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나·가정 돌볼 시간 부족이 '더 가난한 삶' 부른다..

동감 조회수 : 2,378
작성일 : 2014-11-05 09:08:49
[단독-한국인의 '시간 빈곤'] 나·가정 돌볼 시간 부족이 '더 가난한 삶' 부른다.

 

 

33세 김혜정(가명)씨는 결혼 3년차에 18개월 아들을 둔 맞벌이 '워킹맘'이다. 비교적 제도가 잘 갖춰진 대기업에 다니고 있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1년을 다 쓰고 복직해 회사를 다니고 있다. 오전 7시 집에서 나와 근무를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보통 저녁 7시 반에서 8시쯤 된다. 그나마 퇴근시간이 규칙적이어서 월 150만원에 출퇴근 아주머니를 고용해 아이를 맡기고 있다. 밖에서 하루를 보내고 회사에서 돌아오면 아주머니는 퇴근한다. 아이를 씻기고 재우고, 집안정리 등 마무리를 하는 것은 김씨 몫이다. 최소 3시간은 필요하다. 야근이 잦아 200만원 육박하는 비용을 내고 입주 아주머니를 쓰는 친구들을 보면 그래도 '나는 나은 편'이라는 것을 안다. 하지만 꾸역꾸역 용쓰며 살고 있다는 생각을 지우기 힘들다. 남편과 함께 열심히 살아왔지만 결혼 초 전세를 얻으며 받은 마이너스통장 대출액은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열심히 일해도 나아지지 않는 팍팍한 삶의 원인은 대체 무엇일까.

누구나 겪지만 무시해 온 '시간 부족'…'시간 빈곤'을 초래하다

2014년 대한민국에서 김씨의 이야기는 결코 특별하지 않다. 일을 가진 사람이라면, 게다가 아이까지 둔 여성이라면 더욱이 심각하게 겪는 일상이다. 너무 바빠 '나'는커녕 내 아이와 가정도 돌볼 겨를이 없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처럼 들리는 시대다. 그런데 '삶의 질'을 포기한 대가로 딱히 돈이 모이는 것도 아니다. 여기엔 이유가 있다. 어릴 때부터 지겹도록 들었던 이야기 '시간은 돈'이라는 가치가 감안되지 않아서다.

 

중략.

 

여성 근로자, 맞벌이 가정, 저소득층 등 '시간 빈곤' 위험 높아

김씨의 경우에서 나타나듯 여성이 시간 빈곤 상황에 처할 가능성은 남성보다 훨씬 높다. 연구팀에 따르면 주당 근로시간이 36∼50시간 수준인 상용직 근로자의 경우 여성의 시간부족률은 70%로 남성 36%의 2배에 달했다.

현재 정부가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확대하고 있는 시간제 근로에서도 여성의 시간 부족은 높게 나타났다. 35시간 미만 근무를 하는 여성의 25%가 시간 부족을 겪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소득이 낮아질수록 시간 부족이 심해진다는 데 있다. 저소득층은 생계유지를 위해 여성도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여성 혼자 버는 가구의 비중도 소득이 낮을수록 높아진다. 그런데 이들은 김씨처럼 자신의 부족한 시간을 메워줄 '대타'를 구할 능력이 안 되거나 어쩔 수 없이 구할 경우 소득의 상당 부분을 여기에 쓰는 결과를 낳는다. 결국 소득 빈곤과 시간 빈곤을 동시에 겪고, 소득 빈곤이 더 심화되는 상황에 내몰린다.

연구팀이 시간 부족을 고려해 소득 부족액을 계산한 LIMTIP 모형을 적용해본 결과 소득 빈곤층(최저생계비 수급 가구)은 80%가 시간 빈곤을 겪고 있었으며, 이들이 실제 부족한 소득액도 공식 통계에서 나타나는 금액보다 크게 높아졌다. 이들 중 부부가 모두 일하는 맞벌이 가정은 시간 빈곤율이 88%에 달했다.

가사 노동 시간·비용 고려한 고용·임금 정책 필요성 높아져

그러나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한 고용·보육 정책이나 저소득층의 생계지원금 책정 등에서 시간 부족은 아직까지 고려 대상이 아니다. 시간 부족 개념을 연구한 것 자체가 국내에선 이번이 처음이다.

권 박사는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 근로자, 맞벌이 등은 빈곤 함정에 빠져 있지만 사회적 지원 없이 바깥 언저리에 있는 계층이 많다는 것이 드러난다"면서 "특히 여성 취업자가 소득 빈곤인 경우 시간 빈곤의 위험도가 더 높아진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아침에 출근하면서 많이 동감했던 내용입니다.

오늘도 일이냐 아이냐를 고민하면서 출근하신 분들, 전업이지만 직장구하고 싶어서 안달하시는 분들,,

같이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서 퍼왔어요..


 

IP : 210.207.xxx.5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세우실
    '14.11.5 9:35 AM (202.76.xxx.5)

    [단독] 근로자 930만명 '시간 빈곤' 시달린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2836197&code=11151100&cp=na

    [단독-한국인의 '시간 빈곤'] 나·가정 돌볼 시간 부족이 '더 가난한 삶' 부른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2836125&code=11131100&cp=na

  • 2. ㅇㅇ
    '14.11.5 9:36 AM (175.223.xxx.140)

    공감합니다..
    아까 운동할 시간이 없어 점심시간 운동하는데
    눈치 보인다... 너무 격하게 공감해요.. ㅠㅠ

  • 3. 시간빈곤
    '14.11.5 9:38 AM (207.244.xxx.139)

    이라고 하더라고요.

  • 4. 좀 이해가
    '14.11.5 9:59 AM (58.151.xxx.58)

    가지 않네요. 소득이 높다고 시간 빈곤이 없는 건 아닌데요. 그 사람들도 돈으로 시간을 사는 거고. 노동력을 사는 거고. 즉 소득과 상관 없이 시간 빈곤이 있는 건데...

  • 5. ~~
    '14.11.5 10:50 AM (58.140.xxx.162)

    돈보다 시간..을 택하더라도 당장 생계에 지장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겠지요..

  • 6. ..
    '14.11.5 11:06 AM (121.134.xxx.132)

    돈이 없으면 더 많은 시간 일해야하고 그러면 아이를 돌보거나 가정을 돌볼 다른 인력을 충원해야하고 그 비용을 지불해야하니, 다시 비용이 든다...

    즉 가정과 아이를 돌보는 것이 여자본인이 하면 시간이고, 남한테 맞기면 돈 (즉, 시간=돈)이란거구요.

    더군다나 본인이 하는것처럼 질이 뛰어나지도 않구요.
    가난한사람이 가난을 벗어나기 점점 어려운 사회가 되가는거 같아 씁쓸해요.
    세금을 강물에 때려부을께 아니라 이런 문제를 개선하도록 해야하는데말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1378 건강 검진에서 심비대 진단 받았습니다. 좋은생각37.. 08:18:20 65
1771377 [단독] 시진핑이 극찬한 ‘대학생 편지’ 주인공들 “답장에 놀라.. 한겨레 08:15:49 185
1771376 60대 건강비법 나눠봐요 1 보습 08:14:53 135
1771375 트리트먼트 한 날은 머리가 두상에 딱 붙어서 잘 안하게 돼요 3 트리트먼트 08:07:57 286
1771374 김장 양념 사는 이유는 뭘까요 4 김장 08:06:15 440
1771373 대장내시경 ... 08:04:03 82
1771372 여행지에서 남편이 싫어질때 13 아내 07:54:22 819
1771371 인사를 해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 --- 07:54:13 215
1771370 장동혁이 어제 실제로 쓴 방명록.jpg 10 미친거니? 07:38:59 1,390
1771369 새벽에 쥐잡아준 남편 3 ..... 07:22:55 1,422
1771368 .. 4 악마의 유혹.. 07:20:08 775
1771367 아이 체육센터 수업 중 짝이 없다는데 6 아침 07:08:16 685
1771366 원인이 많지만 주로 수면부족과 스트레스가 주로 암의 원인인거 같.. 6 ........ 06:19:49 3,105
1771365 본인 생일에 어머니께 감사 문자 보내시나요? 8 - 06:04:35 885
1771364 장례식장 다녀와서 4 --- 06:04:24 1,490
1771363 중고차가 장애인용으로 구매한거란걸 알았어요 15 ㅇㅇ 05:50:29 2,613
1771362 이재명이 대장동 2심 재판 막았나요? 25 .... 04:21:58 1,762
1771361 부고 소식에 급히 내려가는 중인데요 5 077 03:30:40 3,942
1771360 교도소 수감된 전 대통령 “누가 내 음식에 침뱉은 것 같다”··.. 2 ㅇㅇ 03:30:19 4,648
1771359 힘드네요 2 50대 02:53:01 1,384
1771358 李대통령 "R&D 예산, 상상 못할 정도로 늘렸.. ㅇㅇ 02:16:19 1,410
1771357 검찰 특활비 전액 부활 제정신인가? 6 .. 01:48:12 1,470
1771356 미장 왤케 빠져요? 16 ㅇㅇ 01:47:12 4,793
1771355 엔디비아 댓글보고 뿜었어요 01:19:19 3,266
1771354 경희 한양 중앙 성균관 의대 수시 논술 날자가 다르면 다 응시.. 3 .. 01:12:10 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