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후딱요리, 맛은 최고..

그냥 조회수 : 4,188
작성일 : 2015-08-05 21:49:40

예전에 친구 집에 가면,

그 집 엄마 요리를 해주시는데,

떡만두국이 맛이 예술이요.

부침개도 그렇고,

김치도 맛이 예술이요.

사각하면서도 딱 맞게 익고 맛도 정말 쓰러지게 맛있어요.

해주시는 것마다 맛있는데요.

놀라운 것은 모든 요리에 걸리는 시간이 불과 20~30분이에요.

그냥 앉아서 조금 있으면 요리가 후딱..

니들은 좋겠다. 이렇게 맛있는 음식 날마다 먹어서..

저는 얼굴 이쁜 아내보다 음식 잘 하는 아내가 더 큰 복이라는 말이 뭔말인지 알겠어요.

애들은 정작 익숙해서 좋은 지 모르더라구요.

그런데, 밖에 가면 식당 음식이 맛이 없다고 해요.

맛이 없다기 보다 엄마 음식이 너무 맛있는 거죠.

후딱 요리 하는데, 다들 너무 맛있다고 하는 분 계시죠?

비법 좀 풀어주세요.

설거지꺼리만 잔뜩..맛도 겨우 따라잡는데..

좀 더 쉽게 요리하고 싶어요.

IP : 118.216.xxx.117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8.5 9:51 PM (59.16.xxx.114)

    장금이 손은 타고나는 것 같더군요 ㅜㅜ

  • 2. 후딱 대충 만들어도
    '15.8.5 10:00 PM (182.209.xxx.9)

    조미료 살짝 넣거나 맛소금 사용하면 맛있어요.
    예전(?) 어머니들 미원, 맛소금 많이들 사용하시죠.
    경험상...

  • 3. ..
    '15.8.5 10:11 PM (59.15.xxx.181)

    조미료도 조미료지만
    손맛이 있긴 있어요

    비율을 조절할때 우리는 티스푼 몇개 몇컵 이렇게 재지만
    감각이 있는 사람들은
    이정도면 휘리릭
    그정도면 휘리릭휘리릭

    어디가서 뭘 먹어도
    집에가면 대충 맛을 내지요.

    이건 타고난 감각도 있어야 하고
    음식에 대한 미각도 있어야 하는것 같아요
    뭐하나 빠진것 같다 해도
    바로 찾아서 채우더라구요.

    조미료가 다는 아닌것 같아요

  • 4. ...
    '15.8.5 10:50 PM (210.99.xxx.214)

    볶음김치도 같은 들기름에 볶아도 왜 맛이 다른지ㅠㅠ
    어머님 하실때 보는데 별다른거 없더만 왜 내 음식은 맛이 안날까요
    심지어 조미료도 안쓰시는데ㅠㅠ
    잘하시는 분들 정말 부러워요

  • 5. wii
    '15.8.5 10:57 PM (175.194.xxx.101) - 삭제된댓글

    조미료 맛소금 이야기 하시는 분들 예전 어머니들 중에 그거 안 쓰시는 분들 없었는데, 모든 분들이 다 음식 잘하진 않으셨죠.

  • 6. ㅊㅋ
    '15.8.6 12:02 AM (74.105.xxx.117)

    조미료도 조미료지만
    손맛이 있긴 있어요

    비율을 조절할때 우리는 티스푼 몇개 몇컵 이렇게 재지만
    감각이 있는 사람들은
    이정도면 휘리릭
    그정도면 휘리릭휘리릭

    어디가서 뭘 먹어도
    집에가면 대충 맛을 내지요.

    이건 타고난 감각도 있어야 하고
    음식에 대한 미각도 있어야 하는것 같아요
    뭐하나 빠진것 같다 해도
    바로 찾아서 채우더라구요.

    조미료가 다는 아닌것 같아요 222222222222222222

  • 7. ....
    '15.8.6 12:45 AM (112.155.xxx.72)

    제가 아는 어떤 분은 굉장히 열심히 요리를 하시는데 음식을 먹어보면 뭐랄까 맛이 없어 못 먹을 정도는 아니지만 더 맛있을 수 있을텐데 그런 분위기였고 또 한 분은 대충하는데도 (조미료 당근 안쓰고) 먹어보면 간이 딱딱 맞고 별거 아닌데도 맛 있었어요 그 집애들도 외식을 별로 안 좋아하더라구요. 엄마가 간을 딱 맞게 요리를 하니까.
    손맛이 있기는 한 것 같애요.

  • 8. 엄마
    '15.8.6 2:11 AM (220.95.xxx.102)

    장조림 마저도 식은건 안먹어주니
    국은 담날 데펴는 못먹고
    집에 멸치 새우가루 마늘 얼린거
    야채 다진거 두고
    휘리릭 만들죠.
    저흰 외식싫어하고 식은건 아무도 안먹으니 할수없네요

  • 9. ...
    '15.8.6 4:50 AM (175.195.xxx.27)

    좋은재료. 딱맞는 간 이거가 비법이예요..
    좋은재료 고르는 눈을 키우는게 요리 비법 첫걸음이구요..
    그럴래면 돈이 좀들겠죠..
    간맞추는거야 타고나야 할테고요..
    손맛도 타고나는듯..
    타고나는거 못바꾸시면 재료에서 승부보시는 편이..

  • 10. 주부는 괴롭다..
    '15.8.6 7:15 AM (218.234.xxx.133)

    저희 엄마가 요리를 잘하셨거든요. 미원 같은 거 안써도 맛있어요, 진짜.
    그러니 아버지가 술 드시고 밤 늦게 (자정 넘어) 들어와도 집 밥을 꼭 먹어야 하는 버릇이 있었어요.
    엄마는 아버지 들어올 때까지 못 자고 있는 것도 힘든데 만취하셔도 꼭 찌개에 밥 내놓으라고 하시는..
    (당시 주택 살았고 번호키 같은 거 없었음. 집 안에서 문 열어줘야 들어올 수 있음)

  • 11. 간과
    '15.8.6 9:45 AM (223.62.xxx.28)

    좋은 재료 중요하구요

    거기다가 재료를 다듬고 써는 기술 (얇아야 되는건 얇게,볶음 요리는 대부분의 재료의 크기가 비슷하도록)
    --단무지만 해도 두껍게 써는것과 얇고 균일하게 써는게 맛이 달라요

    볶음이나 끓이는 요리를 할때 재료를 넣는 타이밍과 불조절
    적당히 주걱질? 하기
    - 어떤 재료는 팬을 최대한으로 달궈서 넣어야 맛있고
    향을 내서 서서히 볶아야 하는건 기름과 동시에 같이 넣어야되죠
    그리고 숨이 죽으면 안되는 야채는마지막에
    특히 대부분의 푸른잎 채소는
    넣고 많이 저으면 다 뭉개져서 맛이 없어지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5290 할아버지가 똥치우라는데 화나면 안되나요 23 참나 2015/08/23 3,597
475289 일산에 떡볶이나 순대 잘하는 분식집 추천부탁드립니다 19 일산 2015/08/23 2,537
475288 결혼하신 분들께. 인연이 있는건가요? 8 무명씨 2015/08/23 5,382
475287 중3 영어학원에서 모의고사로 공부하는 중인데요 4 ㅠㅠ 2015/08/23 1,151
475286 복면 가왕 시작합니다~ 같이 맞추면서 봐요^^ 59 mbc 2015/08/23 4,080
475285 힘빠지는건 어쩔수가 없네요... 3 ..... 2015/08/23 1,971
475284 일을 처음 시작할때 누구나 그런가요? 2 텃세 2015/08/23 879
475283 집 부동산에 내놓은지 하루만에 매매되었어요 16 세입자 2015/08/23 9,734
475282 영화 색계 질문요.. 7 ㅇㅇ 2015/08/23 3,782
475281 병원내 커피숍하면 괜찮을까요? 21 병원 2015/08/23 6,170
475280 예전 70-80년대에 용산구 서빙고동에있던 고등학교 10 군인 2015/08/23 2,762
475279 초등 수학문제 하나만 봐주세요~~ 3 ^^ 2015/08/23 851
475278 아직도 티아라 팬이 있나요? 10 왜나오지 2015/08/23 2,407
475277 재테크 관련 도서 좀 추천해주세요 2 도전 2015/08/23 770
475276 금호동 자이2차 어떤가요? 3 고민 2015/08/23 2,837
475275 '종이배'라는 노래가 나왔어요 zzz 2015/08/23 597
475274 꼭 읽어주시고 저 좀 위로해주세요.. 14 7426 2015/08/23 2,511
475273 한강공원 반포에서 잠실쪽으로 가면 오르막/내리막길 없나요? 1 혹시 2015/08/23 652
475272 바지락이랑 모시조개랑 맛차이가 많이 나나요? 3 모시 2015/08/23 9,015
475271 인터넷비번 거는 방법 좀 여쭙습니다. 1 답답해서 2015/08/23 769
475270 대학을 다니다가 82cook.. 2015/08/23 653
475269 북한 잠수함 이탈률 6.25전쟁 후 최대라네요 5 속보 2015/08/23 2,895
475268 지나가다(122.37.xxx.8) 신고합니다 32 ㅏㅏㅏ 2015/08/23 2,911
475267 80년대 대중음악 분위기 잘 아시던 분들께 질문이요(서울패밀리).. 14 84 2015/08/23 1,563
475266 강용석 블로그에 좀전에도 글올렸네요.ㅎㅎ 19 연구대상 2015/08/23 19,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