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읽고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understand each other. we have to open all our bodily senses for the same reason.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린 더 얘기할 수 있고,
이해 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린 지금 몸 안의 온 감각을 곤두세워야 한다.
- 1. 원글'14.11.26 7:02 PM (175.125.xxx.93)- 그사세에 나온 대서라네요. 
 
 이해하기 때문에 사랑하는 건 아니라고,,,
 
 ,,,
- 2. -----'14.11.26 7:07 PM (175.192.xxx.234)- 어렵다 ㅜ 
- 3. ...'14.11.26 7:12 PM (175.121.xxx.16)- 이렇게 현학적인 수사를 구사하는 사람 옆에서 살려면 
 참 힘들 것 같아요. ㅜㅜㅜㅜ
- 4. 메이'14.11.26 7:29 PM (118.42.xxx.87)- 완전한 이해란 불가능하죠. 다만 완전하지 않음과 완전하지 않은 이해를 받아들일때 완전하진 않지만 온전한 이해와 사랑을 할 수 있음이죠. 
- 5. 원글'14.11.26 7:30 PM (175.125.xxx.93)- 그 사람을 이해할수 없는데 사랑? 
 
 사랑이라는 감정이 이해가 안될순 있어도
 사람이 이해가 안되는데 사랑이 생길까요?
- 6. ..'14.11.26 7:39 PM (175.192.xxx.234)- 이해하기위해 노력하쟎거네요~ 
- 7. 메이'14.11.26 8:20 PM (118.42.xxx.87)- 원글님이 생각하는 사랑의 개념과 책에서 말하는 사랑의 개념이 달라요. 책에서 말하는 사랑은 궁긍적인 사랑을 말하는 것이라 경험을 하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글이에요. 직접 경험하시면 충분히 쉽게 이해가 되실거에요. 
- 8. 메이'14.11.26 8:22 PM (118.42.xxx.87)- 궁극적인 사랑이에요. 
- 9. 원글'14.11.26 8:47 PM (175.125.xxx.93)- 궁극적 사랑? 
 
 좀 더 자세히~~~
- 10. 소오'14.11.26 9:23 PM (175.195.xxx.73)- 이해라는게 불완전하잖아요.심지어는 자신에 대한 이해조차도요.그럼에도불구하고 열렬히 자신을 아끼죠.본능적으로 아주 많이요.그것처럼 누군가에 대한 무엇에 대한 열정과 관심은 그것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라는거죠.오히려 불완전한 이해가 열정과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말이구요. 
- 11. ...'14.11.26 10:22 PM (39.112.xxx.151)- 이해할 수 있으면 더 이상 얘기하지 않아도 되지만 
 이해가 안되기에 감각을 곤두세워 이해의 경지로 가야한다는 말 인데요
- 12. 원글'14.11.26 11:03 PM (175.125.xxx.93)- 소오님~~ 
 감사 합니다.
- 13. ..'14.11.27 1:12 AM (223.62.xxx.54)- 이해하지못하는게 
 당연하다는
 전제도깔려있는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