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오늘의 구글 두들 이야기

세우실 조회수 : 981
작성일 : 2015-08-10 19:34:55

 

 

 

 

특별한 날이나 이벤트를 기념하여 일시적으로 특별한 디자인으로 살짝 바뀐 구글 메인 로고를 "구글 두들"이라고 합니다.

2015년 8월 10일, 오늘의 구글 두들은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4f05ca981248e3e54f1728b67c9b&nam...

이런 모습이었는데요. 마우스를 올려보면 "이태영 탄생 101주년"이라고 나오죠.

 

 

바로 이 "이태영"이라는 분이 대단한 분이셨어요. 그래서 "좋은 건 나누자"는 생각으로 한 번 올려봅니다.

 

 


이태영(李兌榮, 1914년 8월 10일~ 1998년 12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사회운동가이다. 한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이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를 세우고 여성에 대한 불평등과 가정폭력 상담 해결, 유교적 인습에 저항하였다.

1932년 이화여전 가사과에 입학하여 4년 후 수석으로 졸업했다. 1946년 33세에 서울대 법대에 입학하여 1950년 2월에 졸업하였다. 1952년 제2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였으나 당시 이승만대통령의 반대로 판사에 임용되지 못하고 변호사로 개업했다.

 


[호주제 폐지 운동]
1952년부터 그는 호주제도가 국민 개개인의 평등권에 위배된다는 점과 수직적이고 위계적인 관계를 조장한다는 점을 지적하여 매번 위헌 심판과 헌법 소원을 청구하였다. 또한 호주제도가 호주가 사망하면 장남으로 상속되어, 어머니나 누나 등의 가족도 장남보다 위계서열이 낮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 제기하였다. 그의 호주제도에 대한 위헌심판이나 헌법소원은 초기에는 법원에 채택조차 되지 않았다. 그러나 계속적으로 청구한 결과 법원에서 그의 호주제 위헌 심판 청구와 호주제에 대한 헌법소원을 받아들이기는 했지만 번번히 기각시켰다. 그는 호주제는 호주승계 순위를 장남→기타 아들→미혼의 딸→처→어머니→며느리 순으로 정해 놓아 아들 선호를 조장하였고 가족 서열을 문란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아들을 1순위로 하는 호주승계제도는 아들이 딸보다 더 중요하다는 관념과 아들이 어머니나 누나보다도 상위 개념에 놓이는 악습이라고 지적했다.

 

[여성, 가족문제 상담 활동]
1962년 가정법원 설치 운동을 시작, 그 해 정부에 가정법원 설치를 제안하였으며 1년만인 1963년 가정법원을 기존의 법원에서 독립적으로 설치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1963년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교수가 되어 1971년까지 근무하였으며 법학 외에 여성 참정권 등의 과목도 개설하여 가르쳤다. 1963년 서울가정법원 조정위원의 한 사람으로 위촉되어 1977년까지 역임하였으며, 이후 이화여대 법정대 교수 겸 법대 학장이 되어 1971년까지 재직했다.

1966년 8월 여성법률상담소를 사단법인으로 등록하면서 가정법률상담소로 이름을 바꾸고, 여자 외에도 가정폭력에 희생되는 남자 피해자들도 구제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가족법 관련 상담과 이혼 관련 상담, 가정폭력 피해자 구제 등 남녀 모두의 권익을 위한 인권운동을 하였다. 1976년에는 한국가정법률상담소로 다시 이름을 바꿔 공익법인이 되었다. 그가 평생의 과제로 생각한 것은 ‘여권운동은 인권운동과 맥락을 같이한다’는 신념하에 이루어야 할 여성권익 향상을 위한 여성운동이었다. 그의 운동은 호주제 폐지, 이혼 때 재산분할청구권과 부모친권, 동성동본불혼제 등의 '가족법 개정'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그의 오랜 노력은 1989년 가족법 개정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운동에도 참여하여 이우정, 공덕귀 등과 함께 여성 인권 운동, 여성 노동자 구제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그밖에 범여성가족법개정촉진회 회원, 세계여자변호사회 회원으로도 위촉되었고, 범여성가족법개정촉진회 부회장에 선출되기도 했다. 가족법 개정 운동과 여성 운동 외에도 이승만, 박정희 독재 정권에 저항하다가 구속된 사람들의 무료 변호와 무료 변론을 서주기도 했다.

 

그 밖의 자세한 내용은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D%83%9C%EC%98%81

 

 

 

이승만이 반대했던 이유가 "여성 판사는 시기상조"라는 이유 때문이었다고 하데요. ㅉㅉㅉ

이승만에게 까이면서도 여러 번 이태영을 밀었던 김병로로부터도 "버르장머리 없다" 또는

"1,500만 다른 여성들이 다 불만없이 지내는데 네가 왜 평지풍파를 일으키느냐"라는,

폭언에 가까운 호통을 들었던 게 바로 저 가족법 개정 및 호주제 폐지 운동때문이었다고 하죠.

저 시기에 호주제 폐지 운동이라니... 정말 깨어있었다고 밖에는... ㅠㅠ)b

찾아보니 아들복 손자복은 없는 분이셨던 것 같지만... 이 분을 로고로 한 구글도 좋은 결정이었던 것 같군요.

 

 

 

 

―――――――――――――――――――――――――――――――――――――――――――――――――――――――――――――――――――――――――――――――――――――

가슴이 시키는 일은 하고 살자.
그러나 책임은 스스로의 것임을 기억하자.

              - 세스 골드먼 -

―――――――――――――――――――――――――――――――――――――――――――――――――――――――――――――――――――――――――――――――――――――

IP : 202.76.xxx.5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닉네임
    '15.8.10 9:16 PM (211.36.xxx.20)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오늘 안그래도 구글두들 보면서 이분은 누구시지 했는데 좀 부끄럽네요 좋은 글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4663 “검찰 이대로 둘 수 없다고 해체하다니, 국가폭망법 될 것” 2 ㅇㅇ 22:09:59 102
1744662 목쪽 이물감 증상 22:07:46 63
1744661 80세 무릎수술 했는데 경과가 얼마나 좋을까요? 2 이상해 22:07:02 80
1744660 저 지금부터 잘 때까지 아무것도 안먹게 기도해주세요... 7 ... 22:02:51 244
1744659 의사나 변호사가 부러운게... 1 ... 22:01:18 307
1744658 광주 초등학교 ‘리박스쿨’ 교재 보유 논란 3 21:58:44 212
1744657 요즘 퇴근후에 라디오 틀어놔요 ㅎㅎ 1 21:55:31 389
1744656 아기고양이 집사가 됐어요 1 집사 21:53:10 262
1744655 강미정 대변인 ㅡ 야매청문회 추천해요 1 이동형TV 21:50:06 296
1744654 부부의 의미 3 ** 21:49:04 593
1744653 귀촌이나 소도시 정착하고 싶은 50대 싱글녀 챗방 만들어볼까요?.. 2 ㅇㅇ 21:46:40 496
1744652 주식송이라는데요 역주행 떡상이라는 유노윤호 노래 ㅋㅋㅋ 21:46:08 341
1744651 동남아골프여행에 발작버튼 6 골프 21:46:05 493
1744650 다사끼 반지 면세점에 있나요? 1 ........ 21:44:53 149
1744649 인도 AI 기업 뉴스 보셨나요? ㅋㅋㅋ 4 ㅇㅇ 21:36:41 1,360
1744648 인천 검암 개발지구에서 구석기 유물 7252점 발굴 5 ........ 21:23:14 1,092
1744647 요즘 초복 중복 말복 챙겨서 삼계탕 드시나요? 6 21:22:03 644
1744646 “장난해?” 하루 13시간 벼락치기 수업…복귀 의대생 부실수업 .. 6 .. 21:20:28 1,746
1744645 20대 딸아이, 올리브영에서 10여만원 구입한게 21 ㄱㄱ 21:18:32 3,225
1744644 주말에 한 일, 비우기 1 0-0 21:15:17 637
1744643 빛과소금-그대 떠난뒤 5 뮤직 21:12:09 563
1744642 장염처럼 배가 아픈데 설사는 안 해요 이것도 장염이죠? 2 000 21:03:47 613
1744641 지볶행 인도 갔던데 1 21:03:37 979
1744640 90년대에 일남과의 결혼이 문제시 됐는데 왜 이걸 2025년 일.. 15 ???? 21:03:06 840
1744639 더우니까 무서운 얘기 2 .. 21:00:32 1,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