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재건축 도급제 방식 질문이여

무명씨 조회수 : 2,267
작성일 : 2014-08-20 17:11:42

저희엄마가 무상지분 30평이나 되는 19평 주공아파트(수도권) 소유하고 계세요

근데 지난 주말에가서 재건축 시공사 정한다고 책자 날라오고, 계약서 우편으로 오고

그래서 유심히 봤어요. 이주비 얼마, 이사비 얼마, 입주시 led tv에 냉장고에

언뜻 보기엔 혜택이 많았어요.

 

근데 중요한건요. 10년전 엄마가 저 아파트 매매시 무상지분 30평이라서

최대 42평까지 받을수 있다고 했는데, 현재 우린 42평을 받을수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상태인것 같더라구여

왜그러냐고 했더니 도급제 방식을 택해서 나중에 알수 있다고 하는거에요

도대체 도급제가 뭔데 42평이나 받을수 있었는데 잘하다간 30평대도 무상으로 받기 힘든거 아닌가 싶어요

요새 재건축하다가 자기재산 날리는 사람도 많다고 하는데

여기 지금 아파트가 500세대가 조금 넘는데 재건축하면 1100세대가 된다고해요

도급제란 방식이요 어리석은 조합원들 시공사가 등쳐먹는 방식 아닌가요

아시는 분 자세히 알려주세요 부탁이에요

 

 

IP : 112.221.xxx.5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장단점
    '14.8.20 5:39 PM (220.76.xxx.234)

    도급제와 지분제가 장단점이 있다고 들었는데 기억이 안나네요ㅠㅠ

  • 2. ♥♥
    '14.8.20 6:15 PM (124.50.xxx.184)

    도급제를 선택하면 아파트 부실시공을 막을수가 있지요
    시행회사에서 책임지고 아파트를 짓게 되니까..

    다만 나중에 추가비용이 들수 있어요.
    자세한건 도급제와 지분제로 검색해보면 이해가 빠를겁니마

  • 3. 아는 만큼만
    '14.8.20 6:19 PM (175.209.xxx.77)

    도급제와 지분제가 있는데요. 이름 있는 시공사는 당연히 도급제를 원하는데, 요즈음은 일반분양이 잘 안되어서 조그만 시공사도 지분제 보다는 도급제를 선호합니다. 도급제는 공사하면서 계속 조합원에게 추가비용을 부담시킬 이유를 많이 만들어내죠. 그런데 거의 모든 재건축 조합장들도 도급제를 선호합니다. 재건축조합장들 중에 사욕이 없는 인간들은 거의 없습니다. 시공사는 조합장들의 그러한 의도를 잘 알기 때문에 조합장과 이해가 맞아 떨어집니다. 그래서 재건축이 진행될수록 조합원의 추가분담금이 늘어납니다.

  • 4. 예전기억더듬어
    '14.8.20 6:37 PM (121.138.xxx.211)

    도급제는 사업비를 조합원이 부담하는 형식이고 지분제는 사업비를 시공사가 부담하는 형식이에요.
    도급제는 일반분양이 잘되면 조합원의 부담이 적어지고 잘 안되면 추가부담금이 늘어나요.
    지분제는 시공사와 조합원이 최초계약해서 금액을 정하면 그외에 추가되는 금액은 모두 시공사의 몫이에요
    물론 이윤이 남아도 시공사의 몫. 하지만 사업을 추진하다보면 추가되는 금액이 점점더 늘어나는게 현실이라서 원래 조합원은 지분제를 시공사는 도급제를 원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반포주공 3단지는 지분제, 반포주공 2단지는 도급제..
    원래 건설사가 파워가 더 커서 지분제를 잘 안해주는데 그당시 GS건설이 강남에 랜드마크 지어보겠다는 야심을 품고 조합원의 요구대로 지분제로 해줬죠. 그때까지 GS건설이 래미안때문에 강남에서 한을 품었던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7208 쪽지를 받으셨다... ... 2014/09/16 779
417207 원세훈 선거법 무죄, 박근혜 책임 모면 홍길순네 2014/09/16 460
417206 신경성 성격이면 사회생활이 가능할까요 ? 6 멍멍 2014/09/16 1,697
417205 미국 사시면서 페르질 쓰시는 분 계신가요 8 세탁 2014/09/16 1,482
417204 아휴~ 모기가 밤새도록 설치네요 ㅠ 1 참맛 2014/09/16 680
417203 44일 된 아이 키우는데 힘들어요 9 저기 2014/09/16 1,334
417202 간송미술관 전시는 동대문에서 하고 미술관은 더 이상 개방 안하나.. 2 ... 2014/09/16 3,401
417201 영재 딸 아빠랍니다^^ 60 카레라이스 2014/09/16 13,108
417200 형제 많은.. 5 dma 2014/09/16 1,333
417199 아이패드 없으면 잠을 못자요. 4 ariann.. 2014/09/16 1,517
417198 이세상에 시누이 없다면 2 악의축 2014/09/16 1,647
417197 교정아나 레진 쿠쿠다컴 2014/09/16 565
417196 교행 공무원 계시나요? 4 부자살림 2014/09/16 3,121
417195 남편 없이 혼자 일주일간 해외여행...어디가 좋을까요 16 여행 2014/09/16 4,087
417194 세월호 유가족들 아직 노숙하시는데, 추워져 걱정입니다 4 추위 2014/09/16 759
417193 인터넷에선 좋은직장이나 학교 까내리는게 참많은듯.. 9 ... 2014/09/16 919
417192 커피를 줄여나갈려구요 7 //////.. 2014/09/16 2,172
417191 '정윤회씨 세월호 당일 박대통령 안만났다' 검찰 결론 26 답답해답답해.. 2014/09/16 3,335
417190 김부선씨 본적있는데(별거아님) 35 추억 2014/09/16 12,283
417189 남편이 아이 데리고 자려고 해도 울며불며 제 침대로 와서 15 아 힘들 2014/09/16 2,255
417188 오만한 새누리, 이 판에 '부자감세' 4 참맛 2014/09/16 742
417187 이거 보험사기 맞죠? 3 화남.. 2014/09/16 1,022
417186 마곡지구 ...어떨까요? 16 경기도민 2014/09/16 5,375
417185 올해초에 위 내시경 했는데 또 해봐야 될까요? 3 aaa 2014/09/16 1,302
417184 둘째들쳐메고 이시간에 저녁먹다 울컥하네요 10 ㅡㅡ 2014/09/16 2,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