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초등 고학년 아이 공부 봐주시나요??

궁금 조회수 : 1,657
작성일 : 2014-10-22 11:33:28

전 연년생 아들둘 4,5학년 두고 있습니다.

저학년때까지는 제가 시험때 공부할 양도 정해주고, 채점도 해주고 모르는거 설명도 해주고 했습니다.

물론 성적은 잘나왔어요. 아이들도 잘따라 했구요.

고학년 되면서 올해 학교시험도 없어지고, 아이들도 학원수업 시간 늘어나고, 학교수업 시간도 늘면서

매일 공부 하는건 좀 어려워지고, 학원숙제, 수학정도 풀고, 채점도 본인들이 하도록 했습니다.

 

과학,사회,국어과목 중간,기말 보던게 상시평가로 바뀌면서 단답형 시험이 아니고, 여러가지 형태로

시험을 보니 교과내용은 그저 이해하는 수준이고, 문제집을 풀거나 암기하는게 아니고

논술형 시험을 많이 봅니다.

 

오늘 국어 시험보는데 2단원 기사문 쓰기가 시험이더라구요. 본인이 생각하는 기사문을 a4용지에 나름대로의 형식으로

쓰는것 이것이 시험이예요. 이러다 보니 예전처럼 교과서 외우고 문제집 풀고 하는 방식의 공부를 잘 안하게 됩니다.

과학,사회 시험도 마찬가지구요

 

수학은 아직 학원을 다니진 않고, 집에서 2틀에 한번정도 5-6장정도 문제집 2권정도 풀어요.

11월부터 수학학원 등록되어 있어 보낼 예정이구요.

 

이런식으로 시험이 변경되니 솔직히 아이들 매일 암기과목 외우는 식의 공부나 문제집 푸는 형식의 공부가

효과도 없고, 시험에도 전혀 영향이 없으니 제가 그동안 봐준 형식대로 안하게 됩니다.

아이역시도 그런식으로 학교시험을 안보니  외우고 문제집 푸는 공부는 안하려고 해요.

울아이 담임샘과 학년반 모두 1학기에는 단원평가라도 봤는데 이젠 그마저도 안보고, 그냥 논술형 상시평가만 보네요

그것도 주제 정해주고 교과서에서 어느 특정부분만 어떤식으로 나온다 다 알려주고 본인이 생각정리해서 논술형태로

쓰는것입니다.  울 아이들은 논술형이나 서술형으로 쓰는건 잘해요.  그러니 교과서 한번 안읽고, 그냥 생각대로

내용정리해서 쓰긴 잘쓰고, 문제형식이나 범위를 알려주니 아이들 대부분 시험도 잘보는것 같아요.

 

그런데 요즘 사회가 역사잖아요. 역사책에 관련해서 교과내용관련 책을 함께 읽고 있는데 수업시간에 배운건데도

암기를 제대로 안해서 그냥 대충 알지 제대로 알지를 못하네요.  첫글자 알려줘야지 사건의 내용을 안다던가

역사흐름을 뒤죽박죽... 제가 역사를 좋아하고 관심있어서 잘아는데 아이가 매우 헷갈리고 있는것 같아요.

 

대부분의 학교가 요즘 중간.기말고사 안보고 이렇게 상시평가로 대체하고 있는데 고학년 아이들 엄마가 따로

공부 봐주고 있나요??? 제가 올해들어 너무 아이들 공부에 무관심 하고 있는것 같고, 학교에서도 시험제도가 없어지다

시피 하고 너무 공부 등한시 하고 있는것 같아요.

 

곧 중학교 가는데 이런식으로 하다간 배경지식 하나 없이 힘들어 질것 같아서 좀 불안합니다.

남자아이다 보니 꼼꼼하지도 못하고, 대충 하고,  책읽기 좋아했는데 요즘은 매일 운동하고 친구를하고 주말에도

야구,축구하러 학교에 몇시간씩 나가 있고 그럽니다.

 

야무지게 본인거 잘챙기고, 스스로 알아서 하길 바라는 제가 넘 욕심이 많은 걸까요?

요맘때 아이들중에도 스스로 알아서 잘하는 친구들 많겠지요????

최소한 제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금 공부습관 잘 잡아줘야 할까요??  아님 학교수업시간에 충실하고, 논술형 시험은

잘보고 있고, 수학,영어는 따로 학원공부하고 잘하고 있느니 그냥 이대로 놔둬야 할까요??

 

제가 곧 6학년 되는 아이 걱정스러워서 작년처럼 다잡아 학교시험과 무관하게 공부습관 철저하게 시켜야 할까

아님 스스로 할때까지 그냥 둘까 무척 요즘 고민입니다.

 

아이 키워보신분들 지금 어떻게 하는것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조언 좀 주세요

IP : 182.212.xxx.5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0.22 11:52 AM (121.140.xxx.3)

    5학년엔데 암기는 미리 안하구요... 수업시간에 충실히 하고 시험 전에 일정 잡아서 제가 미리 공부한 뒤에 바짝 해요... 평소에는 관련 책을 꼭 읽도록 해서 배경 지식을 늘리고요... 평소에는 수학, 영어에 집중해요.
    스스로 한다기 보다는 제가 힘들어도 많이 도와요.. 저 퇴근 후에 아직은 채점도 해주고... 책도 챙겨주고... 근데 이건 또한 현명한지는 모르겠어요... T.T

  • 2. 저희 아이
    '14.10.22 12:56 PM (14.36.xxx.38) - 삭제된댓글

    초등 5학년인데 단원평가 식으로 다양한 수행도 하지만 객관식 문제 시험도 남아 있어요.
    영어는 집에서 독해랑 문법 공부하고 수학은 학원에서 중학교 선행이랑 자기 학년 심화해요.
    그리고 전과목 문제집을 담임 선생님이 단원 끝날 때마다 풀었는지 검사를 해 주세요.
    매일 조금씩 하다가 검사 받기 전 주말에는 좀 많이 하는 식으로 해서 시험 대비 겸 다 풀고 있어요.

    이과형 아이라 과학은 쉽게 하는데 역사는 조금 어려워해서
    단원평가 보기 전에는 EBS 인강 듣기도 하고 전과 읽어보기도 하더라구요.
    단행본이랑 전집으로 역사는 겨울방학에 한번 더 복습시킬 생각이에요.

    중간 기말 시험 없어지고 나서 애들이 아무래도 공부에 소홀하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공부를 하도록 시켜야 할 것 같애요.
    중학교 가면 과목도 많아지고 해야 될 수학 공부가 점점 늘어나서
    공부 요령 없으면 힘들어 하거든요.

  • 3. 고정점넷
    '14.10.22 2:31 PM (116.32.xxx.137)

    5학년 미리 본인이 공부 다 해서 문제 풀어 놓으면 채점 하고 틀린 부분위주로 전체 흐름 맥락을 쫙 잡아줘요. -장기간 알바과외선생을 해서 맥 잡는 건 잘 해요- 그리고 단원평가 처럼 20문항 있는 거 풀고 채점 해서 가면 끝
    평소엔 학원 안 다니고 그냥 영수 집에서 하고 있구요

  • 4. 어른으로살기
    '14.10.22 6:25 PM (175.223.xxx.74)

    고학년 공부, 엄마도 같이 힘들겠네요
    3학년인데 지금도 힘든데..걱정입니다

  • 5. ....
    '14.10.24 9:45 AM (175.207.xxx.227)

    쓰기가 제일 안되던데 부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784 압구정현백 테이크아웃할만한 음식 있을까요 ㅇㅇㅇ 10:21:41 17
1772783 어제 셀××× 출발한다고 썼는데 ... 10:19:33 168
1772782 검색 잘하시는 분 이 팝송 가사는 어떻게 찾아야할까요? 2 ,,,, 10:18:56 52
1772781 친구랑 돌반지 얘기를 하다가요 10년 전 3 ... 10:17:05 217
1772780 [단독] '구미시장 명예훼손' 혐의 본지 기자 긴급 체포됐다 석.. 10:16:49 203
1772779 당신들이 뭔데 우리 노후를..국민연금'에 폭발한 2030 7 ... 10:14:44 375
1772778 김거니가 양재택부인에게 돈보낸거 인정 1 ㄱㄴ 10:14:35 289
1772777 사실적시 명예훼손 법안 4 법안 10:13:52 129
1772776 "집 사려고 주식 오징어게임", 美 'K개미 .. ... 10:13:04 251
1772775 수능응원) 겉절이 몇일안에 먹는게 맛있나요? 5 10:12:14 85
1772774 습관만들려면 최소 며칠이 필요한가요? 2 .. 10:11:08 139
1772773 금 계속 오르네요 4 10:10:47 429
1772772 전자렌지 돌릴때 음식안튀게 커버하나살까요? 3 10:09:37 157
1772771 그래미에 한국 가수들 후보에 오른거 4 ㅇㅇ 10:09:05 310
1772770 친한 지인 아들이 수능 보는데요 7 ........ 10:04:51 481
1772769 수능난이도 어떻다 이런거 몇시에 나오죠 3 1교시끝 10:04:29 141
1772768 한국 방문해서 부모님과 갈 여행지 벼리벼리 10:04:27 73
1772767 오늘 고3 수능시험장에 진짜 도시락만 가져간 아이있나요?? 7 고3 10:01:58 580
1772766 정희 너무 쎄해요 12 ... 10:00:43 998
1772765 2022년 대선 직전, 통일교 지역 간부-국힘 시도당 위원장들 .. 낙동강 10:00:29 86
1772764 비벼놓은 비빔국수 다시 먹는 방법 있을까요? 9 ... 09:58:19 310
1772763 대입, 수능엔 끈기랑 머리중에 어떤게 더 큰 요소일까요 4 .... 09:57:27 179
1772762 김만배 임기중에 빼준다고 그랬다네요 23 ... 09:56:24 613
1772761 오수인가 ㅋ 애가 또 수능보러 11 오수 09:55:58 661
1772760 얼굴에 바르는 쿠션 사려는데요~ 6 고민 09:53:54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