에 어떤게 나을지 함 봐주셨으면해요 15 5 2016/01/29 2,553
523280 꼬리반골이란 것도 사골과 거의 비슷한가요 1 . 2016/01/29 2,440
523279 연봉 높은 사람 명의의 체크카드를 쓰는게 연말정산에 유리한가요,.. 2 강나루 2016/01/29 1,040
523278 연말정산시 와이프명의통장 2 궁금이 2016/01/29 1,204
523277 남친의 고양이를 그려봤어요 4 잘그림 2016/01/29 1,465
523276 린넨커튼, 거즈커튼이나 쉬폰커튼 써보신분요.. 2 /// 2016/01/29 1,369
523275 클러치 가지고 계신분 사용 잘하고 계신가요?? 4 지름신 2016/01/29 1,940
523274 노란우산공제가 저축성보험 같은 건가요? 4 노엔 2016/01/29 1,498
523273 남편을 잘 모르겠네요. 23 심리 2016/01/29 5,592
523272 좀 웃기는 영 단어 질문 4 .... 2016/01/29 682
523271 하루 물 마시기 4 . 2016/01/29 1,502
523270 올해부터는 시가 안가기로 남편과 이야기되어 좋았는데 5 나만속터지지.. 2016/01/29 2,405
523269 80년대 가수들 총집합 1989년 토토즐 5 상니 2016/01/29 1,037
523268 더민주 댓글 현수막.jpg 5 엠팍펌 2016/01/29 2,191
523267 대중탕에 갔다가 퍼머하면 머리잘 나올까요 1 /// 2016/01/29 834
523266 전문과외샘은 과외회사에 소속된분인가요? 4 학부모 2016/01/29 1,000
523265 정수기 설치시 구멍(?) 문의드려요. 6 망고스위티 2016/01/29 5,753
523264 회사 영수증납부한거 어떻게 보관하면 좋을까요?? 2 영수증 2016/01/29 397
523263 노처녀백수 선보기로 했어요 8 ... 2016/01/29 4,385
523262 중고장터에서 이런일 흔해요 ? 30 뭐 이런 ... 2016/01/29 7,153
523261 골택시 이용해보신분 2 군고구마 2016/01/29 457
523260 설에 쓸 전복 보관 어떻게 하나요? 4 모모 2016/01/29 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