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세라는 개념이 왜 생겨난거에요? 집주인에게는 이득이 될 게 없잖아요...

.................. 조회수 : 8,085
작성일 : 2014-07-28 08:20:59

갑자기 궁금하네요....

저같은 세입자 입장에서는 전세가 당연히 좋지만요...

 

IP : 61.101.xxx.160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옛날
    '14.7.28 8:23 AM (14.32.xxx.97)

    옛날 아주옛날
    은행금리 높던 시절, 목돈으로 전세금 받아 넣어두면
    알콩달콩 이자가 붙어서 짭짤했거든요.
    지금은 금리가 개떡이라 점점 월세로 돌리는 추세인거구요.

  • 2.
    '14.7.28 8:24 AM (112.172.xxx.223)

    목돈을 이자없이 쓴다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오른다

    요즘 두 가지 다 메리트가 없어졌으니 없어질겁니다. 돌려줄 돈이 없으니 잔존 중.

  • 3. 루나틱
    '14.7.28 8:25 AM (58.140.xxx.117)

    전세는 집주인에게 이득입니다 단 조건이 하나 있는데 부동산이 불패 였을때 입니다.. 저도 어렸을때는 그런 궁금증을 가졌었죠 그때는 나올때 전세금을 돌려주는데 그거 손해 아니야? 였는데 아닙니다.
    부동산이 불패면 이렇습니다.
    1. 집을 삽니다.
    2. 전세를 놓죠
    3. 돈이 생기면
    4. 대출 포함해서
    5. 집을 또삽니다.
    6. 전세 놓고
    7. 대출 받고
    8. 집사고..
    물론 이건 능력있는 분들 이야기로 보통 이정도로 무한 반복되지는 않지만 어쨌든 저런식으로 부동산 투자가
    됩니다..

    대기업 stx 가 커온 방법과 비슷하죠

    어쨌든 전세를 놓으면 저런거 아니더라도 이득입니다.. 일단 대출과 비교해서 금리가 0프로입니다 ㅎㄷㄷ
    엄청난 이득이죠? 그것만봐도 충분합니다..

  • 4.
    '14.7.28 8:26 AM (218.48.xxx.202)

    부동산가격 상승기에는 이득이 있었죠
    1억짜리 집을 5천 전세금받고 내돈 5천내고 사두면
    2년뒤에 1억 5천짜리 집이 되어 있으니까요.

    1억투자해서 1억5천만들면 50%수익이지만
    5천 투자해서 1억5천집되면 5천 전세금 빼주고 1억수익 100% 수익이죠.

    예전 부동산 폭등기엔 제가 쓴것보다 다 팍팍 올랐구요.
    집주인에게 이익이 있었어요.

  • 5. 김흥임
    '14.7.28 8:26 AM (112.159.xxx.4) - 삭제된댓글

    그게아니라 전세라도안고 사두면 자고일어나면집값
    뻥튀기되어주니 그랬던거아닐까요?
    이자로따지면 예전월세는 천이면 이십씩이나받은걸요

  • 6. 루나틱
    '14.7.28 8:30 AM (58.140.xxx.117)

    문제는 저게 가능할때는 부동산 가격이 100프로 오른다는 전제가 들어갑니다... 그게 아니면 전세는 절대로 불리합니다.. 지금 현재 전세는 절대로 불리합니다. 그래서 전세 가격이 그렇게 ㅎㄷㄷ 하게 비싼겁니다.. 전세가 집주인한테 불리하니까요 어쨌든 지금 전세가 없어지고 월세로 돌아서는 추세고 지금까지 전세를 놓고 있다는 건 몇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사견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할 것이 집주인이 전세금을 돌려줄 수 없는 상황 즉 전세 돌려막기를 실행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이라는겁니다.. 많은분들이 담보대출 없는 집에 전세를 들어가면 안전할꺼라고 생각하시지만.. 지금 분명히 전세는 특정 상황 아닌 이상 절대 불리합니다... 담보 대출이 없더라도... 최악의 경우 전세금을 돌려 받을 수 없고... 그럼 그 집을 사야할 상황이 생길 수 있지요..

  • 7. 루나틱
    '14.7.28 8:32 AM (58.140.xxx.117)

    많은 분들이 금리 이야기를 하시는데 그건 정말 예~~~~~~~~~~~~~~~~~~~~~~~~~전 이야기입니다;; 전세가 망한 건 근래의 이야기로... 예금 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합니다...

  • 8. ㅇㅇ
    '14.7.28 9:04 AM (211.209.xxx.23)

    저금리 장기화 되면 전세제도 사라질거 같아요.

  • 9. 루나틱
    '14.7.28 9:16 AM (58.140.xxx.117)

    사실 지금 전세가 없어졌어야 정상이죠 경제학적으로 보면 다만... 일부 다수 전세금 돌려줄 수 없는 공급자들과 기타 이유를 가진 공급자들.. 그리고 월세에 대한 인식이 별로인 우리나라 문화의 관성에 따른 수요자들 때문에 유지 되고 있지요 지금 전세금 대출이라도 받아서 돌려주고 월세로 전환하는 사람들도 많죠 그만큼 불이익이라는겁니다 전세가

  • 10. ...
    '14.7.28 9:45 AM (118.221.xxx.62)

    집을 사두면 올라서죠
    이자보다는 ..
    이젠 다 월세로 바뀌는게 맞아요

  • 11. ...
    '14.7.28 9:56 AM (175.201.xxx.38)

    7,80년대 초반엔 금리 때문에 전세가 재미좀 봤고 이후엔 부동산 상승덕에 재미를 엄청 본 거죠.
    저 어릴 때만 해도 그 당시 금리가 10프로 넘었어요.
    저희 어머니 예전 가계부 적은 걸 보니 가장 높을 때는 이자가 12프로 였다네요. ㄷㄷㄷ
    그래서 그 당시 전세 내놓을 때 벽지나 장판 같은 것도 집주인이 다 해줬어요.
    그러다가 요샌 이자도 없다시피하니 전세면 오히려 세입자가 장판 벽지 해야 하는 상황으로 바뀐 거죠.

  • 12. ..
    '14.7.28 10:11 AM (222.232.xxx.132)

    요즘같은때에 전세 주는 집주인들이 대단한거죠. 집대출받고 전세금 빼준뒤 월세로 돌리면 훨 이익인데..

  • 13. 집값이 올라주니
    '14.7.28 10:33 AM (14.32.xxx.157)

    어린시절 부모님들이 집을 파셨는데, 집을 산 사람들이 돈이 없으니 지하단칸방에 살고, 1층 넓은 안채를 세를 주더군요.
    그렇게 해서라도 덩치큰 집을 사야 집값이 오르면 오른만큼 내돈이 되는거니까요.

  • 14. 전세는
    '14.7.28 5:43 PM (116.40.xxx.10)

    세입자한테 좋은거죠.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 외국은 월 소득의 3분의 1이 집세로 나가죠. 전세가 없어진다면 없는 사람들은 더 살기 힘들어져요

  • 15. 외국은
    '14.7.28 5:46 PM (116.40.xxx.10)

    월세냐 자가냐 손익분기점 따지는 사이트도 있어요 대충 한집에 5년이상 거주 할꺼냐로 판단하던데..외국은 해고나 직장 이동이 자유로워서 직장관두고 딴데가면 주택이 당장 팔리지 않으니까 집빼기 쉬운 월세 선택. 우리나라는 아파트가 환금성이 좋긴하죠

  • 16. 외국은
    '14.7.28 5:48 PM (116.40.xxx.10)

    그래서 집도 월세. 차도 할부. 풍족하게 먹고 쓰는데 결국 재산은 없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8638 락스청소하면서 보라색반바지에 투었어요 바닐라향 13:35:51 22
1598637 홍록기 파산으로 아파트 경매나왔다는데 4 질문이요 13:31:57 452
1598636 성매매여성 국가에서 650만원 지원금 받은 소감. 1 ........ 13:30:38 160
1598635 일하고 들어오니 아직도 자고있는 남의편 ㄱㄱ 13:30:36 106
1598634 노소영 소송비용은 보통 13:28:26 181
1598633 15일째 ..병원서 관장 다 해도 ㅠ 3 변비 13:28:05 375
1598632 거리에 돌아다니는 여자들 머리빨 6 머리손질 13:25:14 566
1598631 죄없는 계란말이까지 미워지려해요 진짜 13:23:43 175
1598630 태권도 주2회 16만원 넘 비싸죠 13:21:02 118
1598629 패스오더 이벤트 한달 동안 잘 이용했네요 .... 13:18:48 121
1598628 50~60대 부부 외식 메뉴 4 -- 13:18:44 523
1598627 당근, 불쾌하네요 5 .... 13:18:05 514
1598626 與 "22대 첫 주말부터 장외집회…국회 버리고 거리 선.. 2 이게나라냐 13:13:50 232
1598625 김수현 주연 어느날 잔인한가요? 재밌어요? 4 13:12:24 312
1598624 홈플 뿌렸당 치킨 맛있네요~~ 오호 13:12:16 152
1598623 토익 rc 아무리 해도 시간이 모자란데요 4 ㅇㅇ 13:11:24 214
1598622 세탁기와 세면대에 온수가 안나와요 ㅡㅡㅡ 13:09:24 79
1598621 ㅋ팡 장바구니에 물건 담아놓고 가격 변동 살피는게 재밌네요. 2 띵띵 13:06:15 443
1598620 Kpass 카드 쓰시는 분 1 여름 13:05:56 161
1598619 당근 보면서 내면의 오지랖이 1 접어라 13:03:46 422
1598618 주부가 단타로 연간 100만원만 벌어도 소득공제 제외 10 금투세 13:02:11 800
1598617 김혜윤 닮은 중견배우 이름좀 알려주세요. 9 1111 12:55:36 716
1598616 86세 85세 부모님ㅡ제가 돌봐드려야할거같은데ᆢ 5 ~~ 12:54:42 962
1598615 미장센 스칼프케어 그린티 샴푸(초록통) 쓰시던 분들 뭐로 갈아타.. 2 샴푸 12:54:39 176
1598614 레깅스 입는거 남자로 바꾸면 쫄쫄이 입고 다니는거죠. 5 12:49:34 421