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재산세 잘 아시는 분 좀 알려주세요

.. 조회수 : 2,029
작성일 : 2015-07-14 16:13:28
제가 오피스텔을 두개 보유하고 있는데요..
작년까지 내던 재산세보다 거의 두배 가까이 더 나왔어요...

이거 대체 왜 그런건가요?

혹시 근로소득나 증가하면 재산세도 더 많이 나오고 그러나요?

제가 내역을 좀 살펴봤는데 과세표준이란게 있던데..
이건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

역시 근로소득에 따라서 과세표준 구간이 올라가면 재산세가 더 많아지는 건가요?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IP : 223.62.xxx.4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세무쟁이
    '15.7.14 4:22 PM (210.99.xxx.18)

    거의 2배 가까이 나올리 없을텐데요.
    지방세법 제122조(세부담 상한) 규정에 의해서 해당 재산에 대한 재산세의 산출세액이
    직전연도의 해당재산에 대한 재산세액의 상당세액의 1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초과할 수
    없도록 되기때문에 2배까지 안 나와요.

    오피스텔은 주택이 아니라 일반건축물이기 때문에
    주택보다 세율도 높고 공정가액도 높아
    많이 나옵니다.
    고지서 뒷면에 산출근거, 세율 등 나오기 때문에 자세히 함 보세요.

  • 2. 세무쟁이님
    '15.7.14 4:28 PM (223.62.xxx.47)

    답변 감사해요~ 그럼 올해 재산세가 오른건가요?

  • 3. 세무쟁이
    '15.7.14 4:33 PM (210.99.xxx.18)

    재산세는 소득과 무관합니다.
    재산보유에 대한 세금이기 때문에
    소유한 부동산이 많으면 많이 나오죠.
    주택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면 재산세 따로, 종부세 따로 나오구요.
    토지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면 누진세 적용을 받아 많이 나오구요. 별도로 종부세도 나오구요.

    세금을 과세하기 시가표준액이 필요한데
    토지와 건축물은 시가표준액의 70%
    주택은 시가표준액의 60%라는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것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됩니다.

    재산세 고지서 뒷면에 보시면
    시가표준액 산정방법, 세율, 재산세 과세에 대한 이의신청,
    다양한 세금납부방법 등 아주 상세히 기재되어 있습니다.
    22년차 세무공무원으로서 좀 답답한게
    납세자들은 고지서에 기재된 산출근거 등을 자세히 보시고
    왜 나의 세금미 이리 많이 올랐는지 문의 주셔야 하는데
    아예 읽어 보시지도 않고 전화부터 하고 막 따지십니다.
    이 부분이 참 안타까와요.

    특히, 다양한 납부방법을 읽어보시면
    절세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신용카드 포인트로도 납부가 가능하구요.
    고지서가 없더라도 가상계좌납부제도도 있고
    세상 정말 좋아졌습니다.

    도움이 되셨음 좋겠네요.

  • 4. 세무쟁이님
    '15.7.14 4:39 PM (223.62.xxx.47)

    정말 감사해요~!!
    세금 관련 법 관련은 보아도 도통 모르겠어서^^;;;
    알기쉽게 자세하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5. 세무쟁이
    '15.7.14 4:39 PM (210.99.xxx.18)

    재산세는 해마다 오릅니다.
    건축물과 토지는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공시지가는 해마다 오르니 재산세가 해마다 계속 오르겠지요.
    주택도 마찬가지이구요.
    주택가격이 해마다 오르고
    세부담 상한제가 있기때문에 아무리 올라도 전년납부액의 50%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답니다.

    전년도 납부액을 한번 살펴보세요.
    오피스텔을 전년도부터 계속 보유하고 계신경우라면
    전년도 납부액에다 곱하기 1.5해 보심 그 세액 맞을거예요.
    재산세 본세만 먼저 보세요.
    통상 재산세라 함은
    재산세 본세+지역자원시설세(예전 공동시설세)+지방교육세
    이렇게 구성되어 있을겁니다.
    지역자원시설세와 지방교육세는 재산세 본세에 병기되어
    과세되는 세금이랍니다.

    대략 올해 세금은 전년도 납부액 *1.5 해보세요.
    대략 비슷하실거예요.

    9월에 나오는 토지분도 마찬가지랍니다.

  • 6. 세무쟁이
    '15.7.14 4:45 PM (210.99.xxx.18)

    아이고,,한번에 답을 드려야 하는데
    띄움띄움 드리네요.

    만일 님이 보유하신 오피스텔이 주택으로 사용하고 계신다면
    과세표준액은 일반건축물의 과세표준으로 하되
    세율을 주택세율로 하여 일반 건축물보다 세액이 낮구요.
    걍 주택이 아닌 경우일경우는 상가세율을 적용하기 때문에
    주택보다 2.5배 정도 더 나와요.

    오피스텔을 주택으로 사용하고 계신다면
    해마다 6월정도에 오피스텔 전수조사를 하니
    해당구청 세무과 재산세 담당자에게
    전입신고 내역을 주심 됩니돠~

    인자 지식 바닥요~~

  • 7. 세무쟁이님
    '15.7.14 4:51 PM (223.62.xxx.47)

    바쁘신 중에 이리도 자세히 정말 감사드려요~ 아시는 분이라면 커피라도 쏘고 싶네요!!
    시원한 여름 보내시구요 복 받으실겁니다!! ^^

  • 8. 세무쟁이님
    '15.7.14 9:32 PM (116.127.xxx.219)

    세무쟁이님 지나가다 저도 좀 여쭐게요
    제가 소유한 아파트는 재산세를 대충 100으로 봤을때
    지역자원시설세 10%
    지방교육세 10%
    정도 나왔는데남편이 작년에 신축한 건물이 있는데
    재산세를 100으로 봤을때
    지역자원시설세가 160%정도 되고
    지방교육세는 없네요
    요건 왜 그런건지 좀 알려 주세요
    궁금한데 마땅히 물어볼떼가 없네요
    참고로 신축건물은 회사의 공장과 사무실로 쓰고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4812 카카오는 드라마 속 회사 같아요 ... 07:45:54 186
1764811 보험 청구기한은 3년인가요? 보험 07:38:15 73
1764810 마포구에 피부질환 잘 보는 피부과 부탁 드려요~ 부탁드려요 07:36:42 43
1764809 녹내장 안약. 잘라탄.쓰시는 분 계세요? . 07:27:18 116
1764808 50대 아침에 일어나면 원래 이렇게 아파요? 13 ... 07:23:37 1,184
1764807 조깅. 러닝 ㅡ차이가 뭐죠? 1 ? 07:20:20 637
1764806 악기 배우고 싶은 1 육십 세 07:14:22 214
1764805 유방암인식행사가 연예인친목파티네요ㅉㅉ 3 07:09:50 907
1764804 서울에 맛있는 카레집 추천해주세요. 3 워낙 기본 07:05:54 259
1764803 충청도식 화법.. 13 충청도직 06:29:58 1,338
1764802 금때문에 진짜 미치겠네요..백화점 상품권 교체 2 지금 06:07:20 4,894
1764801 남해 지금보다 봄이 나을까요? 3 질문 05:52:55 590
1764800 런던국립미술관의 그림이 안보여요 3 ..... 05:41:48 937
1764799 부부 상담 추천병원있으실까요(리스) 1 00 05:18:56 819
1764798 3일째 낮밤 바껐어요 미치 05:03:49 508
1764797 톰크루즈 26세 연하 배우와 결별 2 26이라니... 04:40:25 4,801
1764796 명언 - 고생한 만큼 위대해진다 2 ♧♧♧ 04:34:18 920
1764795 관저에 다다미 히노키탕 말고 또 9 .. 02:54:32 2,434
1764794 미국유학 안가는 추세인가요? 19 미국 02:49:37 3,844
1764793 쿠팡.. 명절끝나면 반품 쏟아진다는 품목 6 ........ 02:38:31 3,938
1764792 달리기 오래 하신분들 2 루틴 02:33:00 944
1764791 노브랜드 크림치즈 맛없나요? 3 ... 01:52:29 907
1764790 나솔사계 라이브 제갈 너무 재밌어요. 사계현커여부 10 ... 01:49:19 1,925
1764789 제가 하루 계란 3개 먹는 방법.. 16 ... 01:12:41 5,587
1764788 발톱무좀에 뭐 바르세요? 7 궁금 01:12:35 1,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