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갈비찜을 처음했는데 기름이 넘 많아요

배숙 조회수 : 2,246
작성일 : 2015-09-25 13:56:45

갈비찜 처음 해봤는데

양념도 잘된거같은데 선물받은 고기에 기름이 넘 많네요 ㅠ.ㅠ

이럴땐 어떻게 하나요??

오래끓이면 기름이 좀 녹나요???

IP : 112.150.xxx.6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9.25 2:02 PM (121.165.xxx.34) - 삭제된댓글

    물 넣고 끓여서 차가운 곳에 두었다 기름이 굳으면 걷어내고 그다음 양념 넣고 다시 찜을 해요
    지금 상태에서라면 차가운 곳에 두었다가 기름을 걷어내세요

  • 2. 갈비찜?
    '15.9.25 2:05 PM (207.244.xxx.102)

    최악의 경우엔 기름 여러번 걷어내야 해요.
    냉장고에 넣고 다음날 딱딱히 굳은 하얀 기름층 걷어내시고~를 여러번 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요.
    대체적으로 한번이면 됩니다만.
    그 기름 그냥 드시면 안 돼요.
    그래서 갈비찜은 식탁에 내놓으려면 시간이 좀 걸려요.
    갈비 처음에 피 빼야지.
    피 빼면서 1시간마다 물 갈아줘야지.
    피 빠지면 살짝 데쳐야지.
    데친 후 씻으면서 기름덩이 떼어내고 칼집넣고.
    양념에 재서 숙성시켜야지. (최소 3~4시간)
    1,2시간 끓여야지.
    끓인 후 식혀야지.
    식혀서 냉장고 넣고 하룻밤 지나 기름 굳으면 떼어내야지.

  • 3. ll
    '15.9.25 2:05 PM (59.9.xxx.132) - 삭제된댓글

    고기 씻기전에 비계 제거 좀 하셨으면 좋았겠지만,
    지금이라도 가위로 큰 비계는 제거하시고,
    1. 국물이 고기 위로 작작하면, 냉동실에 넣어서 굳는대로 기름 떠내기
    2. 국물이 쫄아 고기랑 엉켜있으면, 고기는 뜨거운 물에 헹궈 따로 건져두고, 국물에도 뜨거운 물 좀 부어서 기름 뜨게한 후 냉동실에 넣었다가 굳으면 기름제거
    3. 국물을 면보나 기름종이에 걸러도 된답니다.
    4. 얼음을 넣어서 휘휘 저어 기름을 굳혀도 된답니다.

  • 4. ll
    '15.9.25 2:08 PM (59.9.xxx.132)

    고기 씻기전에 비계 제거 좀 하셨으면 좋았겠지만,
    그리고 저는 국물이 작작하고 아직 쫄아들지않아서 기름이 고기나 뼈위로 충분히 떠있을 때, 미리 냉장고에 하룻밤 재우고나서, 다음날 굳은 기름 떠낸 후 졸여요. 일이 많은 것 같지만, 이게 제일 깔끔하더라구요.

    지금이라도 가위로 큰 비계는 제거하시고,
    1. 국물이 고기 위로 작작하면, 냉동실에 넣어서 굳는대로 기름 떠내기
    2. 국물이 쫄아 고기랑 엉켜있으면, 고기는 뜨거운 물에 헹궈 따로 건져두고, 국물에도 뜨거운 물 좀 부어서 기름 뜨게한 후 냉동실에 넣었다가 굳으면 기름제거
    3. 국물을 면보나 기름종이에 걸러도 된답니다.
    4. 얼음을 넣어서 휘휘 저어 기름을 굳혀도 된답니다.

  • 5. ㅇㅇㅇ
    '15.9.25 2:08 PM (175.223.xxx.67)

    백종원 집밥에서 갈비찜할때 말로만 기름거둬내는 거 알려주고 실제론 그자리에서 직접한갈비찜 기름 거두는 과정없이 시식하던엄청 이상했어요기름천질텐데 다들 맛있다고
    난리

  • 6. ...
    '15.9.25 3:00 PM (61.79.xxx.13)

    갈비찜님 방법이 정석^^
    그리고 굳은 기름 주방 배수구에 절대 버리면 안돼요.
    봉지에 담아 따로 버려야 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7681 수능날 고3 직장맘들 출근하실꺼에요? 7 고3맘 2015/11/03 1,941
497680 가슴 크면 죄라는 시어머니 44 허참 2015/11/03 17,400
497679 친엄마한테 참 기분이 나쁘네요.. 1 rei 2015/11/03 2,038
497678 집 내놨을 때, 좋은 인상 주는 팁 9 34 2015/11/03 4,157
497677 초등학교 6학년이면 브랜드에 민감한가요? 초딩 2015/11/03 1,210
497676 집 나가게 하는버? 2 2015/11/03 2,070
497675 "박근혜 정부, 파멸로 가는 고속도로 탔다" 10 샬랄라 2015/11/03 2,515
497674 유니클로 선글라스 다 철수했나요? 2 선글라스 2015/11/03 2,257
497673 이 것 이후로 아침에 잘 일어나요 이런 게 있으신가요? 3 에공 2015/11/03 1,350
497672 연예인들은 자기SNS댓글들 읽어볼까요? 1 궁금 2015/11/03 755
497671 강용석이 잤거나 말거나, 그게 뭔 알 권린가 7 관심없어 2015/11/03 2,055
497670 회사 직원의 태도가 좀 이해가 안가요. 2 ㅇㅇ 2015/11/03 1,524
497669 올해만 김장김치 사먹어보려구요.. 정말 맛있게 하는곳 알려주세요.. 3 .. 2015/11/03 2,214
497668 필리핀 2개월 어학연수 효과있을까요.? 8 저도 고민입.. 2015/11/03 4,505
497667 남편은 도대체 무슨 생각일까요? 2 남의편 2015/11/03 1,236
497666 공기청정기 암웨이 어때요? 객관적으로 알고싶어요 8 공기청정기 2015/11/03 3,795
497665 중 2 영어학원. 단과? 어학원? 어디가 좋을까요 .... 2015/11/03 685
497664 so modern님 아세요? 9 .. 2015/11/03 5,036
497663 갑질손님 거부한 대표 ˝직원 무릎 꿇려? 미국선 잡혀가˝ 1 세우실 2015/11/03 1,660
497662 고3이 감기가 심한데 어덯게 할가요? 7 그러게 2015/11/03 1,391
497661 내일 경주가는데 옷차림 어떻게해야할까요? 4 여행 2015/11/03 1,305
497660 국정화에 성난 '무당층', 야당 지지로 7 샬랄라 2015/11/03 1,459
497659 낯짝 참 두꺼운듯;; 4 ..... 2015/11/03 1,840
497658 온수매트 있으면 잘 못일어나지 않을까요? ㅋ 5 추워 ㅠㅠ 2015/11/03 1,940
497657 공산주의 사회주의 차이가 있나요? 5 ㅇㅇ 2015/11/03 1,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