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세 살 정도 되는 여자 아이가 아빠랑 일년 정도 떨어져 지낸다는거..어떤가요?

조언을 좀... 조회수 : 2,155
작성일 : 2014-11-12 21:08:41
 제 이야기는 아니구요...저랑 친한 지인 이야기 예요.
 여기는 유럽이고, 지인 부부는 둘다 인문 사회 계통 박사 과정을 밟고 있어요. 나이는 둘 다 삼십대 후반이구요.
 이 부부에게 세 살 된 딸이 하나 있고, 지금 남편 집에서 보내주는 돈 + 남편이 아르바이트해서 보태는 돈으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처가로부터는 경제적인 도움을 못 받는 것 같구요. 

 문제는 남편 집에서 보내주는 돈으론 세 사람 생활비가 안나와서, 남편이 일을 해야하는데, 그 일도 그렇고 남편이 
 이것저것 아이 유아원가는 것부터 시작해서 신경써야 할 집안 일들이 많아서, 논문 쓸 시간을 거의 못내고 있어요. 
 이 부부가 여기 온지도 꽤 오래되었는데 둘 다 논문 진행이 더딘것 같고, 얼마 전에 이 문제를 가지고 잠깐 얘기를 나누
 어 보았는데...남편이 공부를 그만둘 생각도 하는 것 같더라구요. 자기는 논문 보다는 자기 딸, 가족 우선으로 가치관이 
 바뀌었다고 그러더라구요..

 그런데 아이 친할머니는 돌아가셨고, 아이 외할머니가 계신데, 아이 외할머니가 아이를 맡아서 키워줄 생각이 있으신 
 것 같아요. 근데 이 친구는 유학이라는 이유 때문에 부부 사이 어느 일방이 희생하는 것 - 예컨대 자기 와이프가 논문
 쓰는 것을 그만 두는 것 - 을 원하지 않고, 떨어져 살고 싶지도 않은 모양이에요. 여기서는 한국에 들어가서든, 학위
 를 못 받더라도 어떻게든 일을 하면서 가족을 부양하면 되겠지..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옆에서 지켜보는 제 입장에서는... 

  저도 공부를 하는 사람이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이렇게 가는 것은 결코 자기 가족을 위해 좋은 길이 아니라고 보거든요.
  10년 가까이 투자한 공부인데 아무리 아이 아빠이자 가장으로서의 역할이 생겼다고 해도, 이걸 중간에서 그만 둘 생각을 하는 것도 이해가 안가고 인문 사회 계통인데 학위를 안 받고 돌아가서 도대체 무슨 일을 할 수 있다는 건지 감이 잘 안 오고.. 

  여튼 저는 '아이랑 부인을 먼저 친정으로 보내고, 남편은 여기서, 부인은 친정 엄마의 육아 도움을 받아가며 거기서 논문을 하루 속히 마무리 하는게 최선의 길이다'.. 이런 조언을 하려고 해요.  인문  사회 계통이라 실험실 같은 것을 이용할 필요도 없고, 논문을 꼭 여기서 쓸 필요는 없거든요. 필요한 자료는 남편에게 부탁해서 우편으로 받아볼 수도 있고.  
  
  한가지 걸리는 건, 이렇게 아빠랑 1년 정도 떨어져 있게 되면, 아이에게 나중에 트라우마 같은 안 좋은 영향이 계속 남아 있을 수 있을까요? 

  비슷한 경험을 가지신 분들이 있을 것 같아서 한 번 올려 봅니다. 
  
 





      
IP : 95.91.xxx.1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4.11.12 9:24 PM (211.237.xxx.35)

    주양육자가 변함없다면 다른 쪽 부모와 일시적으로 헤어져있는건 크게 문제 안됩니다.
    주양육자가 계속 곁에 있어주고 같은 사랑을 베풀어준다는게 중요하죠.

  • 2. 곰녀
    '14.11.12 9:54 PM (210.223.xxx.26)

    나이대가 안 좋네요. 엘렉트라 컴플렉스... 아버지를 그리는 마음이 넘 강해져서 심리적인 왜곡이 일어날 수 있을듯합니다. 나이든 남자에 끌린다거나 하는...(재클린 케네디가 그런 경우라고 하더군요.)

  • 3. 그런데
    '14.11.12 10:13 PM (180.70.xxx.150)

    그 부부가 원글님에게 이걸 여기에 대신 올려서 상담받길 원하신건가요?
    그게 아니면 좀 오지랖 같기도. 지인 부부의 개인적인 이야기가 너무 자세히 표현되어 있어서요.

  • 4. 원글이
    '14.11.12 10:31 PM (95.91.xxx.1)

    전 제 입장에서 조언을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데, 아무래도 조언하기 전에 다른 분들 의견도 좀 들어보고 싶어서요. 조금만 더 들어보고 본 글은 지우도록 하겠습니다.

  • 5. 원글이
    '14.11.12 10:34 PM (95.91.xxx.1)

    근데 바로 윗분이 언급하신 케이스는 저도 많이 봤어요. 당장 제 한국 지도 교수님도 그런 케이스구요. 그런데 제 지인 같은 경우는 학위획득에 대한 의지가 많이 무뎌진 것 같아서..그게 좀 난감해요. '가치관이 바뀌었다' 고 하는데 여기다가 대고 반대 방향의 조언을 해야 하나.. 할 필요가 있나...그 고민이 좀 있네요.

  • 6. ~~
    '14.11.12 10:50 PM (58.140.xxx.162)

    저라면, 본인의 현재 가치관에 따라 최선의 결정을 하게 놔두겠어요.

  • 7. 아마
    '14.11.12 10:57 PM (82.28.xxx.224) - 삭제된댓글

    가치관이 바뀐 게 아니라 학위취득에 자신이 없어진 거겠죠.
    1년만 떨어져 있으면 해결될 정도로 진척된 공부인데 왜 이제와서 그만두나요.
    보통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이 생기면 더 이 악물고 공부하게 되죠.
    더구나 지금 경제적 지원도 남편쪽에서만 온다면서요.
    아들은 공부 그만하고 들어오는데 며느리만 계속 지원할 시댁이 있을까요?
    아이는 부모와 다 떨어져 있는 것도 아니고 부모 중 하나과 함께 지낸다면 1년은 아무것도 아니에요.
    부부 유학생, 부부 포닥 등등 함께 공부 끝나고 함께 자리잡는 게 힘드니 잠시 떨어져 지내는 일도 흔하구요.
    아마 원글님이 모르시는 그 지인만의 사정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 8. 저도 비슷한 경우에요
    '14.11.13 1:24 AM (222.152.xxx.244)

    주위에서는 그 동안 공부한것이 아깝다고 청하지도 않은 조언을하고.. 어떻게 하기로 했느냐 물어보곤 했어요. 위에 님들이 말씀 하셨던것 처럼 방법은 거의 몇가지로 정해져 있어요. 본인들도 알거구요. 그 분들이 그들의 문제로 상의를 해 오지 않는이상 조언같은건 필요 없구요. 그 조언도 그냥 본인의 생각에 따라 말씀해 주시면되요. 여기저기 물을것 없이.

  • 9. 원글이
    '14.11.13 1:40 AM (130.75.xxx.211)

    윗글님/ 조언을 하고 나면 십중 팔구는 관계가 당분간은 어색해 질 것 같기도 한데, 그리고 저도 이런 식으로 오지락을 부리는 걸 매우 꺼리는 편이지만, 그래도 한 번은 얘기를 하는게 좋겠다 생각하고 있었어요. 사실 지금 하지 않으면 나중은 정말 늦어버릴 것 같기도 하고. 다만 저는 육아 경험도 없고 아직 가정을 가진 사람이 아니다 보니 제가 모르는 아기 교육 부분에 대한 것이 걸리더라구요. 그 부분에 대한 조언을 듣고 싶었습니다. 여튼 조언 감사해요. :)

  • 10. 돌돌엄마
    '14.11.13 1:54 AM (115.139.xxx.126)

    아빠랑 같이 살아도 주말에만 얼굴 보는데요 ㅡㅡ;
    아빠는 별로 안 중요해요.. 키워보면... 엄마 독박임.
    ㅡㅡ;;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087 남편의 말 때문에 .. 21:36:22 0
1772086 일년에 4번 모이는 모임이 있는데 바다. 21:34:06 102
1772085 외모포기하고 사는 남편.. ㅡ.ㅡ 21:32:49 119
1772084 몰입도 좋은 드라마 추천부탁드려요 지금 21:32:09 35
1772083 요새 sns에선 아기가 아이템급인데 ........ 21:30:56 134
1772082 혼자살면 생활비 얼마나 들까요 2 ㅇㅇ 21:28:57 244
1772081 남자들은 본인죄를 1 적반하장 21:26:16 170
1772080 주택 리모델링 하는데 추가비용이 생기네요 4 000 21:22:31 273
1772079 윤석열 김용현 여인형 3족을 멸할것들... 4 ..... 21:22:27 196
1772078 수능장에 생수들고 들어가도되나요 5 고3맘 21:18:53 388
1772077 정전기는 뭘로 잡으세요? 4 정전기 21:18:21 176
1772076 김장 고춧가루 얼마나 사야 할까요? 3 .. 21:18:04 215
1772075 주식! 속칭 잡주와 우량주를 같이 샀었눈데ㅡ 3 주식 21:15:03 564
1772074 강아지 키우시는분 1 댕댕이 21:13:26 142
1772073 고양이 돌봄 알바, 당근에서 구해도 될까요? 2 배봉지 21:12:34 167
1772072 넷플 프로파일러/연쇄 살인마 시리즈 1 심리 21:10:08 219
1772071 얄미운 사랑 1 드라마 21:04:46 517
1772070 감동받았어요 2 연두연두 21:03:42 588
1772069 주식 수익률 100 퍼센트 17 Hahaha.. 21:00:43 1,613
1772068 영화 세계의 주인 추천해요 추천 20:57:01 325
1772067 강아지가 발톱을 안자르려고 해요 11 강아지 20:52:34 330
1772066 안방그릴(연기안나는)최신형 ㄴㄴ 20:50:57 203
1772065 1억만가지고 이혼하면 9 .... 20:48:11 1,398
1772064 주식, 부동산,부자감세 좀 알고 합시다. 8 부자감세 20:47:02 529
1772063 이빵이었군요. apec이상복 경주황남빵 6 ... 20:46:21 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