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문화 관련해서 궁금한게..

어흥 조회수 : 1,197
작성일 : 2015-12-10 01:22:44
간혹 보면 소위 말하는 며느리의 도리라는 제사참여를 강조하시는 분들이
보통 시어머니들이 많은데..그건 왜 그런건지 궁금해요. .
아무리 생각해도 처음부터 그러긴 힘들것 같구..대부분 새댁입장일 때는 아무래도 낯설고 시댁문화나 가족을 바로 받아들이긴 힘들잖아요.
남편의 성화에 못이겨서인가요~? 아님 아이낳고 살다보니 진짜
이 집안이 내집안이다 우리집안의 문화와 전통을 이어야한다는 생각이 정말로 자연스럽게 드는 건가요~? 아직 안살아봐서 궁금하네요..ㅠㅜ 주변에 결혼한 언니들 봐도 맨날 여자들끼리 싸우고 에효 정작 남자들은 제사때문에 그렇게 지지고볶지도 않는것 같던데..
IP : 1.237.xxx.18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욕하면서 배운다고
    '15.12.10 3:05 AM (71.201.xxx.122) - 삭제된댓글

    싫다하면서도 평생 해오다보면 몸에 익게되고 힘들어도 요령이 생겨서 점점 자연스러워지고
    단점을 알지만 장점도 느끼게되는 면이 있겠죠.
    제사라는 건 가족을 집합시키는 매개체 역할도 하고
    특히 장례문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서 연세가 드시면 가족 안팎으로 죽음을 많이 목격하게도 되겠구요.

    물론 이런 여러가지 장점은 있지만
    제사라는 것은 아무래도 농경사회와 관련이 깊은 풍습이라
    현대사회와 부딪히는 면이 너무 많아서 언제까지 존속하게 될 지...

    세월이 조금만 더 흐르면
    아내가 돈벌이를 전혀 하지않아도 먹고사는 걱정이 없는 시댁이 잘살아 상속재산이 많은 집안
    가족내 단합이 중요한 가족간 사업체로 묶여있는 집안
    아니면 가족이 힘 합쳐 농사를 짓거나
    혹은 종가집등 농경사회의 전통을 어떻게든 이어나가려는 집안
    이 정도 선에서 제사를 지속하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개인적으로 드네요.

    대체문화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싶어요.

    저는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일본이나 동남아에서 하듯이 장식품처럼 예쁜 작은 불상을 집안에 두고
    시시때때로 합장드리며 돌아가신 분들께 안부인사를 여쭐까 생각해봤네요.
    어른들이 불교이셔서 좋아하시더군요.
    저는 무교라서 이래도 저래도 별 상관이 없어서 유연하게 할 수 있을 듯 싶네요.

  • 2. 인간은이기적
    '15.12.10 3:29 AM (112.173.xxx.196)

    결국 며느리도 자기네 식구들과 자주 어울리길 바라기에 제사도 참석하길 원하는거죠.
    그거 아니면 뭣하러 본인도 하기싫은 제사 하라고 할까요?
    전 제사 참석 안합니다.
    하고 싶은 사람만 하도록.

  • 3. ㅇㅇ
    '15.12.10 3:54 AM (182.215.xxx.234)

    기복신앙 같은거 아닐까요?
    울 할머니 90넘으셨는데도 아직 제사지내세요. 조상님이 자식 손주들 돌봐주길 바라는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8534 외국에서 직장생활 하시는 분들 현지어 실력이 어느정도신가요? 14 타국살이 2016/01/13 2,252
518533 매일 스트레칭만 30분씩해도 좋겠죠? 8 2016/01/13 4,055
518532 스티로폼용기 컵라면 요즘도 파나요? 4 그라시아 2016/01/13 964
518531 단원고 세월호 생존자 75명 '슬픈 졸업식' 돌아오지 못한 아이.. 4 세우실 2016/01/13 679
518530 닫힌 성장판이 3년만에 다시 열렸어요 14 기적인가요 2016/01/13 7,386
518529 귀티나서 좋은 이유가 대체 뭡니까 19 ㅇㅇ 2016/01/13 13,254
518528 목문 레버 도어 고급형 구입할 수 있는 곳 여쭤볼께요~ 2 white 2016/01/13 752
518527 사주..신약보다 신왕 신강이 더 우월한 걸로 보나요? 5 .. 2016/01/13 6,232
518526 걷기운동에 관해 여쭙니다. 5 체력키우기 2016/01/13 2,379
518525 친환경화장품 추천부탁드립니다. 7 45살여자 2016/01/13 954
518524 2016년 1월 13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6/01/13 506
518523 시중은행은 한 달 미만 대출은 원래 불가능한 건가요? 3 피어나 2016/01/13 1,047
518522 여드름 치료에 한의원 효과 보신분 계신가요 7 여드름 2016/01/13 2,362
518521 퀸 침대에 싱글 이불 2개 쓰시는 분 계세요.. 23 ㅇㅇ 2016/01/13 5,104
518520 퇴직하기로 2달여남았는데 마무리 잘하는법 3 화이팅 2016/01/13 2,103
518519 고주파 받고싶어요 2 fr 2016/01/13 1,862
518518 파리바게트 커피 어떤 게 젤 맛있나요? 9 커피 2016/01/13 2,788
518517 저희부모님을 보면 이중적인거같아요. 8 ㄹㅇ 2016/01/13 3,912
518516 킬미힐미 안 보신 분들 17 ㅇㅇ 2016/01/13 3,180
518515 인테리어 공사 문의드립니다. (특히, 베란다 타일공사요..) 4 봄날은간다 2016/01/13 2,752
518514 치인트 치즈인더트랩 보시는 분들?? 백인호..궁금해서요.. 18 드라마 2016/01/13 4,793
518513 사촌여동생 축의금 얼마 정도가 좋을까요? 3 1월 2016/01/13 3,275
518512 잠이 안와요.수면마취도 안되고 5 약부작용? 2016/01/13 2,179
518511 첫출근 하는 자식에게 무슨 말을 해줘야 18 할까요? 2016/01/13 3,719
518510 카멜브라운과 다크브라운.. 어떤 색상을 선호하시나요? 8 가방색상 2016/01/13 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