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급해요 첫제사 문의드릴께요

.. 조회수 : 1,440
작성일 : 2015-10-15 23:46:55
작년 양력10월18일(음력9월25일)에 돌아가셨는데요
돌아가시기 전날을 기일로 하는건지 아님 당일 날을 기일로 하는 건가요 음력 양력은 상관없는지 궁금합니다
IP : 124.199.xxx.238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16 12:12 AM (110.70.xxx.209) - 삭제된댓글

    주로 음력으로 하구요 산 날 기준이라 돌아가신 전 날에 제사를 지내요.

  • 2. ..
    '15.10.16 12:59 AM (124.199.xxx.238)

    답변정말 감사합니다^^

  • 3. 제가 알기론
    '15.10.16 2:05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당일날이 제사날입니다.
    그런데 흔히 전날 지내게 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하르의 시작은 자시(밤 11시 ~ 오전 1시)입니다. 따라서 돌아가신 날의 시작이 되는 첫 자시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니 전날 저녁에 준비해서 밤 11시가 지나면 지냅니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심야에 제사 지내는 것이 어려우니 제사 지내는 시간이 자꾸자꾸 이른 시간으로 앞당겨지다보니 마치 전날 저녁에 지내는 것처럼 굳어지게 된 거지요.
    이런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 잘 만났다. 오늘이 네 제삿날인 줄 알아라~ "
    지금부터 싸워서 내일 죽이겠다는 말일까요?ㅋㅋ
    " 너 오늘 죽었어~ "
    이 정도 뜻으로 버면 돌아가신 당일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지요.
    제사는 보통 음력으로 합니다만 양력으로 하는 집도 있더군요.

  • 4. 제가 알기론
    '15.10.16 2:05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당일날이 제사날입니다.
    그런데 흔히 전날 지내게 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하루의 시작은 자시(밤 11시 ~ 오전 1시)입니다. 따라서 돌아가신 날의 시작이 되는 첫 자시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니 전날 저녁에 준비해서 밤 11시가 지나면 지냅니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심야에 제사 지내는 것이 어려우니 제사 지내는 시간이 자꾸자꾸 이른 시간으로 앞당겨지다보니 마치 전날 저녁에 지내는 것처럼 굳어지게 된 거지요.
    이런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 잘 만났다. 오늘이 네 제삿날인 줄 알아라~ \"
    지금부터 싸워서 내일 죽이겠다는 말일까요?ㅋㅋ
    \" 너 오늘 죽었어~ \"
    이 정도 뜻으로 버면 돌아가신 당일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지요.
    제사는 보통 음력으로 합니다만 양력으로 하는 집도 있더군요.

  • 5. 제가 알기론
    '15.10.16 2:06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그러게요 "

  • 6. 제가 알기론
    '15.10.16 2:07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그런데 따옴표를 눌렀는데 저렇게 돈이 쏟아지는 이유는 뭐죠?

  • 7. 제가 알기론
    '15.10.16 2:07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당일날이 제사날입니다.
    그런데 흔히 전날 지내게 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하루의 시작은 자시(밤 11시 ~ 오전 1시)입니다. 따라서 돌아가신 날의 시작이 되는 첫 자시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니 전날 저녁에 준비해서 밤 11시가 지나면 지냅니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심야에 제사 지내는 것이 어려우니 제사 지내는 시간이 자꾸자꾸 이른 시간으로 앞당겨지다보니 마치 전날 저녁에 지내는 것처럼 굳어지게 된 거지요.
    이런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 잘 만났다. 오늘이 네 제삿날인 줄 알아라~ \\\"
    지금부터 싸워서 내일 죽이겠다는 말일까요?ㅋㅋ
    \\\" 너 오늘 죽었어~ \\\"
    이 정도 뜻으로 보면 돌아가신 당일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지요.
    제사는 보통 음력으로 합니다만 양력으로 하는 집도 있더군요

  • 8. 제가 알기론
    '15.10.16 2:08 AM (221.141.xxx.124)

    돌아가신 당일날이 제사날입니다.
    그런데 흔히 전날 지내게 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하루의 시작은 자시(밤 11시 ~ 오전 1시)입니다. 따라서 돌아가신 날의 시작이 되는 첫 자시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니 전날 저녁에 준비해서 밤 11시가 지나면 지냅니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심야에 제사 지내는 것이 어려우니 제사 지내는 시간이 자꾸자꾸 이른 시간으로 앞당겨지다보니 마치 전날 저녁에 지내는 것처럼 굳어지게 된 거지요.
    이런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 잘 만났다. 오늘이 네 제삿날인 줄 알아라~"
    지금부터 싸워서 내일 죽이겠다는 말일까요?ㅋㅋ
    " 너 오늘 죽었어~"
    이 정도 뜻으로 보면 돌아가신 당일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지요.
    제사는 보통 음력으로 합니다만 양력으로 하는 집도 있더군요

  • 9. 제가 알기론
    '15.10.16 2:09 AM (221.141.xxx.124)

    " 음..."
    그런데 따옴표 쓰면 왜 저렇게 보이지요?

  • 10. ㅁㅁ
    '15.10.16 8:38 AM (112.149.xxx.88)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전날 밤에 지냅니다...

  • 11. ㅁㅁ
    '15.10.16 8:38 AM (112.149.xxx.88)

    음력으로 돌아가신 전날 밤에 지냅니다...

  • 12. .....
    '15.10.16 11:13 AM (222.108.xxx.174)

    제가 알기론 님 말씀에 한 표.
    음력으로 돌아가신 날이 기일이고..
    그러면 제사는 돌아가신 날이 시작되는 자정에 지내야 하니까
    돌아가신 전날 저녁에 제사 준비 다 해놓고 기다리다가 자정 밤12시 땡 하면 지내시는 거예요.
    그런데 현대인들.. 다음날 출근도 해야 되고 ㅠㅠ
    결국 전날 저녁에 지내고 저녁 먹고 자게 되죠 ㅠ

  • 13. 상관없이
    '15.10.16 11:46 AM (117.111.xxx.39)

    요즘은 꼭 음력으로 지내지 않는것 같습니다.

    저의 시아버님 기일은 양력으로 첫기일 지냈습니다.
    돌아가신 전날로 말입니다.

    2015년 3번째 기일이 돌아왔습니다.

    3번까진 양력으로 제 날짜에 드리기로 하구요
    2016년부터는 아버님 기일 날짜에 맞춰 주말에 기일 드리기로 했네요.

    형제분들이 서로 사업 및 직장을 다니다 보니 평일엔 힘들것 같다고 그렇게 하자고
    이번에 의견을 모았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0979 자궁 근종, 선근종때문에 고생하시는 분들 있으신가요..? 4 자궁 2015/11/14 3,258
500978 이거 병명이 뭔가요? 증세 2015/11/14 764
500977 샤넬 핑크메베 정품은 입구에 은박종이가 붙어 있나요 4 ㅇㅇ 2015/11/14 1,237
500976 유시민의 토론 실력 10 타임리 2015/11/14 3,515
500975 한국식품 구하기 힘든 나라 사시는 분들, 어떻게 사세요? 11 11 2015/11/14 1,832
500974 여의사는요? 여교사말고.. 49 그럼 2015/11/14 6,476
500973 언니네 라디오 들으시는분 어때요? 2 ㄴㄴ 2015/11/14 1,112
500972 부천서 대전 만년동 가는데 가까운 대전터미널이 어디일까요? 4 대전터미널 2015/11/14 669
500971 친박, '일본 자민당식 장기집권' 꿈꾸나 2 그네아베 2015/11/14 695
500970 '도쿄재판 검증' 아베에게 박근혜 대통령은 뭐라 할 텐가 샬랄라 2015/11/14 667
500969 서울 호텔여행가보고 싶은데 유아2에 부부묶을 호텔 좀 추천해주.. 4 2015/11/14 1,101
500968 군산맛집 추천 부탁해요 군산갑니다 2015/11/14 1,052
500967 사춘기 증세중 잠많이 자는것도 있나요..? 13 2015/11/14 9,870
500966 혜화동, 친구, 파파이스 5 단풍 2015/11/14 1,657
500965 아이폰6플러스랑 s고민되네요 6 Oo 2015/11/14 1,708
500964 강주은씨가 미인인가요? 35 희니 2015/11/14 9,690
500963 미국이나 유럽애들은 커피 어떻게 먹었나요? 5 100년전 .. 2015/11/14 1,594
500962 규수 여행 4 ..... 2015/11/14 1,441
500961 82 안목이 대단하네요 3 2015/11/14 3,148
500960 의외로 주변분들 식욕억제제 많이들 드시나봐요. 7 ㅇㅇ 2015/11/14 4,213
500959 시리아 난민들..걱정이네요 6 추워요마음이.. 2015/11/14 2,215
500958 교사 7년에 그만두고 싶다는 글 보구요 21 ... 2015/11/14 8,592
500957 드릴없이 봉커텐 달 수 있나요? 2 춥다 2015/11/14 2,318
500956 국정화찬성 서명도 차떼기로 조작??? ㅋㅋ 3 양아치보다더.. 2015/11/14 700
500955 무청 시래기 꼭 말려야 하나요 2 .. 2015/11/14 1,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