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 크기 라는 게..

끄앙이 조회수 : 3,605
작성일 : 2015-11-18 14:40:50
보통은 신혼 및 아이 어릴 때는 좁은데서 시작해도 된다~
차차 넓혀가라 하시잖아요
근데 오히려 아이들 어릴 때 넓어야 하지 않나요?
놀이공간 돌아다닐 공간.. 아이장난감 보관장소...
아이는 작은데 아이 물건들이 넘 커서요.
오히려 중고등학생 땐 거의 학원 독서실에서 늦게 들어와 잠만 자니 집 넓을 필요가 없지 않나요?
IP : 182.224.xxx.43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5.11.18 2:44 PM (223.33.xxx.38)

    넓으면 좋죠
    21개월인데..
    집에서도 엄청 뛰어다니고 기어오르거든요
    1층이라 너무 다행이라ㅠ
    아이 어릴땐 넓은게 좋아요.
    그리 말하실 땐 무리하게 평수 넓혀 집 얻으려 하는 사람한테 하는 말이겠죠

  • 2. ㅎㅎ
    '15.11.18 2:48 PM (175.223.xxx.6)

    넓은집 싫어서 안가는게 아니라 돈없어 못가죠
    신혼이니 더더욱. 위로차 하는말 아닌가요?

  • 3. 그런데
    '15.11.18 2:51 PM (121.131.xxx.108)

    제 주변에 비록 미혼이지만,
    전 재산이랄까 물품이 여행 가방 하나인 분이 있어요.
    아무리 혼자 사는 삶이라 해도 그 정도 살림만 지닌채 일상을 문제 없이 지내는 것을 보고
    자주, 내가 참 너무 많이 가지고 소비하고 산다고 반성합니다.
    공간 역시 마찬가지 라고 생각해요.

  • 4. 000
    '15.11.18 2:51 PM (180.67.xxx.81)

    취학전 아이들에겐
    작은 승용완구 하나나 미끄럼틀 하나만 있어도 충분하다고 생각되는데요~. ^^
    이정도면 굳이 집이 클 필요는 없어요.
    너무 집에서만 아이를 키우려해서 집에 큰 장난감들이 많아지는 것이 더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 5. ..
    '15.11.18 3:05 P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어떤 여자는 아이 어릴수록 집이 작아야 돌보기가 수월하다고 하더군요.
    요즘 유모차를 비롯해 아이 장난감들이 워낙 대형화되어 그렇지 놀이터 가고, 작은 거 사주면 되겠죠.
    그리고 왜 시끄럽게 집에서 굴러다니는 장난감 차를 태우나요.
    그러니 맘충 소리 듣는 거예요.

  • 6. ....
    '15.11.18 3:08 PM (211.202.xxx.141) - 삭제된댓글

    저도 아는 사람 집에 갔다가 놀랐어요. 어린이집보다 시설(?)이 낫더라고요.
    방, 거실, 베란다가 아이 장난감으로 꽉 찼어요. 아이용 소형 피아노까지 있는 걸 보고...
    아이가 어린이집 종일반이라 집에 있는 시간이 적을 텐데 필요한 게 이렇게 많을까 싶더라고요.

    다른 친구는 장난감 조금 사고
    도서관 다니고 놀이터 다니고 공원 다니고 가끔 놀이방(?) 이런 데 데리고 가더라고요.
    대신 그 집은 엄마 책 아이 책으로 공간을 채워놨어요.

  • 7. ....
    '15.11.18 3:08 PM (211.202.xxx.141)

    아는 사람 집에 놀러 갔다가 놀랐어요. 어린이집보다 시설(?)이 낫더라고요.
    방, 거실, 베란다가 아이 장난감으로 꽉 찼어요. 아이용 소형 피아노까지 있는 걸 보고...
    아이가 어린이집 종일반이라 집에 있는 시간이 적을 텐데 필요한 게 이렇게 많을까 싶더라고요.

    다른 친구는 장난감 조금 사고
    도서관 다니고 놀이터 다니고 공원 다니고 가끔 놀이방(?) 이런 데 데리고 가더라고요.
    대신 그 집은 엄마 책 아이 책으로 공간을 채워놨어요.

  • 8. ...
    '15.11.18 3:20 PM (14.53.xxx.128)

    아이 어릴땐 쓸고 닦고를 자주 해야 해서 너무 큰 집은 힘들것 같아요.

  • 9. 역시...
    '15.11.18 3:27 PM (182.224.xxx.43)

    상상하는 바가 다 다르군요.
    크고 작고는 그냥 상대적 개념이라;;
    행복주택 신혼부부용 면적같은 곳에선 애기 키우기 힘들지 않냔 뜻이었다는.. 어른들이 하도 차차 니힘으로 넓히라 해서요ㅎㅎ
    아이가 차라리 중고딩이면 오히려 가능하겠지만 호기심 많은 아기 있는 집은..
    ㅋㅋㅋㅋ 아 댓글들 보니 넘 웃기네여.. 미끄럼틀 승용완구에 맘충까짘ㅋㅋ
    살기 힘드네요.. 부자는 대체 언제~

  • 10. 장난감
    '15.11.18 3:46 PM (211.117.xxx.179)

    승용완구하니까 생각나는데 20평대 아파트에 승용완구 있는 집이 두집이 있었는데 애들이 하나같이 공부에 관심없고 엄마 교육관 또한 애들이 공부 못해도 상관없다는 주의
    집 거실을 책으로 도배한 집 또한 엄마가 학창시절에 독서하고는 멀었다는 것.
    오히려 애들이 똘똘하다 싶은 집은 장난감도 많지않고 책도 많지 않더라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지만 주위를 보면 그렇다는...

  • 11. 000
    '15.11.18 3:51 PM (180.67.xxx.81)

    아! 제가 맘충 소리를 들은 것이군요. ㅋㅋ
    글은 저렇게 적었지만 아이들 어렸을 적에 집에 승용완구 놓은 적 없습니다.
    미끄럼틀 하나 있었던 것도 1층 집에 살았을 때였어요.
    층이 높아지고 나선 그나마 있던 미끄럼틀도 처분했습니다.
    오늘 '맘충' 이란 말을 처음 접해봤습니다.

  • 12. 허럴럴
    '15.11.18 3:57 PM (211.117.xxx.179)

    참 승용완구는 작은 붕붕카 아니구 모터달린 커다란 차 말하는거예요. 좁은집에 그거 탈래면 차타구 공원 나가야 되구 승용차엔 실리지도 않는다구 못타는데 수십만원주고 그건 왜 사는지 이해불가.

  • 13. 000
    '15.11.18 4:03 PM (180.67.xxx.81)

    아~ 그렇군요.
    저는 승용완구라 써놓고 '붕붕카'를 생각했습니다. ^^

    저도 장난감 승용차는 왜 사주는지 이해 못 한답니다.
    부모 욕심 채우려고 사는 것 같다는...

  • 14. ㅇㅇ
    '15.11.18 4:09 PM (121.167.xxx.170)

    애 초등부터 고등까지가 좀 넓은집이 필요하다 하더라구요
    어릴땐 활동반경이 넓으니 좁은집보단 넓은게 좋고
    중고딩땐 애들 몸이 한참 쑥쑥 자라니 좁으면 답답해 한데요
    정작 대학가면 집에 있는 시간이 거의 없어 넓은집이 썰렁해진다고 하더라구여
    전 애들이 초딩 중딩인데 좁은집보단 넓은집이 좋긴해요

  • 15. ㅂㅅㅈ
    '15.11.18 5:07 PM (183.98.xxx.210)

    아파트 32평에서 애둘키우다 중고때 50평대로 이사후
    둘만 남았는데도 도저히 못좁히겠어요
    아들집 32평 가보면 답답해서
    다른거 아껴쓰고 집은 그대로 유지하슨쪽으로

  • 16. ㅇㅇ
    '15.11.18 5:48 PM (165.225.xxx.71)

    윗님처럼 저희도 두 식구뿐이지만 넓은 집이 더 좋아요..
    나이 들어도 넓직 넓직 여유있게 살고 싶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2955 사무실 다시 나가야 되는데 말이죠 ... 13:52:22 63
1742954 정토회 금강경 필사 모임 모집중이네요 . . 13:52:11 57
1742953 무관사주에 관이 들어오면..... 어떠셨나요...? 무관사주 13:51:43 40
1742952 문대통령만 감옥 안감 참나 13:51:21 131
1742951 축처지는 머리 숏컷 1 . . 13:48:59 81
1742950 스카이 어문계열 vs 서성한 경영계열 11 123123.. 13:44:07 275
1742949 한종목을 20억정도 있으면 대주주 맞죠 9 ㅇㅇ 13:39:13 491
1742948 빵 터지는 조국혁신당 논평(넘 속시원) ㅎ 3 방송사고 13:36:45 689
1742947 사는게 덧없고 공허하게 느껴져요. 5 ㅇㅇ 13:35:40 594
1742946 전시회 수~토 중 언제가 피크일까요 3 www 13:32:26 176
1742945 아버지 돌아가셨는데 눈치없는 직원 10 Ooooo 13:31:32 1,029
1742944 尹부부 우크라 방문은 불법 입국 경찰 고발 7 조국혁신당 13:29:57 809
1742943 원룸,오피스텔 사는분들 화장실에 창문이없던데 5 창문 13:26:39 461
1742942 82 여행 글 특징(베스트에 발리 글 보고) 17 여행 13:22:13 815
1742941 나스닥은 왜이렇게 떨어져요? 3 .. 13:19:17 685
1742940 전통시장 농축산물 (거의) 반값!!행사해요 2 ㅇㅇ 13:16:15 700
1742939 너무 속상해서 울었어요. 33 ... 13:13:32 2,966
1742938 해외 며칠 가는데 여행자보험 필수일까요? 12 .. 13:13:21 663
1742937 자취방 빨래 건조 어떻게 하나요 13 빨래 13:12:29 565
1742936 카카오톡 앱이 없어졌어요 4 ... 13:10:54 569
1742935 중국에서 유행중인 성형 4 복제성형 13:09:03 1,207
1742934 미국 관세로 소비자 물가 올라 난리네요 17 .. 13:08:23 1,428
1742933 치실의 가장 큰 단점은.. 12 ... 13:04:45 2,184
1742932 온라인 글쓰기_합평회 모임 있나요? 1 12:59:26 159
1742931 요즘 과일 뭐 드시나요? 11 여름 12:58:22 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