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요즘 아파트 분양가를 보며 느낀점입니다.

00 조회수 : 2,886
작성일 : 2015-09-25 13:16:30

전세로 거주중이라 내집마련 때문에 작년부터 계속 부동산에 관심 갖고 있습니다.

늘 새아파트를 분양한다고 하면… 수도권 외곽을 제외하고 서울 같은 경우는.. 어디든 다 비싸다고 하는 것 같아요..

 

건설사에서 밀어내기식 분양인 것 같기도 해서 입지를 잘 골라서 청약을 해야 하는데,

서울 같은 경우는 유입인구가 많으면 많았지 적어지지는 않을 것 같아서 적어도 크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네요.

 

강남도 이제 평당 4000만원이고, 강북도 30평대 신규 아파트는 7억~8억이 대부분이구요.. 사실 부모님 도움 없이 30대 부부가 집을 구하기는 너무 비싼 금액이죠..

그래도 부모도움 받아..아니면 수익 좋은 부부들이 대출 조금씩 받아서 요즘 전세가가 너무 높으니 다들 집을 마련하는 케이스도 많은 것 같아요.

 

대출 규제가 시행이 되도 서울, 그리고 인기있는 지역은 크게 변동이 없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 봅니다.

 

IP : 193.18.xxx.16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9.25 1:22 PM (175.211.xxx.245) - 삭제된댓글

    회사 순환근무땜에 분당이랑 일산 집값을 직접 돌아본적이 있었는데... 수도권이 싸긴 뭐가 싸나요?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쌀뿐이지 20년 넘은 역세권 아파트들 28-32평이 5억이 넘는데 부모도움없이 왠만한 사람들이 몇이나 살까요? 새아파트도 아니고 제눈에는 되게 허름해보였어요. 저야 공기업이라 지사가 여럿이지만 대기업다니는분들은 회사가 광화문이라치면 분당이나 일산살아도 출퇴근 왕복 1시간반은 잡아야하는 거리인데 오래된 아파트를 그가격주고 사야하다니...

  • 2. .....
    '15.9.25 1:31 PM (175.211.xxx.245)

    회사 순환근무땜에 분당이랑 일산 집값을 직접 돌아본적이 있었는데... 수도권이 싸긴 뭐가 싸나요?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쌀뿐이지 20년 넘은 역세권 아파트들 28-32평이 5억이 넘는데 부모도움없이 왠만한 사람들이 몇이나 살까요? 새아파트도 아니고 제눈에는 되게 허름해보였어요. 저야 공기업이라 지사가 여럿이지만 대기업다니는분들은 회사가 광화문이라치면 분당이나 일산살아도 출퇴근 왕복 1시간반은 잡아야하는 거리인데 오래된 아파트를 그가격주고 사야하다니... 강북 나름이겠지만 강북 대부분 역세권 동네보단 분당, 일산 역세권이 확실히 비쌌고 역세권이 아닐땐 비슷하거나 수도권이 더 쌌어요.

  • 3. 그 옛날에도
    '15.9.25 2:24 PM (210.183.xxx.149) - 삭제된댓글

    그 옛날에도, 돈 싸들고 집 산 사람 드물어요.
    늘상 분양가는 고공행진이고요...절대로 떨어지지 않아요.
    그나마, 조금 변두리...조금 싼 곳을 대출 만땅 받아서 집 장만하는 거지요.
    그 후에는, 오늘날 부모님이 그리 했듯이...허리 졸라매고....안먹고 안쓰고...
    20-30년 되면 대출금 다 갚는 겁니다.
    누구는 그렇게 해서 간신히 집장만해서 그럭저럭 살고,
    누구는 운대 터져서 집값이 대박 나고 그러는 거지요.
    강남의 유명한 아파트들, 분양가 비싸서 미분양 나고, 안 팔리고...그런 시절도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6943 “방송 모르지만, 정권엔 ‘너무 예쁜 이사장’” 샬랄라 2015/09/27 1,283
486942 이혼하구 혼자 명절지내니 외롭긴하네요 32 명절 2015/09/27 20,475
486941 친정 가기 싫어요 7 xxxxx 2015/09/27 4,010
486940 저는 추성훈이 왜이리 재밌는지모르겠어요ㅋㅋㅋㅋ 7 2015/09/27 4,824
486939 결국엔 사랑했고..종국엔 행복했다 2 노희경 2015/09/27 2,342
486938 악플의 기억들과 기분 나쁜 감정 48 음.. 2015/09/27 2,675
486937 명절 다음날엔 어떤 음식이 당기세요? 14 .. 2015/09/27 4,761
486936 방광결석 자가치료 4 2015/09/27 1,667
486935 3분카레 3분짜장이 집에 많은데 ..처치요리법 있을까요 ? 5 코니 2015/09/27 1,683
486934 수년전 일이지만 명절비 받은건 기억이 남아요 5 .. 2015/09/27 1,711
486933 슈퍼문에 뭐 비실꺼에요? 1 달달달 2015/09/27 2,047
486932 멜로디언 같은 건데 입으로 불지않고 건전지로.. 2 기억 상실증.. 2015/09/27 831
486931 송도 센트럴파크 맛집 3 ㅇㅇ 2015/09/27 2,303
486930 시모의 폭언이 가슴에 맺혀있어요 17 옛날의 2015/09/27 13,841
486929 한인교회 안나가시는 외국사시는 분들, 추석 어떻게 보내세요 49 ........ 2015/09/27 2,733
486928 추석 오후 영화 인턴으로 힐링했어요 7 와우 2015/09/27 3,778
486927 멜로디언 같은 건데 입으로 불지않고 건전지로.. 1 기억 상실증.. 2015/09/27 803
486926 일산에서 성산대교까지 1 000 2015/09/27 1,124
486925 지긋지긋한 명절 악순환~~ 12 에휴 2015/09/27 5,201
486924 친정 갈 곳 없는 분들은 어떡하셔요? 48 명절 2015/09/27 11,661
486923 복면가왕 같이 봐요^^ 46 댓글달며 2015/09/27 4,977
486922 명절상은 원래 남자가 차리는 거다 6 ㅁㅁㅁㅁ 2015/09/27 1,684
486921 앎보다 실천이 중요하다 1 샬랄라 2015/09/27 832
486920 고딩아이가 학교에서 한복을 입는다는데 49 한복 2015/09/27 1,449
486919 오늘 반포대교쪽에 무슨 행사 있나요? 2015/09/27 1,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